강의모음(12강) 20120830제1강.hwp 20120905제2강.docx 20120905제2강.hwp 20120912제3강.docx 20120919제4강.docx 20120919제4강.docx 20120919제4강.docx 20120919제4강.docx 20121024제8강.docx 20121031제9강.docx 20121107제10강.docx 20121114제11강.docx 20121121제12강.docx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7.03
오경 자료 모음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docx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pdf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1.pdf 레위기 1장 1-9절 히브리어 분석 및 해설.docx 레위기 1장 1-9절 히브리어 분석 및 해설.pdf 수업계획서.hwp 오경 강의계획.pptx 오경 레위기 2012 강의안 1부-서론..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6.18
자료 모음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docx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pdf [강의안] 오경개론 강의안-창세기 12-50장1.pdf 레위기 1장 1-9절 히브리어 분석 및 해설.docx 레위기 1장 1-9절 히브리어 분석 및 해설.pdf 수업계획서.hwp 오경 강의계획.pptx 오경 레위기 2012 강의안 1부-서론..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4.27
최신구약개론 요약(시편~옐미야애가서) <시 편> 역사적 배경 구약의 시편의 역사적 배경은 첫째, 단일 저작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모음집, 둘째, 개별적인 시들 그 자체가 역사적으로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렵다. 시편은 150개의 개별적인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시편은 한 번에 쓰인 것이 아니라 모세 시대로..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8
강의 노트(1~13강) 제 10강.hwp 제 11강.hwp 제 12 강 지혜서 서론.docx 제 13 강 룻기.docx 제 1강.txt 제 2강.txt 제 3강.hwp 제 4강.hwp 제 5강.hwp 제 6강.hwp 제 7강.hwp 제 8강.hwp 제 9강.hwp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8
나훔서/하박국서/스바냐서/학개서/스가랴서/말라기서 <나훔서> “위로”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의 선지자 나훔은 주전 7세기에 앗시리아를 향한 강력한 심판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 책의 어조는 거칠며, 구체적인 시기에 한 구체적인 나라를 향한 메시지는 다른 많은 이들과 무관한 것으로 보았으나, 심미적 가치를 부정하는 사람은 없으..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1
시편 시 편 역사적 배경 구약의 시편의 역사적 배경은 첫째, 단일 저작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모음집, 둘째, 개별적인 시들 그 자체가 역사적으로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렵다. 시편은 150개의 개별적인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시편은 한 번에 쓰인 것이 아니라 모세 시대로부터 포..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1
창세기 창세기 역사적배경 고대 근동의 배경 : 구약의 모든 본문들은 다 고대 근동의 배경을 갖고 있는데 창세기의 해석은 메소포타미아, 가나안, 이집트의 비교 가능한 문헌들에 대한 지식들로부터 도음을 얻는다. (1) 창세기에 나타난 창조 기록은 반드시 고대 근동의 문헌들의 맥락 중에서도 ..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1
오경의 저술 제 9장 오경의 저술 오경은 어떻게 기록되었을까? 지난 두 세기 동안 이 질문만큼 구약 연구에서 주목을 받은 질문은 없다. 하지만 오랜 학문적인 논의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전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 장에서는 당면한 이슈들이 해결되기를 바라기보다는, 다만 학..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1
문서설 요약과 비평 문서설 요약과 비평 문서설 요약 (모세오경-9장 오경의 저술을 중심으로: 고든 웨함 지음, 박영대 옮김,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1. 문서설의 기원 “오경은 어떻게 기록되었을까?”, “오경을 누가 기록하였는가?”란 질문은 지난 두 세기 동안 구약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이슈이다. 모세..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20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