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예수님과 교회/ 예수님 시대의 팔레스타인/ 예수님의 사역/ 예수님의 메시지/ 마지막 주간/ 새 언약/ 그의 재판과 죽음 왕을 처형하라 기독교는 신의 수치를 중심 사건으로 삼는 유일한 종교 예수님의 명패; INRI: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예수..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8.04.17
삼위일체 논쟁 삼위일체 논쟁 삼위일체 교리는 속사도, 변증가 교부 시대를 거쳐오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은 세상 사람에게 다신론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켰고, 그 반대로 성부 하나님의 단일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성자의 신성을 약화시키려는 경향이 등장했다. 즉 단일신론을 주장하..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7.04
미국의 최초의 대회(Synod)는 엉제였는가? 미국의 최초의 대회(Synod)는 엉제였는가? 1716년 9월 필라델피아 노회는 심사숙고하여 교세를 확장시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것을 선언했으며, 하회로 나누거나 노회로 나누는 것이 참 신앙에 유익하다고 판단하여 연례적으로 회의를 구성하는 대회로서 필라델피아 혹은 다른 곳에서 모이..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3.02
정치 신학적 맥락에서 본 루터의 십자가 신학 정치 신학적 맥락에서 본 루터의 십자가 신학 루터가 ‘십자가의 신학’을 형성하게 된 배경에는 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인간의 내면적인 고뇌와 죽음에 대한 공포의 문제를 담고 있다. 인간은 자신의 의지와 이성의 작용으로는 결코 하나님께서 제시한 율법의 의를 완전히 충족시..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2.27
오리겐과 성경 부패 오리겐과 성경 부패 '소수 본문'의 원류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만들어진 '국지적 본문'입니다. 가이사랴의 주교 유세비우스는 로마 콘스탄틴 황제의 명령에 따라 50개의 성경 사본을 만들었습니다. 불행이도 유세비우스는 순수한 본문이 남아 있는 안디옥으로 가지 않고 당시 학문..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2.18
오리게네스 (Origen Adamantius 185-254) 오리게네스 (Origen Adamantius 185-254) 오리게네스는 초기 아프리카 교회의 교부이며, 신학자이고 철학자다. 그는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사에서 매우 두드러져 보이는 인물임을 분명하다. 보편구원론이나 영혼선재설과 같은 신학적 혹은 철학적 담론 이외에도 그는 박학한 히브리어 지식을 사..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2.16
미국에서 최초로 조직된 노회는 어느 노회인가? 미국에서 최초로 조직된 노회는 어느 노회인가? 1704년 초에 조직된 필레델피아 노회가 아마 최초일 것이다. 회의록 첫 페이지는 분시로디었으나 1706년 12월 26일 뉴저지 주 프리홀드에서 열렸던 노회 회의록 일부는 남아있다. 이 노회읜 7명의 목사로 구성되었고 존 보이드(John Boyd)의 수습..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2.16
마틴 루터의 십자가 신학 연구-그의 신 인식 방법과 관련해서 마틴 루터의 십자가 신학 연구-그의 신 인식 방법과 관련해서 I. 서론 우리는 하나님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 또 하나님을 어디에서 만날 수 있는가? 기독교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이 질문은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제기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도 다양하였다. 이 문제는 근본적으..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7.02.06
마틴루터와 종교개혁 마틴루터와 종교개혁 루터는 1483년 11월 10일 북부 독일의 한 가난한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루터의 아버지는 일찍 농사 짓는 것을 정리하고 작은 읍에 나와 광업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서 생활에 여유가 생기고 가산이 불어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루터는 소학교와 중학교를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6.12.22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틴 루터가 명실공히 종교개혁의 선두주자로 나타났을 때 유럽은 여러모로 루터에게 유리한 형편에 놓여있었다. 당시 유럽의 중심은 신성로마제국, 프랑스, 영국,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였다. 다시 말하자면 전 유럽의 막대한 권력과 부는 이들 몇몇 소수의 나라..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