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척후원 사역† 1913

하나님의 존재-우주의 실체

하나님의 존재-우주의 실체 성경과 마찬가지로 신조들도 하나님의 존재를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논증을 펼치지 않습니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증명보다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받아들입니다. 하나님은 무한하시고 따라서 우리의 유한한 지성으로는 도달할 수 없기에 우리의 이성이 아닌, 오직 그분의 계시를 통해서만 하나님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하나님의 존재를 믿는 것이 비이성적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반대로 그분이 존재하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는 합당한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합니다. 여기서 토마스 아퀴나스가 상술했던 고전적인 다섯 가지 신 존재 증명을 열거할 만한 시간은 없습니다. 대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다음 세 가지 견해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첫째, 우주의 실체입니다..

하나님에 대한 신앙

하나님에 대한 신앙 이제 "기독교 신앙의 기초"에서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눈을 돌려 봅시다. 우리가 무엇을 믿는지 그리고 그것을 왜 믿는지,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앞서 살펴보았습니다. 고전적인 서문에서 "이후로는 신조를 말할 수 있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입교를 받을 수 없으며.."라고 쓰여 있습니다. 우리는 그 예식에서 실제로 신조를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마음속에 새겨야 하며, 아울러 그것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먼저 성부 하나님의 대한 신앙을 나누는 것으로 시작하도록 합시다. "신조(신경 creed)"란 말은 라틴어의 "크레도(credo, 내가 믿는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실제로 사도신경은 이 동사로 시작되고 있습니다. "...을 ..

행복한 가정②

행복한 가정② 교회의 공동체적 생활과 사랑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사실에 관심이 눈을 뜬 분이 호바트 모으러 박사였습니다. 일리노이 대학교의 정신의학과 명예 교수를 지낸 고인은 유명한 프로이트 비평가였으며, 일명 "성실 그룹(integrity groups)의 창시자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우리의 모든 관계 속에 내재하는 계약적인 의무를 강조하는 사상가이기도 했습니다. 몇 년 전 고맙게도 그는 자신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하고 싶어 했던 몇몇 친구들과 나에게(존 스토트) 시간을 내주었습니다. 그가 말한 내용에 다르면, 그는 그리스도인도, 심지어 유신론자도 아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표현대로 "교회와의 사랑싸움"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무슨 뜻이었을까요? 그는 자신이 십 대였을 때 교회가 자신을 저버렸으며,..

2022년 11월 심플(心+) "갓(God)지은 복음밥"

2022년 11월 심플(心+) "갓(God)지은 복음밥" “밥 식는다. 빨리 와” 따뜻한 밥 한 끼 먹이고 싶어 새 밥을 지은 엄마의 사랑 어린 잔소리입니다. 하나님도 우리를 위해 사랑을 넣고, 평안을 볶고, 기쁨을 끓여 가장 완벽한 생명의 양식을 주셨습니다. 바로 생명의 떡인 복음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우리를 사랑하사 평화의 왕으로 오신 기쁜 소식, 하나님께서 갓 지어주신 복음밥,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혼을 배 불리시길 바랍니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 ” (요한복음 6장 35절).

행복한 가정①

행복한 가정① 규칙적이고 올바른 식사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으니, 이번에는 행복한 가정의 보호 쪽으로 눈길을 돌리고자 합니다. 심리학자들과 정신과 의사들은 유아기의 인성 발달과 관련해서 가정환경(좋은 혹은 나쁜)의 영향에 대해서 크게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목적은 아이들이 안정되고 사랑이 넘치는 가정에서 태어나 그 안에서 무럭무럭 자라나는 것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그리스도의 삶에 대해서 지극히 개인적인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나를 위해 죽으셨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실이며 또한 성경적입니다(갈라디아서 2:20). 그러나 이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그분은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속량 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는 자..

신령한 젓

신령한 젓 베드로전서 2장 2-3절, "갓난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너희가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았으면 그리하라" 여기서 말하는 "갓난 그리스도인들"에게 필요한 순전한 것은 무엇일까요? 베드로는 그것을 헬라어로 "로지코스(logikos)"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영적인 음식이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혹은 이성적인 음식이란 의미를 갖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서 순수한 말씀의 젓으로 번역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경우 베드로는 자신이 이미 앞에서 언급했던, "하나님의 살아 있고 항상 있는 말씀"(베드로전서 1:23)을 여기서 재인용하면서, 영적인 거듭남의 도구인 하나님의 동일한 말씀이 또한 영적 성장의 도구임을 확증하고 있습니다. ..

성장의 방법

성장의 방법 본서의 3부에서 우리는 주된 "은혜의 방편들" 즉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혜를 주시고 우리를 강건하게 하시기 위하여 사용하시는 방법에 대해 상고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는 거기서 상술하게 될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성장하고 있음을 어떻게 확실할 수 있을까요? 성장하는 어린아이를 비유로 든다면 곧바로 답이 나올 것입니다. 어린아이를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양육하고 보호하는 데는 수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두 가지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됩니다. 어린아이들의 신체적인 성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규칙적이고 올바른 식사이며, 그들의 정신적인 발달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행복한 가정의 보호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조건은 성경에..

거룩한 토기장이

거룩한 토기장이 비유로 설명하자면, 우리는 거룩한 토기장이께서 자신의 방법대로 우리를 빚으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분이 우리의 타락한 본성을 상징하는 연약한 진흙을 가지고 자신의 용도에 알맞은 아름다운 그릇을 만드시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다시 비유를 들자면, 나사렛 출신의 목수가 지금도 자신의 도구들을 가지고 바쁘게 일하고 계신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쁨의 체험뿐만 아니라 지금 고통이라는 끌을 가지고, 때로는 괴로움이라는 망치를 가지고 혹은 역경이라는 대패를 가지고 우리를 깎고 다듬어서 의의 도루로 만들고 계십니다. 이 점은 다음에 나오는 한 흥미로운 옛 기도문 속에 잘 표현되고 있습니다. "오 예수님, 나사렛의 완전한 목수로서, 나무와 못으로 십자가에 달리사 인류의 완전한 구원을 ..

성장의 영역-거룩

성장의 영역-거룩 넷째, 우리의 거룩함이 성장해야 합니다. 거룩함이 자라난다는 것은 "성화"라 일컬어지는 과정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번 장 서두에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 바울은 그것을 가장 확실하게 깨우쳐 주는 말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 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고린도후서 3:18). 우리는 이 구절에서 적어도 네 가지 중대한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첫째, 거룩은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며, 성화는 그분의 형상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저는 어린이들이 즐겨 부르는 다음이 찬송을 좋아하니다.

성장의 영역-지식

성장의 영역-지식 셋째, 우리의 지식이 성장해야 합니다. 기독교는 지식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고, 지식을 부정하고 마비시키는 반지성주의를 배격합니다. 또한 우리가 직면한 문제의 대부분을 우리의 무지에서 비롯되었다고 봅니다. 감정은 풍부하지만 머리가 비어 있으면 위험한 강신적 행동들이 발생합니다. 이 점을 바울보다 더 강조한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지혜에 장성한 사람이 되라"라고 당부한 바 있습니다. 그는 "형제들아 너희가 일기를 우리가 원하노니" 혹은 "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치 아니하노니" 간은 반복구로 시작하는 수많은 문장을 제사하였으며(데사로니가전서 4:13), 때로는 "그러나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라고 훈계하는데, 이러한 훈계 속에는 수신자들이 만약 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