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з예림의집으로ε♡з/예림의집 문학세상 1162

당연한 결과​

당연한 결과 ​ “텍사스대학교 제임스 패너베커 교수 등은 개인 블로그 3만 5천 개와 학생들의 에세이 1만 5천 개를 분석해서 부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이들은 질병이나 외로움, 신경증이나 우울증에 시달릴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긍정적인 단어를 다채롭게 구사하는 이들은 직장 생활뿐 아니라 여가 활동에서도 더 성실하고 적극적이고 몸도 더 건강했다.” -이민규 저(著) 《생각의 각도》 (끌리는 책, 4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 긍정적인 말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과 부정적인 말을 많이 하는 사람에 대한 임상 실험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당연히 긍정적인 말을 하는 사람이 정신이 평화롭고 건강하기까지 하다는 결과가 대부분입니다. “미국에서 수녀 180명의 간증문을 분석한 결과, 긍..

네트워크의 중요성

네트워크의 중요성 “1960년대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사회학 교수가 200명의 실험자 집단을 골라 이들의 주소가 아닌 엉뚱한 주소로 편지를 보냈다. 편지 겉면에는 이 편지를 반드시 당사자에게 전달하되 우체국을 통하지 말고 지인들 에게 부탁해서 전달해달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누구도 6단계를 넘지 않고 당사자에게 편지를 보낼 수 있었다.” -김진혁 저(著) 《성공 피하지 말고 부딪쳐라》 (넥스웍, 119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이 네트워크 이론에 의하면 세계 어느 곳에서도 6단계를 거치면 통하지 않을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전설적인 자동차 판매왕 조 지라드(Joe Girard)는 친지의 결혼식장에 가서 영감을 얻게 됩니다. 결혼식장에 모인 숫자가 250여 명. 또한 장례식..

하나님께서 주신 소중한 생애 동안

하나님께서 주신 소중한 생애 동안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김활란 박사의 소원은 우리나라 여성들을 계몽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아들만 공부를 시키고 딸은 공부를 시키지 않았습니다. 우리 여성들을 불쌍하게 여긴 김 박사는 여성의 교육을 위해 애를 많이 썼습니다. 일생 그렇게 수고한 김 박사가 돌아가시게 되었을 때 많은 제자들이 슬퍼하자 김 박사가 “여러분, 슬퍼하지 마세요. 하나님께서 주신 소중한 생애 동안 최선을 다해 일하세요. 복음을 전하세요. 그리고 내가 떠나도 나를 위해 슬픈 노래를 부르지 말고 행진곡을 불러 주세요. 그리고 주님 나라에서 만나요” -지용수 목사의 ‘가장 귀한 일’에서- 김 박사의 무덤에는 큰 비석 대신 돌로 만든 성경이 있습니다. 거기에는 이런 말씀이..

사자 조련사의 말

사자 조련사의 말 “동물 조련사가 사자 동굴에 들어갈 때 왜 의자를 들고 가는지 설명해 주었습니다. 회초리와 권총도 있는데 조련사는 의자의 네 다리를 사자를 향해 들고 들어갑니다. 그때 사자는 동시에 의자 네 다리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기 때문에 일종의 무기력증에 사로잡힌다고 합니다. 결국 집중력이 분산되어 온순하고 유약해지는 것입니다.” -이성희 저(著) 《수도원 영성의 향기》(두란노, 175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잠자리의 눈은 곁눈 2개 홑눈 3개로 모두 5개라고 합니다. 그리고 곁눈만 해도 무려 1만 개에서 3만 개나 되는 낱눈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도 잠자리가 방에 들어오면 창 밖으로 나가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밖을 나갈 수 있는 초점 맞은 한 개의 눈만 있으면 되는데 그 한 ..

반 고흐와 피카소

반 고흐와 피카소 “조르조네는 카바조에게, 카라바조는 피터르 라스트만에게 피터르 라스트만은 렘브란트에게, 렘브란트는 반 고흐에게, 반 고흐는 다시 수천 명의 가난하지만 뛰어난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김은주 저(著) 《기분을 만지다》 (엔트리, 25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이 세상에 온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없습니다. 아이폰 등을 비롯한 혁신 제품들도 알고 보면 남들의 아이디어를 가져와 조합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피카소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좋은 예술가는 모방하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 훔치기와 표절은 다릅니다. 훔치기는 차원 높은 모방입니다. 남들에게서 가져온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것입니다. 피카소는 동시대 화가인 마티스의 그림에서 한 가지 요소를, 아프리카 원주민의 각진 조각상에..

최고의 영성은 주님을 닮는 것이다

최고의 영성은 주님을 닮는 것이다 "소경 바디매오가 예수님이 지나간다는 말을 듣고 예수님을 간절히 찾았다. 그는 예수님이 도와주시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믿었다. 우리에게도 바디매오와 같은 이런 간절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러면 문제 해결도 얻고 그보다 더 소중한 것을 얻게 된다. 그것은 주님의 형상처럼 변하고, 우리 삶에 주님의 향기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주님께서는 우리를 만나 주시고 우리를 주님처럼 만들어 가실 것이다." -이한규 목사의 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구원받은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됩니다. "나는 천국만 가면 된다!"라고 하는 식으로 신앙생활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죽어서는 천국에 가지만 이 땅에 살면서도 천국의 아름다운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

하수(下手) 중수(中手) 고수(高手)

하수(下手) 중수(中手) 고수(高手) “세 명의 석공이 있다. 먹고살기 위해서 돌만 깎는 석공. 하수(下手), 자신의 미래를 위해 최고의 조각을 만드는 석공. 중수(中手), 사람들에게 믿음을 전하는 성전을 짓는 석공. 고수(高手)” - 김승주 저(著) 《우울 탈출, 3초 비법》(더로드, 17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기독교 직업관을 설명하는 유명한 예화가 있습니다. 세 사람이 예배당 건축하는 일터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지나가는 사람이 이들에게 묻습니다. “무슨 일들을 하고 계십니까?” 첫째 사람이 답하기를, “보면 모르겠소? 돌을 깎고 있소.” 둘째 사람이 답합니다. “무슨 일을 하다니요? 돈을 벌고 있소.” 그런데 세 번째 사람은 이런 대답을 했다고 합니다. “예, 저는 지금 하나님의 집을 짓고..

석공의 말..

석공의 말.. 한평생을 비석만 다듬으며 살아가는 석공이 있었습니다. 그는 온 힘을 다해 비석을 다듬었고 정성스럽게 명문도 각인했습니다. 그 과정을 지켜보던 정치인이 석공에게 물었습니다. “나도 다른 사람들의 단단한 마음을 유연하게 다듬는 기술이 있었으면 좋겠소. 그리고 사람들의 마음과 역사 앞에 내 미래를 새기고 싶소.” 그러자 석공이 대답했습니다. “선생님도 저처럼 무릎 꿇고 일한다면 가능한 일입니다.” -김현태 저(著) 《행복을 전하는 우체통》 (다연, 12쪽) 중에 나오는 말입니다. 배워서 남 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좋은 사람이고, 좋은 그리스도인입니다. 서로의 행복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함께 행복해야 진짜 행복입니다. 함께 행복하기 위해서는 한쪽이 먼저 섬김의 자세를 보여야..

마이클 샌델 교수가 코로나19로 깨달은 것

마이클 샌델 교수가 코로나19로 깨달은 것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은 잡화상 계산원들, 배달원들, 방문 의료 서비스 담당자들, 그 밖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면서도 박봉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해 주었다.” -마이클 샌델 저(著) 함규진 역(譯) 《공정하다는 착각》(와이즈베리, 33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바울이 로마서는 더디오라는 사람이 대필하여 기록합니다. “이 편지를 기록하는 나 더디오도 주 안에서 너희에게 문안하노라. 나와 온 교회를 돌보아 주는 가이오도 너희에게 문안하고, 이 성의 재무관 에라스도와 형제 구아도도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로마서 16:22,23). 이 구절에서 나오는 더디오란 말은 셋째라는 뜻입니다. 또한 구아도란 말은 넷째라는..

행복인 줄 알았더니 불행인 것 세 가지

행복인 줄 알았더니 불행인 것 세 가지 “송나라 학자 정이(程頤)는 행복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오히려 불행이 될 수 있다는 뜻에서 ‘인생 삼불행’으로 소년등과(少年登科), 석부형제지세(席父兄弟之勢), 유고재능문장(有高才能文章)을 들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너무 빨리 과거에 급제하는 것, 부모와 형제를 너무 잘 만난 것, 뛰어난 재주와 문장력을 타고난 것이 인생의 세 가지 불행입니다.” -고봉진 저(著) 《사서재》 (푸른영토, 228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북송의 대철학자 정이는 「소학」에서 인생의 세 가지 불행을 말합니다. 이른 나이에 과거 시험에 합격해 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초년 출세), 부모와 형제의 권세에 기대는 것(조상의 음덕), 뛰어난 재주와 문장력을 가진 것(높은 재주). 이상합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