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발표: 제 1장 성경에 관하여(배포용)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주제 발표: 제 1장 설교에 관하여(Of the holy Scripture) 총회신학원 1학년 8반 2012222080 김정민 서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기초는 성경이다. 1절. 성경의 필요성과 계시 기록의 종결성 1. 성경을 접하지 못한 자들의 구원은 어떻게 되는가? 2. 왜 하나님은 이 시대에..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3.25
전통본문의 신빙성 전통본문의 신빙성 사본 대조의 현황이 이러하기 때문에, 우리는 단호히 비평본문의 이론을 버리고, 교회가 옛날부터 인정해왔고 오늘날까지도 헬라교회가 사용하고 있는 헬라어 본문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통본문의 신빙성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말할 수 있..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23
5. 성경의 본문(Text) 5. 성경의 본문(Text) 성경 원본(原本)의 무오성(無誤性)의 교리는 성경 본문(本文, text)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것은 오늘날 한 논쟁적 주제이다. 신약의 경우, 헬라어 고대사본들 중에 중요한 것으로는, 바티칸 사본(B)(4세기), 시내산 사본(ࠀ)(4세기), 체스터 베티 파피러스(P45, P..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14
4. 성경의 정경(正經) 4. 성경의 정경(正經)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기록인 성경은 구약 39권, 신약 27권뿐이다. 이 66권의 책들을 '정경'(正經, canon)이라고 부른다. '정경'이라는 말은 믿음과 생활의 잣대 혹은 규범이라는 뜻이다. 구약의 정경성 성경은 언제 정경으로 완성되었는가? 정통적 유대교의 전통에..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10
특별계시 특별계시 기독교 신학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특별계시에 의존한다. 특별계시란, 하나님께서 자신을 죄인들의 구주로 나타내시는 행위를 가리킨다. 특별계시의 목적 사람이 일반계시만으로는 참하나님과 자신의 죄악의 심각성과 죄인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없었기 ..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07
일반계시 일반계시 하나님의 계시들에는, 그 방식에 따라, 하나님께서 자연만물과 그 현상들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시는 '자연 계시'와, 하나님께서 기적들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시는 '초자연 계시'가 있고, 계시의 목적에 따라, 하나님께서 자신을 창조자와 일반적 섭리자로 나타내시는 '일..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04
잘못된 계시 개념 잘못된 계시 개념 기독교는 하나님의 계시에서 시작되며 기독교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에 근거한다. 계시(啓示, revelation)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자신을, 즉 자신의 속성과 뜻을 나타내시는 행위이다. 역사상, 계시에 대해 잘못된 생각들도 있었다. 그 중 하나는 자연신론(自然神論..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2.01.02
종교와 신학의 관계 종교와 신학의 관계 종교는 삶의 문제요 신학은 사상의 문제이므로, 종교의 범위는 신학의 범위보다 더 넓다. 그러나 그 둘은 서로 분리될 수 없이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우선, 참된 종교는 건전한 신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일 어떤 종교가 건전한 신학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1.12.26
3. 하나님의 계시 3. 하나님의 계시 종교와 신학 종교와 계시 참된 신학은 오직 하나님을 믿는 마음으로 연구해야 한다. 즉 신학은 경건하고 종교적이어야 한다. 하나님을 경외함이 지식의 근본이요 시작이다(잠 1:7). 경건 없는 신학은 무의미하며 무가치하다. 종교(religion) 혹은 경건이란 하나님을 ..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1.12.24
신학의 역사 신학의 역사 구 카톨릭 시대 3세기 초 오리겐의 제일 원리들에 관하여는 교회 역사상 최초의 신학적 문서라고 생각된다. 그가 다룬 주제들은 1권에서 하나님, 말씀, 성령, 및 천사, 2권에서 세계와 사람, 3권에서 죄와 구속, 4권에서 성경 및 전체 요약 등이다. 그러나 오리겐은 대 학.. 서울신학·총신신대원/교의신학 201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