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상관(critical correlation)
-계시와 경험을 동등한 수준으로 보고 상호 연관 시키는 것
-계시 < 경험: 비판적 과학 방법
-계시 > 경험: 비판적 고백 방법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에 대한 역사적 해석학적 해석을 인간의 공통 경험의 구조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입증 가능한 공공의 해석과 상관시키는 방법이다. 즉 경험과 계시를 동등하게 상관시키는 방법이다(경험=계시). 이에 반해 계시보다 경험 우위의 방법을 추구하는 것(경험>계시)을 ‘비판적인 과학적 방법’이라고 하며, 경험보다 계시의 방법을 추구하는 것(경험<계시)을 ‘비판적인 고백의 방법’이라고 한다.
실천신학의 방법/실천신학과 실용주의/실천신학과 윤리
제 10장. 실천신학의 방법
-오늘날 실천신학을 연구하는 방법은 한 방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된 방법으로 실천신학을 연구하고 있다. 실천신학의 연구 방향은 실천신학의 유형과 과제에서 어느 정도 그 방법적인 흐름을 전망할 수 있다.
①기독교 정통과 과학의 축을 수직 축으로 하고 사회의 형성과 교회의 형성의 축을 수평축으로 하고 실천신학의 지향점을 학문적 연구로 전망하는 것이다.
-유형론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모든 유형들이 서로 서로를 풍요롭게 해준다는 점에서 유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천신하그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②실천학자들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신학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1. 규범-연역적 접근(normative-deductive current)
*규범
-당연히 해야 하는 것
*연역
-위에서 내려오는
-성경과 정통을 강조하는 방법.
-잘못하면 근본주의가 될 수 있다.
-어떤 결론(성경/전통)을 미리 내려놓고 중간 가정이 없이 적용만 하는 것이다.
-주석과 교리에 집착한다.
-해석적이고 경험적인 분석을 할 수 없다.
-동기부여를 할 수 없고, 실재적으로 삶의 적용이 안 될 수 있다.
-왜 안 되느냐?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할 수 없다.
EX) 쉬지 말고 기도하라 --------> 쉬지 말고 기도하면 된다.
*임마누엘 칸트
-마지막 책에서 마지막 윤리를 보존하는 기구로서 교회
-합리성을 추구하는 교회
*장점:
-실천신학의 차원에서 의미-진리의 차원을 추적하여 실천신학의 객관적 진리의 차원을 밝히는 데는 매우 중요한 신학 방법이다.
-현대의 실천신학에서 근본주의적인 방법으로 치부되고 있지만 과도한 세속 학문의 도입으로 기독교의 정체성이 무너지는 상황에서는 매우 중요한 방법론으로 공헌할 수 있다.
2. 실용적 접근(Pragmatic current)
-18세기 중반 에노폰드가 미국 목회학 책을 최초로 썼을 때, 거의 Passion(열정)
-신학도 필요 없고, 이론도 필요 없고 열정이면 된다.
-실용적인 실천을 하려고 하는 것을 과도하게 되입.
*요령과 도움
*목회적 열정
*기예론
*술라이어마허
*테크노-신학(techno-theology)
-문제는 이러한 유형과 그것으로부터 전망하는 연구 방법론들이 실제로 실천적 행동(action)을 유발하게 하느냐는 실행성의 문제와 그 실행의 전균형성 그리고 신학적 적합성에는 약점이 있을 수 있다.
3. 경험-분석적 방법(empirical-analytical current)
-실천신학의 주류
-과정에서 구체적인 방법론을 찾다 보니 나온 방법
*양극성의 문제
-헤이딩크
-행위의 신학적 이론
-두개의 양극이 조화가 안 되는데 중간 단계에서 경험-분석적 방법론으로 조화 시키는 것
*목회(신)학 -->목회 사회학(경험, 분석) ---> 적용
사회 조사 방법론
*제어파스 모델
-그림 90쪽
Praxis 1
신학적 전통 <-------------------------------> 상황분석
신천신학의 이론
Praxis 2
*살아 있는 인간 자료
-인간 자체가 신학의 대상
-바로 적용으로 갈 수 없기 때문이다.
4. 해석학적 방법
*해석-중재적 방법(hermeneutical-mediative current)
-행동 이면에 깔려 있는 언어, 사상, 관념, 해석, 가치관, 관습, 전통, 인간의 결정, 행동 등을 분석하는 방법
-해석학의 연구 대상인 행위는 일정한 자극에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동과 전혀 다른 개념으로 행태의 의도나 주관적 의미를 가진 해석된 ‘행위(action)’이다.
-행동 자체보다는 그 동기에 초점을 둔다.
-사회과학의 아류로서가 아니라 건설적인 신학적 안목을 계발하는 신학적 담론의 개념과 방법 그리고 사용들을 사용한다.
-대화 내용이 굉장히 중요하다.
*여러 학문에 걸치는 학제적 대화
*폴틸->트레쉬, 돈 브라우닝
①상관관계 모델(correlational models)
-계시와 경험이 상호 비판을 받는 모델
②수정된 상관관계 모델(a revised correlational model)
-트레이시와 돈 브라우닝
-환경의 변화
-이론이 먹히지 않는다.
③변형 모델(transformational models)
-세계관이나 언어상으로 상호 이해가 어려운 사람들 사이에 대화를 시도하는 모델
*칼케돈 모델(the Chalcedonia model)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인정하듯 계시와 방법론을 함께
*임시 상관접근법(the ad hoc correlational model)
④횡단모델(transversal models)
-가장 최근의 모델
-각 분야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나는 횡단매개(transversality)의 개념과 다원주의의 빛 아래서 이성의 자료를 나누는 교차점과 분기점을 탐험하는 방법이다.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
*박종서,작은울타리큰공간.청어람,2013.
-성도들은 내 설교를 들으려고 오는 것이 아니다.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이 상호적인 것이다.
5. 해방신학적 방법(liberation theology current)
-마르크스 방법론
-구티에레즈, 보프, 세군도
-진보주의 목회 실천의 장을 열었다.
*티스턴
-인간이 제기하는 질문이 얼마만큼 계시로서의 성경으로부터 우리가 듣는 바를 명령하고 조건화할 수 있는지 실천신학적 근본적 의문이 남는다(이해와 조건의 문제).
-우리는 해방신학이 실천신학의 구성과 완성도에 큰 공헌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인 답이 없는 길을 가지고 있지는 않는지 질문해 보아야 한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이란? (0) | 2014.04.10 |
---|---|
정체성의 고민 (0) | 2014.04.10 |
21세기 예배문화 연구 (0) | 2014.04.09 |
목회학 서론 (0) | 2014.04.09 |
종교개혁 이후 웨스트민스터 전통 (0) | 201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