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교육이란?

예림의집 2014. 4. 10. 21:32

교육이란?

-적응을 하는 방법,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리더십이 없고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들의 집에 공통적으로 없는 것은 달력이다.

-계획이 없는 것이다.

-세상에 대한 적응이 안 되어있다.

-세계는 시간과 공간으로 되어 있다.

-칸트는 철학을 할 때 기본으로 삼은 것이 시간과 공간이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교육은 적응을 시켜주는 방법

-무엇인가를 알려주거나, 이미 속에 있는 것을 끄집어 내주는 것

-인식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

-인식이란 세상에 있는 사물들을 알아보는 것.

-교육은 인식에서 만족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하면 이 인식을 통해서 사람을 사람답게 되게 도와주는 것

-인식을 통해서 어떻게 인격을 고양시킬 것인가?

-바빙크의 교육철학

“인간은 교육의 대상인데, 그렇다면 인격은 교육의 목적이다.”

-인격을 가추게 되면 반대로 인식하는 기술이 확장된다.

-인식과 인격 사이에 상호관계를 어떻게 원활하게 돌아가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이 교육의 출발점이다.

 

*전인교육

-인식을 통해 인격을 형성할 것인가가 출발점이다.

 

*인식의 기능

①감각

-외부 세계를 수용하는 능력

-5감을 통해서

②이성

③신앙

-하나님을 알 수 있는 인간의 능력

-어거스틴의 개념

 

*윌리엄 제임스

-심리학을 하는 정신과 의사

-황혼 빛을 보면서 회심을 함(하나님의 살아계심을 고백함)

-감각과 신앙이 함께 작동함

 

*세계의 대상

①감각 -> 자연(사물)

②이성 -> 인간(정신)

③신앙 -> 하나님(성경)

 

-하나님이 인간과 자연과 함께 동등 선에서 다루는 것에 대한 거부감

-성경, 인간, 자연을 세권의 책이라 하고, 신앙, 이성, 감각을 내면의 빛이라 하였다.

-주재이신 하나님이 계시다.

 

*인격

①지(知)

-인식을 통해서 지식이 생긴다.

-외부 세계를 인간 안으로 끌어 드리는 한 부분이다.

②정(情)

-지식에 대한 많은 생각과 울림, 움직임이 일어난다.

-내면의 요동침

③의(義)

-표출되게 하는 힘

-외부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튀어나오겜 함

 

*인격이란 외부 세계의 것을 잘 받아들이고 잘 갈무리하여 잘 내놓는 것이다.

 

*행함으로서의 열매

①지성(지)

②덕성(덕)

③신앙(성)

 

*하나님의 형상을 이룸

-전인격적으로

-회복시키는 방법이 바로 교육이다.

-전인 교육의 방향

   

성경 -- 신앙 지 신앙

하나님 --> 인간 -- 이성 ---> 인식 <--> 인격 ---> 정 ---> 행 --> 덕성 --> 하나님의 형상

자연 -- 감각 의 지성

 

*실천신학은 교회의 모든 행위에 대한 연역적이고, 귀납적인 비판 행위이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점검  (0) 2014.04.14
코메니우스 전인교육론과 우리의 교회 교육  (0) 2014.04.10
정체성의 고민  (0) 2014.04.10
실천신학의 방법  (0) 2014.04.10
21세기 예배문화 연구  (0) 201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