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이후 웨스트민스터 전통
-칼빈의 제네바 예배 규범 이후 존 낫스에 의하여 주도된 스코틀랜드의 예배의식의 개혁은 1564년 『공동예배 규범(Book of Common Order, BCO)』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1645년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이 나오기까지 80여 년간 스코틀랜드와 영국에서 일반화되었고 청교도 예배의 아버지로 간주되었으며 신성한 예배의 모든 부분의 본질과 올바른 순서에 대한 안내서로서 도움이 되었다.
-장로교 전통 예배의 규범이 있다.
-현재는 이 것이 없다. 회복해야 한다.
-웨스트민스터 예배 규범이 어떤 내용인지 아고 있는 사람들이 드물다.
*말씀 예전 순서
①죄의 고백(A Confession of sins)
②용서를 위한 기도(A Prayer for pardon)
③운율시편(A metrical Psalm)
④조명을 위한 기도(A Prayer for illumination)
⑤성경봉독과 설교(The Scripture Lection and Sermon)
⑥긴 기도와 주님의 기도(The Long Prayer and the Lord's Prayer)
⑦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
⑧운율시편(A metrical Psalm)
⑨축도(A Blessing)
-예배의 부름, 십계명 낭독 등이 빠져 있으나, 다른 자료에는 포함되어 있다
-목회적 기도를 강조하였다.
*성만찬 순서
①은율시편(A Psalm in metre while the elements were prepared)
②성찬 초대사(A Prayer for pardon)
③제정사(The Exhortation)
④봉헌기도(The Consecration)
⑤성체분할(The Fraction and Delivery)
⑥영성체와 성경봉독(The Communion while Scripture is read)
⑦영성체 후 기도(The Post-Communion Prayer)
⑧시 103편(Psalm)
⑨축도(The Blessing)
-신앙고백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배모범도 매우 중요하다.
*웨스트민스터 모임에 대한 인식적환 필요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과 대소요리문답만이 아니라, 제네바의 개혁사상을 그대로 이어 온 존 낙스의 예배모범을 스코틀랜드에서 사용하는 것을 금지시켰기에 이 성회는 먼저 그들이 원하는 예배모범을 창출해 낸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우리 앞에 놓여진 목적은 예배의 정화(Purification)이다. 이것은 국가에서 정해준 모델에 따른 예배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서 발견되어지는 대로 따르는 예배이어야 한다.”
*웨스트민스터 예배 규범
-기본적인 개혁주의 예배 정신에 있어서 제네바 예식서와 궤를 같이하고 있으나 그 구조와 내용은 새로운 부분이 나타났다.
-서문 다음으로는 예배의 내용을 이루는 여러 가지 제목들을 다룸.
-주일예배, 성경봉독과 설교, 기도, 성례전, 그리고 성도의 신앙과 삶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규정.
①공공예배에서 회중의 모임과 그들의 행동에 관하여
②성경봉독에 관하여
③설교 전의 공중 기도에 관하여
④말씀 선포에 관하여
⑤설교 후 기도에 관하여
⑥세례에 관하여
⑦성만찬성례전 또는 주의 만찬에 관하여
⑧거룩한 주의 날에 관하여
⑨결혼의 성결함에 관하여
⑩병자 심방에 관하여
⑪장례식에 관하여
⑫엄숙한 공적 금식에 관하여
⑬공적 감사일의 준수에 관하여
⑭시편송에 관하여
⑮부록: 공적예배를 위한 날과 장소에 관하여
*정확한 예배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웨스트민스터 예배규범(인터넷에 찾아 정리해 둘 것)
-논쟁의 답변
-성경적인 예배를 만들기 위해서
*공공예배에서 회중의 모임과 그들의 행동에 관하여:
①회중들은 공공예배를 위하여 모두 나와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하고 예배에 참여해야 한다. 태만함이나 사적인 모임 때문에 공공예배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②회중들이 다 모이면 목사는 개회기도를 통하여 위대하신 하나님의 성호를 위한 장엄한 예배의 부름(solemn calling)으로 예배를 시작한다. 공동기도서와 공동예배규범에서도 공통
③기도의 내용은 칼빈주의 형식을 따라 예배하는 자로서의 무가치함과 부도덕함을 확인하고 인간의 무능력을 고백하며 하나님의 도움과 용서를 구하고 봉독할 말씀에 은혜를 구하는 것으로
④예배가 시작되면 회중들은 예배에 전적으로 집중해야
*성경봉독에 관하여
①예배모범서는 대륙의 개혁자들과는 달리 공공예배에서의 성경봉독과 말씀의 설교를 별도의 장으로 구별, 하나님의 그의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약속한 수단, 하나님께 대한 의지와 순종의 고백 등을 예배의 일부로 여겼다.
②성경은 반드시 순서대로 읽어야 한다고 함으로써 예배에서 성경의 중심성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구약낭독
-시편찬송
-신약낭독
-시편찬송
*설교 본문 말고
*설교 전의 공중 기도에 관하여
①성경봉독 후에는 보다 긴 죄의 고백이 이어진다. 설교 전에 긴 목회기도
②죄악으로 물들어 있는 신자들의 마음에 감동을 주기 위하여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범죄유형을 적은 목록을 제시
③목회기도는 찬양과 고백, 간구, 중보, 감사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comprehensive) 것이어야(Old)
*기도가 길어지는 이유
-설교에 대한 목회 기도를 자세히 하였다.
-말씀을 전한 다음 말씀을 따라서 찬양을 부르고 구체적으로 정해서 기도함.
-설교 후 기도와 결단을 촉구해야 한다.
*목회기도
-예배시간에 성도들을 위해, 나라를 위한 기도 강조
*말씀 선포에 관하여
①설교는 종종 한 시간 또는 그 이상 지속되었고 예배 시간의 주요 부분을 이루는 설교중심주의
②설교자 자신이 주의 깊게 연구한 주해와 스스로 만든 원고로 설교하기를 요구
③설교를 복음사역에 있어서 가장 위대하고 탁월한 역사에 해당 한다고 규정
④성경 원어에 능숙해야 하며, 신학의 보조적인 것으로써 예술과 학문, 그리고 일반 신자들 보다 더욱 성경에 숙달되어진 지각과 마음을 소유해야 한다. 그런 그것들이 설교 가운데 나타나서는 안 된다고 규정
⑤설교의 구성은 명확해야 하고 교리, 이성, 효용성의 세 가지 바탕위에 석의, 교리, 적용.
*설교 후 기도에 관하여
-설교를 통해 주어진 중요한 제목들을 몇 가지 간구할 제목으로 살려서 기도
*세례에 관하여
*성만찬성례전 또는 주의 만찬에 관하여
-세례는 칼빈주의자들에 의하여 은총의 언약에 대한 인침(a seal of the covenant of grace)으로 이해
-이 성찬식이 장황하고 교훈적이라 할 지라도 그것은 또한 포괄적(comprehensive)
*거룩한 주의 날에 관하여
-주님의 날의 준수에 대한 관심은 언제나 개혁교회의 강력한 특징
-현재 주일 성수는 너무 많이 양보되고 있다.
-부모들이 무너지니, 학생들은 말할 것도 없다.
-고3 안식년을 선포하고 1년 동안 교회를 안 다니고, 학원하고 학교에만 집중시킨다.
-주일 성수가 은혜이고 희년의 원리를 설파해야 한다.
-안 지키면 공부가 우상이 된다.
-누군가는 말씀의 원리를 이야기해야 한다.
-말씀을 제대로 선포하면 반응하는 성도들이 있다.
*주일성수에 대한 책(옥한음)
-주일날에 대한 부활의 확신이 예배의 동기가 된다.
-주일에 대한 것이 약해지면 예배도 약해진다.
*웨스트민스터 예배 규범서 특징
①영국 국교회의 강요에 반대하여 자유롭고도 성경적인 예배로의 통일을 위한 장로교도와 청교도들의 노력d의 결과로 만들어진 “포괄적인”예배 규범서
②청교도인 장로교 목사들과 독립주의자들, 그리고 스코틀랜드 위원들(서로 견해차이 때문에 많은 논쟁)은 예배의 개혁과 일치를 위해 타협점을 찾은 결과
-목슴을 걸고 개혁하면 개혁이 일어난다.
-배웠으면 개혁을 하던지, 모른척 하던지
-예배 개혁에는 역사적으로 목숨을 걸어야 한다.
-한국 교회에 낙스와 같은 사람이 있어야 한다. 나는?
③하나님 중심적인 예배 지침인 예배모범서의 구조는 하나님의 은총과 그 은총을 경험한 언약백성들의 응답을 핵심적인 예배의 관계로 설명
④설교 중심적이며 성경에 기초한 예배 지향
⑤단순하면서도 하나님과의 만남을 위한 경건한 의식을 통하여 언약 백성들의 영적인 경험을 지향(성령의 임재 가운데)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결의된 말씀의 예전
-종교개혁 특징들이 많이 반영됨
-말씀과 성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예전의식, 자국어로 진행, 규정 원리에 대한 배려, 성도들의 참여, 말씀의 으뜸성.
-사제주의 흔적들을 없애고, 과거의 예전에서 ‘복음’에 관계된 우선 사상 촉진
-공예배 예배 규칙서의 목적은 복음의 명료성을 보장하는 통일된 구성을 제공(양심음 얽매는 획일적 말씀이나 예식 제공이 아님)
①예배로의 부름(하나님의 성품을 상기시키고 찬양하도록)과 시작기도
②예배예찬, 은혜를 위한 간구(자발적인 겸비와 죄 고백을 북돋우기 위해), 조명을 위한 간구
③구약성경 낭독과 시편찬송: 의식보다 말씀 강조
④신약성경 낭독과 시편찬송
⑤죄의 고백과 도고의 기도(예찬을 통해 자발적인 겸비)
⑥성령의 조명을 위한 기도
⑦성경봉독
⑧설교: 성경본문 해석, 설명, 적용함
⑨감사/화답과 예배기도(설교에 대한 반응), 주기도문
⑩시편찬송
⑪폐회(성찬이 없는 경우)
*웨스트민스터 공예배 규칙서
-복음의 명료성을 보장하는 통일된 구성 지향.
-양심을 얽매는 획일적인 말씀이나 예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님
-복음이 참되게 이해되고 올바르게 주장되는 곳이면 어디서나 이런 예배 양식이 자연스럽게 나타남
-복음이라는 본질(내용)은 스스로를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예배 형식을 만들어 낸다.
-웨스트민스터 전통에 공통성이 존재하는 것은 보편적인 예배 양신ㄱ을 결정하면서 어떤 문화나 교회의 권력보다는 ‘복음의 형태적 특성’을 따랐기 때문이다.
-성경적 원리를 존중하면서 동시에 복음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자원들도 존중함
*과제에 활용하라
*부름의 다양한 형식
*죄의 고백의 다양한 형식
-복음이 참되게 이해되고 올바르게 주장되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예배 형식이 비슷하게 형성된다.
-예배 본질은 같음으로 예배 순서도 비슷하게 간다.
*다락방 예전
①선택적
②봉헌 후 초대, 성찬상으로 나아가기
③준비: 권면, 성찬 제정에 대한 말씀
④성별기도, 성찬 참여자들의 성별
⑤분병과 분잔: 성찬 떡과 포도주의 성별
⑥권면과 기도
⑦시편 찬송
⑧복음의 표현: 성경적 원리를 존중하면서, 문화적 경향보다 복음이 참되게 이해되고 표현되기 위해 추가적인 차원들도 존중하면서 생겨난 예배 양식
*복음의 강조
*신앙고백이 없엇다.
-예배 전체가 신앙고백이었다.
*청교도 예배 모범
-그들은 예배모범서의 예배순서를 초대교회의 모형을 따라 단순화시킴
①예배로의 부르심
②개회기도: 모든 경건과 겸손으로 주님의 측량할 수 없는 위대함과 위엄을 승인하고
-예배를 드릴 때에 그것들은 하나님의 존전에 특별히 나타남
③성경봉독
④공중 기도: 회중의 원죄와 자범죄를 고백하고, 말씀을 통하여 새로운 은혜를 주사 그리스도의 나라가 모든 민족 가운데 이루어질 것과 왕들을 위해 기도
⑤설교
⑥설교 후 기도
⑦축도로 예배를 마침
-때때로 성찬과 세례식을 시행
*웨스트민스터 예배 규범 영향
-스코틀랜드는 이 회의에서 결정된 주요 문서들을 스코틀랜드 교회의 교리와 예배와 행정의 표준으로 삼음
-웨스트민스터 규범을 따라 최초의 미국 장로교 예배규칙서인 『하나님의 공적 예배를 위한 규칙서(The Directory for the Worship of God)』를 채택함으로 예배기준을 확립
*Robert G. Rayburn의 예전
-R. Rayburn, O Come, Let Us Worship(Grand Rapids: Baker Academic, 1980)
①예찬
-말씀을 통한 예배로의 부름(하나님의 성품에 비춰서 예배해야 할 책임 부여 받음)과 찬가, 기원(예찬 기도)
②죄의 고백과 사죄의 기도
③은혜의 확증
④감사의 찬송, 헌금
⑤도고의 기도(경우에 따라 주기도문과 함께)
⑥구약 낭독, 찬송 혹은 성가곡
⑦신약 낭독
⑧성령의 조명을 위한 기도
⑨설교 본문과 설교
⑩예배 기도
⑪답창, 찬송
⑫폐회/축도
*예전 비교
-예전의 구조는 복음에 대한 교회의 (예배에 대한) 이해를 보여줌, 공동점과 차이점
-복음을 전달하는 예배 구조는 복음이 어떤 식으로 예배 순서를 형성하는지 ‘연속성’을 깨닫게 하고, 우리 시대 예배가 복음을 참되게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질문(반성)하게 함
-복음이 우리 시대에 예배 갱신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지를 간파하려면 역사 가운데 어떻게 복음이 계속 예배 구조를 통해 흐르게 했는가를 통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복음의 재 진술로서 예배 구조의 연속성(복음이 형태를 결정)
①모든 전통은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인정(인지)’로 예배를 시작함
-복음의 흐름이 시작됨
②죄의 고백: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반응 우리의 본성(죄성)에 대한 인정
③용서의 확증
-복음을 통한 사죄의 확증
④감사와 청원
-헌신의 표현, 복음을 깨달은 마음에서 나오는 반응,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그 분을 위해 살도록 도우시기를 바라는 소원
⑤가르침
-하나님을 기브시게 하기 위한 지식의 습득으로서 성경봉독, 강해설교(구체화된 하나님의 음성)
⑥책임부여와 축도
-예배 가운데 영적 경험의 절정은 말씀대로 사는 것(요일 3:18).
-강해설교의 철저한 적용
-하나님이 베푸신 언약의 축복으로 하나님을 위해서 살아가기
⑦말씀 예전이 복음의 구조를 통해 복음 이야기를 드러낸다면, 성찬(다락방 예전)은 ‘상징’을 통해 복음의 메시지를 ‘강화’
-복음이 왜곡되면 교회의 예배도 왜곡되며, 예배가 복음을 반영하지 않으면 복음 자체가 위험에 처한다.
-교회가 행하는 예배가 복음을 계속적으로 재 진술, 표현하는 곳이며 어디서나 하나님은 인간과 교회의 모든 부정함과 연약함과 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교회 안에 진리에 대한 증거를 보존하신다.
-복음을 일관되게 재 진술하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대대로, 인간적인 한계를 넘어서 자신의 은혜를 전달하시다.
*한국 교회의 예배 순서
①스코틀랜드(로스, 매킨타이어 등)와 미국 장로교회(알렌, 언더우드 등)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뿌리를 내리가 시작하였다.
②1907년 열린 조선 예수교 장로회 동로회에서는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규정한 예배모범과 교회정치형태를 회의에서 규정한 예배모범과 교회정치 형태를 본질적으로 신약의 가르침과 일치하는 것으로 받아들임, 이후 1934년 장로회 총회에서도 수용
③관안련의 예배모범서는 웨스트미스터 예배모범서의 영향을 받았다.
④스코틀랜드와 영미의 개혁 장로교회의 웨스트민스터 예배 전통보다는 프런티어 전통(Frontier Tradition)의 영향을 받은 경향
-개혁주의 예배 전통에 충실한가?
⑤프런티어 전통
-전도와 선교 지향적 예배
-회심자 중심적
-음악과 감성의 자유로움
⑥새로운 선교지인 아시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지역의 개혁 교회에도 영향
⑦19세기 말에 들어서면서 미국 내 프런티어 전통의 예배에 대한 개혁교외의 비판이 일어나고 예전 복고 운동이 일어남(한국 교회에 어떤 영향?)
-프런티어 전통은 미국의 서부 개척기에 변방에서 두드러진 특징들이 요구되었던 예배의식을 의미하는데 이를 화이트는 ‘개신교 예배의 미국화’라고 규정함
-이 전통은 실용주의적 경향과 교회법규나 예배규범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는 자유주의적 경향
*마펫이 소개한 주일예배 순서(1895)
①찬송
②기도
③성경봉독
④기도(회중 중 한 사람 혹은 두 사람이 대표로 함)
⑤찬송
⑥성경강도
⑦기도
⑧헌금
⑨찬송
*상당히 간소해짐
-당시의 한국교회에 평신도 밖에 없어서 전도하러 가서 예배 드리는 상황
-한국 교회에 목사가 함 명도 없었다.
-심방 가서 간단히 예배드리는 것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으로부터 구체적인 주일 예배의 순서를 제정하지 못한 초기 한국 장로교의 주일예배는 전도설교를 중심으로 구성된 노방전도형의 간단한 예배로부터 시작하여 1907년 대부흥운동의 영향으로 더욱 강화된 설교중심의 사경회형의 비 예전적 예배로 발전하였다.
*새문안장로교회의 주일예배(1932)
①묵도
②찬송
③기도(장로)
④시편낭독
⑤성경봉독
⑥찬송(성가대)
⑦설교
⑧기도
⑨헌금과 기도
⑩광고
⑪찬송, 송영
⑫축도
-한국 장로교 최초의 예배모범은 1922년의 조선 예수고 장로회 헌법에서 소개되었다. 이 예배모범은 미국 남장로교의 The Directory for the Worsip of God with Optional Forms를 번역한 것으로 미국 북장로의 것과 매우 다르다. 그리고 1934년의 대한예수교 장로회 헌법에 나오는 예배모범은 1922년의 것을 개정한 것이다.
-곽안련은 한국교회 초기의 예배현장에 대하여 그의 책에서 헌법에는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법이 규정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모든 예배가 이 규범에 의하여 드려진 것이 아님을 지적하였다.
-한국교회의 예배가 너무 단순함을 지적. 선교사들은 초기 한국인 목사들이 없는 상황에서 임시적으로 유지하여 왔던 평신도가 인도하는 예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보았던 것인데, 목사 배출 후에도 계속 단순한 예배를 드렸다.
-이 지적이 지금까지 이어짐
-프로티어 교회 예배 형식+남 장로교회 예배 형식+무디 선교단의 예배 형식
-주제설교, 제목설교가 유행, 강해설교가 사라짐
-모든 예배의 영향을 줌
*초기 한국 교회 예배 순서
①총설(總設 성경요절, 기도, 찬송)
②자복
③찬송
④성경낭독
⑤신경(사도신경, 십계명)
⑥찬송(합창 또는 특별찬송)
⑦성경낭독(설교를 위한)
⑧공기도
⑨찬송(합창이나 특별찬송)
⑩강도
⑪강도 후 기도
⑫찬송(송영)
⑬안수축복
⑭묵상기도
*1980=90년대 열린 예배로 전환됨
-뉴 프론티어 예배의 영향
-실용주의 교회가 모델
-사라들이 감도 받는, 사랑받는 예배가 좋은 예배로 인식됨
-개혁주의 예배 전통을 회복하지 못하고 새로운 예배를 받아드림으로 한국 교회의 어려움을 초래하게 됨
-2-30년 동안 중심 축이 됨
-예배의 양극화(프론티어 전통 예배와 뉴 프론티어 전통 예배 사이)
*복음주의 Emerging 교회의 탄생
*결론
-지금이라도 개혁주의 예배 규범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배를 창출해야 한다.
-초대교회와 그 시대의 복음의 DNA를 회복하는 것
-더 강력한 말씀이 살아 있는 예배
-형식적이 아닌 강력한 복음 선포
*개혁적인 워십은
-예비가 살아 있는 교회
-개혁주의 전통을 제대로 살려서 지금 시대에 맞도록 새로운 예배를 창출하는 것
-형식은 다양하게 갈 수 있다.
-본질을 확실히 붙잡고 살려야 한다.
*사명감을 가지고 리포트를 써라
-지금이 찬스이다.
-부흐으이 시대, 예배 갱신의 시대, 제 도약의 시대가 올 것이다.
-예배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
-안 된다고 하는, 망한다고 하는 그들의 예측을 틀리게 만들라.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예배문화 연구 (0) | 2014.04.09 |
---|---|
목회학 서론 (0) | 2014.04.09 |
교회개척자의 성품과 자질 (0) | 2014.04.07 |
성경에 나타난 교회 개척의 형태 (0) | 2014.04.04 |
개혁주의 윤리학(J. 다우마) (0) | 201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