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정체성의 고민

예림의집 2014. 4. 10. 21:04

정체성의 고민

-정체성이 흔들리고 이 때문에 많은 고민과 어려움이 있다.

-목회 상담이 이런 것이라는 개념을 가추는 것이 중요하다.

-청소년기, 청년기에 고민하게 되는 것이 정체성이다.

 

*상담 또는 심리치료의 정의

상담: 좀 덜 아픈 사람이, 좀 더 치유를 경험한 사람이 좀 더 아픈 사람, 좀 더 치유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돕는 과정

-여전히 상담자도 완벽하지가 않다.

-목회자도 마찬가지다. 완벽한 목회자란 없다.

-목회자도 성장하고 성도들도 함께 성장하는 것이 바로 목회이다.

-정신, 마음, 심리

 

심리치료: 인격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 성장, 발달하도록 돕는 장기적인 치료 과정

-내담자와의 언어적이며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에 일차적으로 기반을 두어 정신적이며 감정적인 장애를 치료하는 것

-편집적이고, 편협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을 균형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으로 치유해 가는 것

-인식의 전화를 유도한다.

-인격의 구조, 기능(통제, 절제) 등을 강화시킴

-치료의 수단은 대화 즉, 언어이다. 듣고 말하는 동한 내면의 변화를 일으킨다.

-언어, 태도, 표정 등.

-시대가 갈수록 장애적인 심리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진다.

-모든 사람이 심리적, 정신적 장애를 조금씩 가지고 있다.

-병리 화 되면 대인관계, 신앙생활, 목회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기독교상담 혹은 목회상담의 정체성

기독교상담: 기독교적인 신관과 인간관, 세계관을 가진 상담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들 혹은 시스템들에게 치료적인 맥락 속에서 도움을 주는 활동과 과정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상담을 하는 것

 

목회적 돌봄(상담): 대표성을 띠는 크리스천(목사)들이 궁극적인 의미와 관심의 맥락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네 가지 기능들을 가진 돕는 행위

-하나님은 어디 계시고, 왜 고난이 오며, 고난의 의미는 무엇일까?

①Sustaining(지탱하기)

②Giding(안내하기)

③Healing(회복하기)

④Reconciling(화해시키기)

 

목회심리치료: 내담자의 인격과 영적인 가치 그리고 사고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도록 돕는 장기적, 심층적인 돕는 과정

-전문 목회 상담사

-교회 내에서, 교회 밖 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다.

-목회상담협회 활동

 

1. Shepherding Ministry(목자적 사역)

-삼위 하나님은 자신을 목자로 계시하심: 목회적 돌봄은 삼위 하나님의 사역

“그가 요셉을 위하여 축복하여 이르되 내 조부 아브라함과 아버지 이삭이 섬기던 하나님, 나의 출생으로부터 지금까지 나를 기르신 하나님, 나를 모든 환난에서 건지신 여호와의 사자께서 이 아이들에게 복을 주시오며 이들로 내 이름과 내 조상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름으로 칭하게 하시오며 이들이 세상에서 번식되게 하시기를 원하나이다(창 48:15-16)”

 

*선한 목자(good Shepher)

-예수 그리스도

-좋은 대담 관계

-목자인 다윗

-악한 목자(bad Shepher): 에스겔 34장

-양에게 있어서 좋은 목자는 좋은 환경이다.

-좋은 부모와 나쁜 부모

-목양을 하는 것은 나쁜 대상관계를 맺어 자존감이 나쁜 사람들에게 주님을 대신해서 좋은 목양의 관계를 맺어줄 때 치료가 된다.

-자기 이야기를 관심 있게 잘 들어줌으로 자신의 가치감을 심어주는 것.

-목회할 때 실제 만나게 될 양들이 나쁜 관계로 인하여 상처 입은 양들이 대부분이다.

-왕, 제사장, 선지자의 역할을 목자라 하였다.

-목회 또한 삼중직의 역할이다.

-인도의 기능, 위로의 기능(계 7:17)

-천국에 가면 상담(상담자)이 필요 없다.

 

*목자의 기능

①Feeding(Nurturing양육)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 23:1)”

-하나님이 주신 부모님이 물려주심 선한 기질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것.

-어떤 환경에서 양육을 받았는가가 중요하다.

-똑 같은 씨를 뿌렸는데 조건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다.

-신앙생활에 따라 믿음의 성숙도(눈높이)가 다르다.

-상대방에 수준에 맞추어서 어떻게 상담할까?

-내담자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말씀을 적용하여 필요한 상담을 하는 것

-목회자 자신이 말씀에 대해서 소화를 잘하고 말씀에 대해 간증이 있어야 한다.

-영적 갈급한 자, 굶주린 자를 먹이는 것, 설교의 기능에는 상담의 요소가 있다.

-좋은 가슴과 나쁜 가슴(빈약한 가슴)-영양 공급이 암 됨->욕구 불만->화가 남

-하나님 말씀을 심리적인 통찰을 통해 풍부한 지식과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교 또한 성도들에게 먹이는 과정이다. 빈약한 설교는 성도들에게 공격성을 유발시킨다.

-잠, 지각 등

②Calling(친밀)

-선한 목자는 각자의 양들의 이름을 알고 불러냄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불러냄

“이스라엘이 어렸을 때에 내가 사랑하여 내 아들을 애굽에서 불러냈거늘(호 11:1)”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지만 우리는 부분적으로 안다.

-부지런히 알고자 노력하여야 한다.

-낯설으면 안 된다.

③Guiding(안내)

-특히 영적인 사역(말씀과 더불어 역사하심)

-영적인 눈이 열렸다가 다쳐서 하나님이, 말씀이 잘 안 보이는 성도들의 눈을 밝혀서 보게 하는 것

-인도하는 자가 눈이 밝아야 한다.

*Educating and teaching:

-예수님의 사역, 바울의 사역의 중요한 부분

-권면과 가르침

-잘못된 가르침

“선지자들은 거짓을 예언하며 제사장들은 자기 권력으로 다스리며 내 백성은 그것을 좋게 여기니 마지막에는 너희가 어찌하려느냐(렘 5:31)”

-잔잔한 물가, 푸른 초장으로 인도하는 것

④Sacrificing(willingly 희생)

-기꺼이 희생하는 것,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적인 리더자들이 있다. ->하나님의 심판이 있음(겔 34)

-100%완벽은 자기를 속이는 것

-자기 중심적인 것을 모르는 사람(역기능적, 병리적인 상담자)

⑤Relating(good object relations 관계)

-사람은 가만히 있으면 변화되기 어렵다.

-인격적인 만남이 필요하다.

-일차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만남을 통해 내가 가치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 것

-나쁜 목자는 양들에게 상처를 입히고 양들을 흩어지게 만듦

-하나님과 나쁜 대상관계, 하나님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줌

-교회에서 상처받는 양들, 특히 목자들에게…

*나뿐 목자

-겔 34장 분석: 이스라엘 목자들의 문제점들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조명하자.

-자기만 먹이는 목자: 양 무리를 먹이지 않음, 양들이 영적 기근에 시달림

-영약한 자를 강하게 하지 않는다. 목양의 기능(지탱, 격려, 용기, 능력부여)

-하나님은 꺼져 가는 등불도 마저 끄지 않으시고 상한 갈대를 마저 꺾지 않으심

-하나님이 원하시면 없던 자리도 만드심.

-병든자들을 치료하지 않고, 싸매주지 않고, 응급하지 않다.

*병든 양을 치료하는 기능(특히 응급 상황에서)

-전인치유(영적으로 시험에 빠져 낙심한 양, 신체적, 정신적인 병에 걸린 자를 온전케 하는 일-makig whole)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저는 교회의 장로들을 청할 것이요 그들은 주의 이름으로 기름을 바르며 그를 위하여 기도할지니라 믿음의 기도는 병자를 구원하리니 주께서 그를 일으키시리라 혹시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사하심을 받으리라 그러므로 너희 죄를 서로 고백하며 병이 낫기를 위하여 서로 기도하라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많으니라(약 5:14-16)”

-Healing의 포괄적 개념 이해 필요: redemption(구속), being free(자유함), and dying(죽음)

-기도는 목회 상담의 정체성 중의 하나: intentional process(성령의 임재와 치유적 능력)(셋+둘)

-모든 기도가 필요하다.

-Not bringing back the strays or searching for the lost(길 잃은 사람들을 되찾아 오지 않았다.)

*눅 4:18-19에 나타난 목양의 구체적 기능: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 심령이 가난한 자 포함

-감옥에 갇힌 자에게 자유를 선포하는 것(liberating from bondages, addictions, sins, idolatry, wrong attachments)

-눈 먼 자를 보게 하는 것: enlightening, regenerating, 마음의 할례가 일어나게끔 하는 것, 복음을 영접하게 하는 것, renewing hearts and minds day by day

-억업받는 자를 놓아주는 것(개인과 사회)

*너무 엄하게 다스림

-목양의 기능: 잘 다스리는 기능이 필요.

-질서를 유지하며 몸을 세우는 일을 감당함, 외부 공격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음

-권위가 있어야지, 권위주의자가 되면 안 된다.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

-공평과 정의로 잘 다스리는 목자

-부교역자를 대할 때 반말로 대하지 말라.

-담임 목사의 종이 아니라 하나님의 종이다.

⑥Shepherding with justice(공의로 목양)

-균형을 말함. 어느 편에 서지 않는 것

-편애하는 목양은 양들의 마음에 상처를 줌.

⑦Blessing(축복하는 것)

-축복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시 23:5)

-기독교적인 자긍심을 세워준다.

-진심으로부터 칭찬과 격려

-하나님의 자녀로 복을 깨닫게 함

-목양과 축도의 관계성

*Prophetic voice와 저주를 혼동하면 곤란함:

-욕하는 목사, 말에 실수가 많은 목자

“혀는 능히 길들일 사람이 없나니 쉬지 아니하는 악이요 죽이는 독이 가득한 것이라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 한 입으로 찬송과 저주가 나오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치 아니하니라(약 3:8)”

 

2. Ministry of the Church

*목양과 목회상담은 교회의 사역, 개인적인 돌봄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짐을 나누워 지는 것이 필요하다.

 

3. 신학적 훈련과 신학적 능력

-성도나 내담자의 삶을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 분석, 진단, 처방할 수 있는 교육과 능력을 요구한다.

-신학 공부가 헛되지 않음

-성경 지식과 해석에 전문가이어야 한다.

-목회상담자의 모국어는 신학적(성경적) 언어

 

4. 윤리적인 태도에서 중립적이지 않음

-분명 가치 기준이 있다.

-사람을 기쁘게 하는 상담자는 목회상담자가 아니다.

 

5. Pastoral Resources

 

6. Spiritual attention: focus on the eternal, net on the temporary

-영원성의 초점을 마춘다.

-목회 상담자의 주 관심: soul., heart, and mind

 

*고려할 질문들

1. 일반상담과 구별되는 목회상담의 특징은 무엇일까?

2. 성경에 나타난 목자상에서 배울 수 있는 상담자의 자질은 무엇일까?

3. 세계관이 상담에서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4. 목회상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앙자원들은 무엇일까? 언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5. 현대교회에서 목회자는 상담자로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메니우스 전인교육론과 우리의 교회 교육  (0) 2014.04.10
교육이란?  (0) 2014.04.10
실천신학의 방법  (0) 2014.04.10
21세기 예배문화 연구  (0) 2014.04.09
목회학 서론  (0) 201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