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반듯이 필독
*실천신학의 차원
①의미(meaning)의 차원
-진리
②행동(action)의 차원
-타당성, 기술, 능력, 미
③자아(self)의 차원
-신실성
④
⑤
*개인적 영역
①평신도 구비학(신학)
-목회신학과 균형을 맞추는 신학
-사역은 일반사역(편신도사역), 안수사역(대표사역)
-행 1장: 승천->인사->성령
-크레머의 평신도 사역
-일반 사역과 안수 사역이 함께 가야 한다.
-사역의 질을 같으나 사역의 권위가 다르다(신학의 대표성).
②기독교 상담
-기독교 상담과 목회 상담은 다르다.
-기독교 상담학은 일반사역, 목회상담은 안수사역에 속한다.
③기독교 영성 신학
-조직신학과도 연관이 있다.
-원래는 경건이라고 하였다.
-성도들를 그리스도인으로 만드는 훈련
*교회적 영역
①목회학
-목사론이 아니다.
-훨씬 포괄적인 것이다.
②설교학
-새 설교학 1970년대 이후로, 청중이론, 전달이론에 치중되어 있다.
-최근의 경향은 예술로서의 설교학이다(독일).
③예배학
-웨민회의에서의 핵심 주제는 예배였다.
-자유와 질서의 타협=워십 디렉토리(예배모범)
-구체적으로 예배를 나열하면 예배서이다. 질서를 중히 여기면~
-청교도 예배에서 예배서를 거부하였다.
-모범은 순서지가 아니라 창고이다.
④교회 행정
-목회지휘자(공동체 전체를 이끌어 가는)
-나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담임목사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학교에 오라.
-나는 돈을 내고 예수를 믿는 사람이다. 목사는 돈을 받고 예수를 믿는 사람이다.
-문턱을 나추는 것이 목회의 기본이다.
⑤교회양육학
-목사가 교인을 양육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를 양육하는 것이다.
-교회 성숙의 차원을 넘어서서 하나님이 교회를 어떻게 키워가시는가
-교회개척론->교회성장학->교회갈등론(목사해소권)->교회컨설팅(NCD)
*공동체적 영역
①기독교 교육학
②교구론
③교회정치
-정책: 다스리는 방식
-교회법
*사회/세계적 영역
①공공신학
-교구신학과 연결
-환경문제
②기독교 봉사학
③세계 선교학
④예술신학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천신학의 방법 (0) | 2014.04.10 |
---|---|
21세기 예배문화 연구 (0) | 2014.04.09 |
종교개혁 이후 웨스트민스터 전통 (0) | 2014.04.09 |
교회개척자의 성품과 자질 (0) | 2014.04.07 |
성경에 나타난 교회 개척의 형태 (0) | 201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