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з성경공부반...♡з/정통과 이단

이단의 발생 원인②

예림의집 2019. 11. 2. 15:09

이단의 발생 원인②


이런 현상은 한국의 신흥 종교 발생 배경과도 유사합니다. 전도관, 통일교 등 무수한 유사 사이비 이단 종파들이 일어난 당시 한국 교회의 상황이야말로 이단이 발생할 수 있는 정치, 사회, 종교적 최적의 상황이었습니다. 1882년 개신교가 이 땅에 복음의 씨를 심은 후에 한반도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대를 벗어난 적이 없었습니다.

사회적인 불안정과 경제적인 고통이 지속된 역사였습니다. 36년간의 일제의 압제 아래 고통당한 민족사, 해방을 맞이했으나 기쁨이 사라지기도 전에 당한 6. 25 전쟁의 비극, 남한만의 자유 민주주의 회복이 이루어졌으나 부정과 부패로 인한 사회적 혼란, 이를 틈타 일어난 쿠데타와 군사 독재 하에서의 혼란한 정세, 경제 개발 제일주의 정책으로 인한 노동 시장의 대혼란, 지속적으로 불안을 가져온 북한의 도발 위험, 대학생들의 데모와 노동자들의 시위, 경제 성장 주의가 가져온 사회적 가치의 전도, 가정 파괴, 도덕성의 저하 등 어느 나라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변화가 한 세기 동안에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기의 교회에 성장과 더불어 개신교 역사상 가장 많은 교파를 양산할 정도로 분파 운동이 발생하였고, 물량주의에 물들었으며, 교권주의와 교단 정치가 판을 치는, 일반 정치 현장을 방불케 하는 교단 총회들이 득실거리게 되었습니다. 축복 신앙이 민간 신앙과 접목하면서 경건하고 건실하고 인격적인 성경 중심의 신앙이 설자리를 잃어버리고, 사이비 무속 신앙이 기독교계를 혼란스럽게 하는 부흥 신앙이 되어 유행병처럼 번져갔습니다.

무분별한 주관적 성령 운동이 주도하는 은사 중심의 신앙이 열기를 가하면서 조용한 인격적인 신앙이 맥을 못 추게 된 것입니다. 이런 분위기에 휘말려 너도나도 성령 체험과 열정적 신앙을 무분별하게 추구하면서 극단적인 계시론과 신비적인 체험을 기준으로 정통 교회의 가르침을 이반하여 갓길을 걸어간 이단들이 대거 나타났습니다. 사회적인 대혼란과 교회의 비정상적인 기능의 합작품으로 이단이라는 병리 현상이 교계에 나타난 것입니다.

노길명 교수는 신흥 종교는 건전한 사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잘라서 말하며, 기존 종교의 결함이 신흥 종교의 발생 원인이 된다고 강조합니다. 사회적인 병리 현상은 시성 종교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즉 물량주의, 업적주의, 개인주의, 경쟁주의, 권우주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교회의 극심한 분열주의는 사회적인 병리 현상에 찌든 영혼들을 위로하고 치유하기는커녕 실망시키는 역기능을 합니다.

기성 종교는 사회에서 소외된 자, 눌린 자에게 친근한 종교가 아니라 매머드화된 중산층 중심의 종교로 변화하면서 사회에서 소외되고 상처받고 힘없는 자들의 안식처가 되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기성 종교에 비판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자들에게 신흥 종교를 택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결국 신흥 종교의 발생에는 사회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성 종교의 병리 현상이 이단의 발생 근거가 됨을 주장하면서, 노 교수는 기성 종교를 향해 의미 있는 제언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성 종교가 가난한 이웃들과 함께한다면, 민중의 고통과 한을 함께 나누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 노력한다면, 기성 종교 내에서도 인간 회복과 사회 정의가 실현된다면, 기성 종교가 병든 사회의 병든 종교로 변질되지 않는다면, 기성 종교 내에서도 권력이나 위세, 경제적 부, 교육 지식을 갖지 못한 자들이 자리 잡을 터전이 마련된다면, 고통받고 억눌린 자들이 굳이 이단, 사이비 등으로 불리는 신흥 종교를 찾을 이유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신흥 종교의 산모는 기성 종교라 할 수 있으며, 신흥 종교의 발생에 대해 기성 종교가 맡아야 할 책임이 크다고 하겠다. 이점에서 기성 종교는 신흥 종교를 비난하기에 앞서 자신의 위상과 역할을 냉엄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할 때에만 '살아 있는 종교', '역동성 있는 종교'가 도리 수 있다."

'ε♡з성경공부반...♡з > 정통과 이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단의 특성②   (0) 2019.11.21
이단의 특성①  (0) 2019.11.14
이단의 발생 원인  (0) 2019.10.25
이단의 판정 기준  (0) 2019.10.18
이단의 정의   (0) 2019.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