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실제
전통적으로 교회학교는 교육과정을 위한 결정이 사역자나 혹은 행정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부장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부장의 임명시 가능한 한 교구의 전문성을 고려하지만 대체적으로 전문성보다는 행정 업무와 교사를 위한 지원업무에 역점을 두고 임영합니다. 따라서 부장은 교육전문가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전문성이 결여된 사람에 의해 교육과정이 결정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의 실제는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충 지도자에 의해 결저오디고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기에 교사들 가운데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하여 실재의 과정에 참여시켜서 교회교육의 교육과정을 수림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때 사역자와 교사와의 의사소통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위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교사들은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교재의 사용과 학생들의 반응 그리고 장점들과 문제점에 대해서 파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전문성을 지닌 교사가 부족하다면 조급해하지 말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문성을 가진 교사들을 양육해야 합니다.
'ε♡з교회 사역...♡з > 교회교육의회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을 고려하라 (0) | 2018.06.28 |
---|---|
교회 교육을 구체화하라 (0) | 2018.06.21 |
교육과정의 선택 유형 (0) | 2018.06.05 |
교육과정의 원리 (0) | 2018.05.30 |
교육과정의 유형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