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з교회 사역...♡з/교회교육의회복

교육과정의 유형

예림의집 2018. 5. 24. 17:52

교육과정의 유형


교회교육에서 우선적으로 교육과정의 유형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유형은 다른 말로 하면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①내용 중심의 교육 과정

1920년을 전후로 해서 교육과정의 중심은 교과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교과 중심이라는 것은 교육을 행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중심이 아니라 이것을 교사가 학습자에게 가르쳐야 하는 내용이 중심이었음을 말합니다. 교회에서 교사가 가르치는 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교육적 행위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교과내용이 중심입니다.


②경험 중심의 교육과정

경험 중심의 교육과정은 1930년 전후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 교과만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리고 교육의 내용이 현실사회와는 거리가 먼 과거 지향적이라는 사실에 대해 인식하게 되면서 교과 중심의 교육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교육과정에서 교과보다는 경험이 중요시됨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일명 경험 중심 교육과정입니다. 학습자들이 갖게 되는 경험이 교육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 말의 의미에서 추론하듯이 이 과정은 교사주도형의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 즉 학습자들의 경험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교육내용도 교사의 필요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학습자의 필요에 의해 계획되며 실행됩니다. 경험을 통하여 배운다고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일 것 같습니다. 이 교육과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케 하여 그들이 매움의 과정에 참여하게 하는 당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③학문 중심의 교육과정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것은 지식탐구가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지식을 본질로 하여 그 지식을 이해하고 탐구하며 체계적으로 조직해 놓은 것을 말할 수 있습니다. 브루너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런 형태의 모습이 교히교육에서도 발견됩니다. 즉 교회에서 핵심개념이나 원리 등을 가르치기 위해 학습자들의 관심이나 욕구보다는 의도되고 계획된 가르침과 학습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의도된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하는 또 다른 분류를 말할 수 있습니다. 구조화되고, 구체화되면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의도된 교육과정이 있고 이런 요소들이 배제된 잠재적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이는 학습자들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배우고 익히는 모든 과정이며, 교회생활이나 공동체에서 경험하는 모든 활동들에서 배우는 과정을 말합니다. 교회활동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인성을 배우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책임감을 베우며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삶을 배우게 됩니다.

특별히 이 과정에서 교사의 영향력은 매우 커지게 됩니다. 교사의 인격과 태도 그리고 표면적으로 보이지 않는 사람과 관심 등이 학습지들에게 그리스도의 사랑과 비교하여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과정도 교회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교사가 단적인 지식을 강조하거나 혹은 성경을 지식의 중심으로 전달하려고 하는 태도에 대해 경종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