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가
(변증가들은 기독교인들이 헛소문과 불합리한 이유들 때문에 박해 받는 것을 변론하기 위해 활동한 초대교회 학자들이다.)
-편견에 의한 비난과 욕들을 철저하게 막아내야 한다.
-상황에 따라서 지혜롭게.
-박해와 이단들을 향해서 활동했다.
1. 활동의 종류
⑴ 방어적 활동
-기독교인의 무죄성 강조 (무신론, 식인종, 근친상간은 헛소문)
-기독교인이야말로 최고의 도덕적 순결성이 있음을 설파함.
-무신론주의, 근친상간, 신인한다.
-십계명, 산상수훈 등을 들어 논리적으로 변론
⑵ 공격적 활동
-그들을 공격하는 자에게 대항․공격 (유대교, 이방종교)
-공격 해오는 상대방의 약점을 공격하는 것
-이방 종교의 윤리적 약점, 허구성 등을 들어냄
-사람이 만든 족가 앞에 복을 달라고 비느냐?
-오늘날도 페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⑶ 교리확립 - 교리의 구체성을 느끼고 교리확립에 주력
-성경이 당시에는 존재는 했지만 모든 사람이 소유하지 않았고, 성경의 정경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성경책을 읽어서는 기독교 교리를 논리적으로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방대함).
-교인들이 바른 신앙을 갖게 하기 위해서 성경의 핵심을 교리로 체계화 했다.
-교인들에게 집중적으로 교육시킴
-신조와 신경, 요리문답 등으로 발달함.
-요리문답 반드시 암기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성경의 모든 문제를 대처해 나갈 수 있다.
-헬라철학을 많이 이용함.
2. 변증가들
⑴ Diognetus에 보낸 편지 - 저자 미상의 우수한 변증서
① 서문은 인사(페하께서…)
② 3,4장에서는 유대인의 신을 공격함
③ 그 후에는 세상에서 기독교인의 생활모습을 그림
-다른 이들과 구별되지 않음
-놀라운 통일성과 조직(교회)
-모든 외국이 저들의 조국이며, 조국 또한 외국이다.
-시민권은 하늘에, 율법이 요구하는 것 이상.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모든 사람에게 박해를 당함
④ 고후3:10, 5:16, 롬8:4, 요17:13-19, 8:3,6,37, 빌3:20, 엡2:19-22를 기초하여 서술
⑤ 그 후 기독교의 중심교리를 서술- 창조주요 통치자, 구원주요 심판 주 하나님.
⑥ 9장에서는 우리 죄를 용서하고 사랑하는 하나님께 감사.
-가장 오래 됨
-하드리안 황제에게 제출한 것으로, 카투라투스가 쓴 것으로 추정됨.
-어거스틴의 “신의 도성”의 성구자(문체가 화려하고 아름답고, 신앙의 깊이와 폭, 문화의 문제점).
-문장의 아름다움과 박력, 신구약 성경 전체를 망라함
-교회의 박해를 중단시키는데 기여함.
-핵심적 교리를 논리화 조직화 함.
⑵ Aristides(아리스티데스)
① 138년 Haerian황제에게 씀. 하나님과 이 세상에 대해 간략히 논함.
② 사람을 4범주로 분류함.- 야만인, 희랍인, 유대인, 기독교인
-철학적 원리를 가지고 설명
-하나님은 최초의 운동자, 인간을 창조, 이름, 시작, 끝이 없다.
-사람을 네 종류로 부주(야만인, 희랍인, 유대인, 기독교인)
-칼빈,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을 믿은 사람은 우상 숭배하는 것이다.
-기독교: 참 진리를 발견한 사람
⑶ Justin Martyr(125 - 166)저스틴 마르티르
① 회심
-진리를 찾아서 방황함, 참 진리를 깨닫지 못함
-해변에서 노인을 만남, 구약의 선지서를 설명하면서 기독교를 소개함.
-성령이 역사하심, 변증을 위해 일생동안 살다 순교
② Justin전의 Logos교리
③ Logos 기독론
-그리스도 이전에도 로고스를 따라서 생활한 사람은 그리스인이다.
-아브라함, 이사야, 아나니아, 소크라테스, 플라톤
-이사야와 아르스토텔레스를 동급으로 놓음
-비난이나 욕을 안 함.
-동기와 목적이 당시 철학자들에게 기독교인들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박해를 전달하기 위해
-신학이 발전하기 전 최 초창기이기 때문에 비난할 수 없다.
-기독교인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르스토텔레스와 같다. 그러므로 핍박하지 말라.
⑷ 트리포와의 대화(유대 랍비)
-저스틴이 랍비를 전도하기 위해 이틀간 대화를 나누지만 돌이키지 않는다.
① 135년 팔레스타인 유대인 반란 후 에베소에서 유대 랍비 Trypho와 대화 나눔
② 이사야 53장을 인용하며 메시아의 고난을 주장함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것은 인정하지 않았다. 시편 96:1 나무이야기
③ 트리포- 고난설은 믿으나 십자가에 죽은 자를 믿는 것은 신성모독이라 함
⑸ 타티안
① Justin에 의해 개종함. 후일 엔크라티테스이단에 속했다 함
② 기독교의 우월성, logos 이론
⑹ Athenagoras(아데나고라스)
① 크리스찬은 무신론자가 아니다.
② 아버지와 아들의 일치성 강조 (아들은 첫 열매, 창조된 것 아님)
③ 아들은 아버지 안에 아버지는 아들 안에
④ 성령은 아버지께로서 나온 광채 →3위 일체 교리 성립
3. 변증가들의 논쟁들 -정리
① Logos 개념 발전으로 그들의 사상을 전달함
② 보이는 우상숭배가 더 나쁘다고 반박함.
③ 부활 신학을 주장
④ 기독교인의 순결 강조
⑤ 황제 숭배 거절 이유 - 황제는 충성의 대상이지 숭배대상이 아님
- 그들은 사회의 문화보다는 분명히 기독교의 계시를 우위에 두었다.
-모든 박해가 완전히 중단되고 이단들이 완전히 물러간 것은 아니고
-박해가 완화되고, 이단들이 잠시 물러가는 효과를 낳았다.
-젊은 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이레나이우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신교 선교의 준비 (0) | 2014.09.15 |
---|---|
그레고리우스 1세(590-604) (0) | 2014.09.15 |
서론: 기독교 역사관 (0) | 2014.09.03 |
언약도의 교회와 국가 관계 (0) | 2014.04.23 |
중세문명의 특징과 위기 (0) | 201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