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영국의 청교도 운동

예림의집 2014. 3. 27. 21:01

영국의 청교도 운동

 

1. 청교도 운동의 근원

엘리자베스 1세(재위 1558-1603)가 즉위한 후, 그녀는 기대와는 달리 황제교황주의적인, 신구교간 중도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엘리자베스 1세는 수장령(1559)을 통해 “왕은 최고의 통치자”임을 밝히고 39개조(1563, 칼빈주의적. 중요 신앙고백서)를 교회의 기준으로 제정한다.

*성직자회의의 청교도적 조항(1563)

-켄터베리에서 구교의 잔재(성직자의 제복 등)를 청산하도록 주장하였다.

-이 사건으로 “청교도”란 이름이 유래하게 된다.

-1571년 엘리자베스 여왕의 39개 조령이 의회를 통과하게 되고 이후 여왕의 종교 정책을 반대하는 모든 개신교도를 청교도라 칭하게 된다.

 

2. 영국 장로교회

①토마스 카트라이트(1535-1603)

케임브리지대 출신이다. 당시 켄터베리 대주고 크래머가 1549년에 부써를 초빙하였고, 카트라이트는 그에게 배움을 얻었다. 영국 교회의 주교제도를 부정했고, 장로제도를 제시하였다. 해임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 제네바의 개혁교회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공동생활 형제단이 로마 교회 내의 개혁을 추구하였다.

-중심인물로는 흐로떼와 토마스 아 켐피스 등이 있다.

②탄원논쟁

카트라이트와 위트기프트 간의 논쟁으로, 카트라이트는 1572년에 런던 교외에서 영국 최초의 장로교회를 세우게 된다.

-십자가의 신학, 자기 비하의 신학, 공동생활 형제단의 연속성

 

3. 회중교회

*로버트 브라운(1550-1633)

영국 청교도 내의 두 파가 존재하였다.

①장로파: 영국교회와 분리 반대 / 일시적인 분리: 온건파

②독립파(회중파): 청교도 내의 급진파

브라운은 독립파의 창시자로 1581년에 회중교회를 세웠다. 이 후 네덜란드의 제이란트의 미델부르그에 피난민교회 세우게 된다. 브라운의 사상은 영국 국교회와 장로교회의 국가와의 관계를 모두 부정하는 것이었다. 정교 분리를 주장하고 초대교회를 모델로 하고 있다.

 

4. 제임스 1세

국가에 충성했던 청교도들은 엘리자베스 여왕에게 박해를 받을지언정 여왕에 대해 반기를 들지는 않았다. 이 후 제임스 1세가 즉위하면서 스튜어트 왕조가 시작되었다. 그는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를 그곳의 국민교회로 인정했으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주교제도로 전환을 시도하였다. 제임스 1세는 왕권신수설을 신봉하였다.

*왕권신수설

-왕의 부여받은 권리는 ①하나님의 법 ②자연법 ③보통법 이다.

-스코틀랜드 칼빈주의자들의 계약사상과 저항권을 반박하기 위함이다.

청교도들은 제임스 1세에게 천인청원서를 제출하였다. 여기에는 장로제 도입과 주교제 폐지 등의 주장이 담겨 있었다. 당시 청교도들은 해외 무역으로 세력이 신장하여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었다. 제임스 1세가 소집한 햄튼궁 회의(1604)에서 청교도 측과 국교파의 논쟁이 벌어졌고, 결국 “주교 없는 왕이 없다”며 제임스 1세는 청교도와 결별하게 된다. 이 회의로, 성경번역이 제안되어, 1611년 킹 제임스 역본이 완성된다. 청교도의 주일성수 자극으로, 1620년 120명의 청교도가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출발하게 된다.

 

5. 찰스 1세(제위: 1625-49)와 권리청원

의회는 영국 교회 안의 고교회파를 비판하였다. 고교회파는 주교제도를 정당화하였고, 비국교도를 배격하고 의식을 중시하였다. 대표자인 윌리암 로드(1573-1645)는 네덜란드의 도르트레크트 회의(1618)에 참석하여 아르메니우스를 지지한 바 있다.

*권리청원(1628)

-청교도가 주축이 된 하원이 제출

①왕은 의회의 동의 없이 세금 징수 불가

②왕은 자의적으로 시민 구속 불가

-왕이 권리청원을 거부하면서 회의가 해산하게 되었다.

 

6. 윌리암 로드

의회 해산 후 1628년 윌리암 로드를 중심으로 고교회파가 득세하게 된다. 그리고 1633년 저교회파의 지도자가 사망한 후 로드가 켄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면서, 고교회파가 영국교회를 장악하게 된다. 저교회파도 주교제도를 지지하나, 영국교회도 개신교이므로 청교도에 대해 관용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고교회파의 득세로 청교도의 탄압이 강화되고 청교도들은 신대륙으로 더 이주하게 된다. 윌리암 로드는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도 탄압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스코틀랜드 장로교인들은 1638년 국민계약을 체약하였다. 스코틀랜드 국민은 하나님과 계약을 맺었으므로 대적하는 자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이었다.

-찰스 1세는 1639년 스코틀랜드를 침공했으나 그 해 휴전을 체결하게 된다.

 

7. 청교도혁명(1640-1660)

①시작

찰스 1세가 스코틀랜드와의 전쟁 배상금 문제로 의회(장기의회: 1640-1648)를 소집하자, 청교도가 다수였던 의회는 왕의 종교 고문 윌리암 로드와 군사고문 스트래포드 백작 토마스 웬트워드를 탄핵함으로 청교도 혁명을 시작하게 되었다.

 

②전개

스트래포트 백작의 처형 후, 1641년 10월에 아일랜드 얼스터(Ulster) 지방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영국과 스코틀랜드 출신 개신교 수천 명이 아일랜드인들에 의해서 학살되었다. 당시 북아일랜드느 얼스터 지방이라고 해서, 신구교의 격전지였다. 영국은 얼스터 지역의 영국화를 위해서 대부분 청교도와 장로교도였던 많은 영국과 스코틀랜드인의 이주를 권장했고 갈등의 근원지가 되었다.

*대간쟁서 사건

얼스터 발란 이후, 찰스 1세는 아일랜드에 군대를 파견하기 위해 의회에 예산을 요구했고, 의회는 이에 대해 1641년 ‘대간쟁서’를 제출했다.

-군대파견을 허락하되 군대지휘권은 의회에 있다.

-청교도는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는다.

-영국의 주교제를 폐지하고 장로제를 도입한다.

*대 내란(1642-1648)

이에 대해 왕당파의 기사단과 의회의 원두당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청교도가 많았던 영국 동부, 남동부가 그 중심이 되었다. 영국함대는 의회군을 지원하고 나섰다.

 

③올리버 크롬웰(1599-1658)

신흥 하급 귀족으로 상공업자인 젠트리 출신이었던 올리버 크롬웰은 의회파의 선두에 섰다. 그가 이끌던 의회군은 철기군으로 전세를 역전시켰다. 그들에게 이 내란은 Holy War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졌다.

 

④웨스트민스터 회의(1643-47)

장기의회에서 1641년 말, 영국 교회의 주교제를 폐지하고, 영국 교회 제도를 확정 짓기 위해서 런던 교외의 웨스트민스터에 교회회의를 소집하였다. 이들의 대부분은 장로파였다. 의회파는 왕당파의 내전에서 도움이 필요하여 스코틀랜드와 엄숙동맹을 맺었고, 스코틀랜드의 대표단도 참석하게 되었다.

1644년 웨스트민스트 예배 모범과 장로제도 결의안을 의회에 제출하고 승인하였다. 그러나 독립파는 장로교회 제도와 성직자와 평신도 계급제도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1646년 말, 장로파의 제출안대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확정하고 의회에 제출하게 된다.

독립파와 장로파의 논쟁으로 통과가 지연되는 동안에, 스코틀랜드 의회는 1647년에 이 신앙고백서를 수용하게 된다. 영국 회의는 이 신앙고백서를 1648년 수용하지만, 이 신앙고백서는 1660년 왕정복고 후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미국 장로교회와 한국 장로교회는 이 신앙고백서를 수용하고 있다.

 

⑤수평파

독립파에서 분립된 급진적인 독립파로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였다. 양심의 자유, 철저한 종교적 관용, 정교분리, 개교회 중심주의, 만인제사장설을 주장하였다.

 

⑥크롬웰의 호국경 등극

크롬웰은 1645년 찰스 1세를 처형한 후, 자신을 지지하던 독립파를 중심으로 호국경이 되어 공화정치를 선언한다(1649). 그 후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를 점령하고 통령이 되어(1652) 청교도적인 신앙관에 입각한 도덕정치를 시도했다. 모든 교파에 종교자유가 부여되었으나, 가톨릭과 국교회는 자유가 인정되지 않았다.

 

⑦청교도 혁명의 종식(1660)

크롬웰 사망 후, 1660년 왕정복고가 이루어졌다. 찰스 2세가 즉위하였고, 1662년 국교제도가 부활하고, 청교도 등 비국교도 박해가 다시 시작되었다. 찰스 2세는 1672년 신교 자유령을 내려서 가톨릭교도와 비국교도에게 관용정치를 베풀고자 했으나 의회는 선서령을 내려 비국교도의 공직을 금지하였다.

 

⑧존 번연(1628-88)

신앙은 청교도적, 청지관은 의회 민주주이였다. 처음에는 장로파였다가, 이 후 더 민주적이었던 독립파를 지지하게 된다. 그는 크롬웰의 동역자로서 정치적인 일을 담당하였으나 크롬웰의 독재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1653년부터는 교회 제도에 대해 수평파적 입장을 갖게 되었다. 그는 청교도의 삶은 적극적인 삶의 자세임을 강조하였다.

 

8. 청교도운동이 의미

①영국 교회의 종ㄱ개혁을 신학적, 제도적으로 철저화 하려는 시도였다.

②교회 내 가톨릭교회의 요소를 제거하고, 미신적 행사를 타파하고, 교회를 정화하려는 운동이었다.

③종교개혁과 의회 민주주의의 발전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④근대적 의미의 신대륙(미국) 역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필요성  (0) 2014.04.02
박해   (0) 2014.03.31
제 4강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0) 2014.03.25
3. 유대적 배경  (0) 2014.03.24
제 3강 네덜란드와 칼빈주의  (0) 201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