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필요성

예림의집 2014. 4. 2. 06:26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필요성

-교권의 행포

-성직자들의 부폐와 타락

-성직수임권

-그렇다고 중세시대를 암흑의 시대로 무시하면 안 된다.

-하나님이 1000년 동안 침묵하신 것이 아니다.

-도미키칸 수도파, 프란시스 수도파 등 중에도 개혁의 불길을 앞당긴 인물들이 있었다.

1. 종교개혁 이전의 스코틀랜드도 일반적인 중세교회의 모습이었다.

*교회의 부폐

-성직자들의 무지와 타락

-성직수임권

2. 종교개혁의 여정

 

3. 종교개혁의 태동

 

4. 종교개혁 전야의 스코틀랜드 교회

①성직자들의 무지와 무능

-복음서는 루터의 작품이다 생각할 정도로 무지했다.

-성경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하였다.

-교회의 예법만 중시, 의식만 중시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 보다는 의식에 참여하는 것으로 족하게 여기는 것들이 교회 안에 팽뱋 있었다.

-모르니까 조각, 형상으로 설명하려 했으나 오히려 우상숭배로 타락하게 되었다.

-바른 진리가 들어가지 않으면 반드시 타락하고 부폐 한다.

-오늘날도 목사들이 성경에 무지하여 많은 새로운 형태의 미신과 우상들을 만들고 있다.

-외형적인 것에 치장을 한다. 건물, 소유, 재산 등

-목사가 될 사람들은 반드시 성경을 바로 알고 깊이 깨닫는 것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성경관이 목회 사역을 100% 좌지우지 한다.

-성경을 사모하고 복종하는 자세가 반드시 갖추어져야 한다.

-교회는 진리의 기둥과 터이다. 교회 하면 예수 그리스도가 생각나야 한다. 사람이 생각나면 안 된다.

②성직자들의 설교 부재

-지금은 설교가 넘쳐나지만 설교다운 설교가 얼마나 있을까?

-확신이 없이 강단에 서면 안 된다.

-확신이 없으면 강단에서 흘러나오는 말씀의 힘이 없다.

-확신이 들지 않으면 설교하지 말라.

-좋겠습니다. 라는 말이 난발되어서는 안 된다.

-설교는 권유가 아니라 선언이다.

-설교가 없으면 사람들의 소리가 많아진다.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이다.

-속에 들은 것(세기고 있는 것)이 입으로 나온다.

-하나님의 말씀을 가득 채운 자가 바른 설교를 할 수 있다.

-설교가 없어지면 공적이 강조된다.

-선행이 구원의 조건이 되어버렸다.

③성직자들의 윤리·도덕적 타락

-수도승들과 수녀들 사이에서 생기는 많은 성적 타락

-수도원에 고아원에 생긴 이유이다.

-재물의 타락, 좋은 자리는 무자격자가 차지하고 있었다.

-전날 밤 술을 먹고 술 취한 상태에서 미사를 집전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 있다.

-월급 외에 개인적으로 재물을 축척함.

-성직자들은 가난하게(청빈하게) 살아야 한다.

-목회자가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욕심이다.

-남을 속이는 것은 의도적인 것도 있지만, 무지도 있다.

-알면서도 속임 당하는 것은 욕심이다. 욕심이 나를 사로잡으면 그 욕심이 채워지기 까지 다른 것이 보이지 않는다.

-하나님 만으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④성직 수여권(Patronage)의 악습

-성직 수임권

-성직 매매와 관련되어 있다.

-지역의 유지, 힘 있는 사람들이 자기 지역에 원하는 사람을 임명하는 일들이 들어남

-추기경, 주교들에게서 위이 받아서 지방의 부호들이 성직을 임명하는 이들이 벌어지게 된다.

-다 이권과 관련된 내용들이기 때문에 교회가 원성을 사게 되는 일들만 저지르게 된 것이다.

-지금 교역자들의 부정, 부패와 마찬가지로 비일비재하게 교회 안에서 일어났다.

-설교사역: 하나님의 말씀으로 성도들을 깨우는 일

-페트릭 해밀톤(Patrick Hamilton)

-조지 휘사르트{George Wishert)

*공적사상

-Sincereity moves Heaven(지성이면 감천이다)

-현재 교회에서 강조하는 부분이 이것이다.

-예배조차도 은혜의 감사가 아닌 은혜의 수단으로 강조한다.

-은혜를 받고자 예배에 참석하는가? 하나님께 나를 드리고자 예배에 참석하는가?

-이미 받은바 은혜에 대해서 즐거워하는 것이 바로 예배이다.

-받아내기 위해서 공적을 쌓는 것.

-교회가 개혁되어야 한다고 할 때, 하나님의 말씀의 의미가 성도들의 삶 속에 깊이 뿌리 내리게 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전폭적으로 순복해야 할 것이다.

-공적주의는 교회 건축 강조로 이루어진다.

-주일 예배시간이 끝나면, 무엇을 하는가?

-성도들이 듣고 싶은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코틀랜드에서의 종교개혁과 존 낙스  (0) 2014.04.08
30년 전쟁  (0) 2014.04.03
박해   (0) 2014.03.31
영국의 청교도 운동  (0) 2014.03.27
제 4강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0) 201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