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3. 유대적 배경

예림의집 2014. 3. 24. 16:50

3. 유대적 배경

⑴가정교육 - 신 6:6 - 15의 쉐마교육 실시함.

⑵회당 - 근원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바벨론 포로시대에 시작)

①유대인 전통 유지 및 교육에 목적이 있다.

②구약을 읽고 가르치는데 중점을 두었고 일반 생활도 교육함.

③회당의 설교가 신약 교회에 자연히 연결 됨.

⑶랍비학교 - HILEL 과 SHAMER가 유명함.

⑷사회 기구들

①산헤드린 ②바리새파 ③사두개파 등

⑸DEASPORA - 유대교 사상 및 메시아 초림을 강조 - 정치 경제적 해방을 위해.

⑹SEPTUAGINT(LXX) - PTOLEMY 왕 때 만듦

 

-유대인의 사상이 세계 도처에 퍼짐

-로마의 골치 아픈 민족

-구약성경을 헬라어로 번역

-구약성경이 이방인 지성인 사이에 심겨짐

-성경번역과 회당을 통해서

-메시야 대망 사상이 핵심.

-이미 토양이 확립된 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심.

 

초대교회 출발

 

①막 1:15 - 때가 찾고 하나님 나라가 가까웠으니.....

②갈 4: 4 -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③엡 1:8 - 10 때가 찬 경륜을 휘하여 예정하신 것이니......

-교회의 출발은 하나님의 영원한 예정과 경륜을 따라 시작되었다.

-만개된 시점, 제일 정확한 그 시점, 효과가 제일 좋은 그 시점

-하나님께서 문화적으로, 정치적으로, 역사적으로 배경을 조성시키신 그 다음 정확한 때에 예수님이 오심

-복음을 가장 받아들이기 쉽도록

 

1. 교회의 시작

-많은 학설이 있다.

-모두가 틀리다고 말할 수는 없다.

⑴부활이 큰 의미가 있다.

-롬 1:4, 사도행전에서 사도들의 설교 핵심이 부활이었고 박해도 부활 전파 때문이었다.

-사도행전에 관심사가 부활이었다.

-부활에 대해 설교하고 부활을 외칠 때 많은 사람들이 부활을 회개하고 돌아왔다

-부활이 초대교회를 형성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오늘도 부활이 굉장히 중요한 믿음의 지표가 된다.

-부활에 대한 믿음은 나의 이성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성령님의 역사이다.

*왜 부활이 중요한가?

-성경에서 부활을 핵심적인 요소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모세의 안식일 제해석(신명기), 창조안식 --> 애굽 구속 기념

-애굽의 출애굽은 사단의 압제의 모형

-출애굽 기념은 구원받음(즉 부활)을 기념하는 것으로 대비할 수 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일반은총적 은총을 주신 것을 감사 -> 안식일(구약)

-구속사인 특별 은총을 주신 것을 감사 -> 주일(신약)

-안식일이 바꾸어질 것은 이미 구약에 계시되었다.

-요한계시록의 주의 날을 해석하면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을 의미한다.

-콘스탄트 시대에 이방 종교에 의해 변질 된 것이 아니라 초기 기독교 시대 때부터 바뀜.(안식 후 첫날)

-유두고, 안식후 첫 날

-사도행전에는 안식 후 첫 날 예배가 정례화 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예수님의 부활 즉시 시작된 것이다.

-주일을 공휴일로 결정한 사람이 콘스탄트 대제이다(기독교와 이방신의 호감을 주기 위한 정치적 결단).

*부활에 대한 가설들

①기절설

-기절했다가 그날 새벽에 깨어났다.

-로마 군병이 창으로 죽음을 확인했다.

②시체 도둑설

-제자들이 시체를 훔쳐 다른 곳에 옮겨놓고 소문을 내었다.

-당시 상황을 보면 있을 수 없다.

-제자들이 시체를 훔칠만한 용감한 사람들이 아니었다.

-예수님의 시체는 입구에 큰 바위로 막고 있었으며, 군병들이 그 입구를 지키고 있었다.

-마가의 다락방의 성경강림 후에 변화된 제자들, 담대히 예수님의 부활을 외침.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속수무책!

③환상설

-예수에 대한 집착적 사랑으로 예수님의 환상을 보았다는 설

-환상은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체험이 될 수 없다.

-500명 이상에게 나타나심

-제자들의 확신에 찬 전도(죽음까지도 불사한).

 

*부활이 역사적 사실이 아니면,

-아담도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처럼, ~하였다).

-천국도 허구가 되어진다.

*인류 역사상 가장 욕을 많이 먹는 인물은 빌리도인다.

-세계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예배 시 사도신경을 하기 때문,

-본디오 빌라도 통치 때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셨다.

-역사적 사건인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예수님의 부활이 사실인지 아닌지 중요하지 않다?

-부활의 교훈만 받아드리면 된다.

-부활이 역사적으로 없었으면 그 교훈이 나올 수 없다.

-부활 신앙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교활인 술책

 

⑵ 부활의 성경적 증거

①성경의 모든 기록이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초점을 두었고, 초대교회는 그것을 확신했다.

②주의 날 변경 (계 1:10)

③부활을 반박하는 이론들(기절설, 사도들의 거짓말)이 있으나 당시 상황으로 불가

④무엇보다 사도들의 신적 권위를 지닌 증거가 중요함.

⑤부활을 외치니까 교회가 형성됨.

 

 

2. 초대교회의 성장요인

⑴말씀으로 (롬 1:16)

*말씀에 대한 확신

-확신이 없으면 감동적인 말을 전할 수 없다.

-확신은 열정을 낳는다.

-가장 튼 요인

⑵행동으로 - 숨어서 생활한 때도 있었으나 복음 증거에 열심이었다.

*전투적인 전도

-죽을 줄 알면서도 전도하였다.

-목숨 걸고 하면 세상이 감당 못한다.

-전도를 해도 뜨겁게 열정적으로 전략적으로!

⑶사회복음

①고아원

-고대 사회는 전쟁이 많았다.

-남아 선호사상, 병약한 아이, 여자아이를 출생하면 죽여 버림.

-부자 집 앞에 갖다 내어버림, 이를 교회에서 양육시킴

-예수 믿는 집 앞에다 내어 버림

-초기에 여러 가지 안 좋은 루머들은 종식시키고 호감을 갖게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②구제사업

-물을 잘 관리하는 일(수의사업)들이 별로 없었다.

-전쟁으로 인한 세금 폭탄, 노동력 착취로 인한 가난한 자들이 많아짐

-교회도 가난했지만, 교회 총액의 1/4이상은 구제로 함.

-대부분의 감독들은 하루 한끼만 먹었다. 절약을 해서 구제 헌금으로 씀.

-전도 환경 조성의 결정적인 역할

③병자간호

-대부분의 국민들이 영양실조에,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죽어나감

-환자들이 모여 있는 집단촌에 들어가 병자 간호를 많이 했음, 감염 되서 죽은 사람도 많음

④남녀 평등사상

-남존여비 사상의 풍토 속에서 교회의 중직자를 뽑을 때 “한 아내의 남편”임을 강조하였다.

-남편을 교회로 끌고 나오면 가정의 안정을 확보하게 되었다.

-상류층으로 교회가 뚫고 나가는 것에 큰 도움이 되었다.

-비교적으로 여성의 지위를 많이 높여 주었다.

-교회 성도의 70%가 여성이다.

-초대교회는 여성을 통해서 부흥이 일어났다.

⑤노예들에게 인간적 대우

-실지 대우는 짐승 대우를 했던 사람. 인권 인격을 인정하지 않음.

-노예에게도 형제로 대우를 해줌에 엄청난 감동을 받음.

-로마 당시 자체의 구조 자체를 뒤엎음

-로마가 침략을 당할 때, 노예들이 일어나서 교회를 지켜주었고

-나중에는 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선교사가 되었다.

 

3.당시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신분은 낮았다.(고전 1:26).

-그러나 이들이 말씀의 확신으로 이웃을 섬기고 봉사하는 자세로 전도자의 삶을 살 때 교회는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기적을 일으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