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박해

예림의집 2014. 3. 31. 16:18

박해

 

1. 로마사회의 종교적 배경

⑴ 종교의 정의

① 공포심의 의미가 있다.

② 공포심을 없애기 위한 예배와 의식으로 해석

③ 그래서 로마인은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제사를 국가의식으로 발전시킴.

⑵ 로마의 종교들

① 로마엔 종교를 갖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었다. - 잡다한 미신적 종교 난발함.

② 종교숭배 이유 – 그들의 신이 로마 제국을 보호한다고 믿음.

③ 영토 확장에 따라 종교의 숫자도 자연히 증가됨. Ecumenical Movement시행.

④ 원로원은 로마인 조상때부터 섬겨오던 신만 섬기게 함. - 질서의 문제.

⑶ 황제숭배

① BC40년대까지는 로마에 황제가 없었음. 원로원이 모든 권력을 가짐.

② Julius Caesar. 전략과 지략이 뛰어난 장군 -> 집정관 -> 황제(스스로 올림)

ⓐ 계승할 친자 얻지 못함. Brutus에 의해 암살당함. Augustus 계승

③ 원로원은 그들을 신으로 숭배함. 7월 July, 8월 August

⑷ 제국의 기독교인에 대한 태도

① 황제숭배 모든 문화의 핵심. 강요됨.

② 로마의 종교정책은 모든 종교에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었음.

③ but, 유일신을 주장하는 유대교와 기독교는 로마와의 마찰이 불가피하게 됨.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 때에 모든 사람에게 종교성을 심어 주었다.

-불안하고 어려울수록 종교적 열정이 불타오른다.

-로마의 관용 정책(일본은 동하 정책): 절대 종교 개념이 없었다.

-여러 종교를 사람들이 많이 가지고 있었다.

-모든 종교는 국가를 위한 행동이라고 생각해서 모든 종교행위가 국가를 위한 행위라고 간주했다.

-종교의 고집이 사회 질서와 안녕을 뺏기는 경우가 있다.

-종교를 검증해서 인정하는 시스템으로 바뀜

①역사성이 긴 종교

②종교 의식이 이상하지 않은 종교

-기독교는 다 걸림

①정해진 시간이 없고,

②정해진 장소가 없다.

③형상 앞에서 예배하지 않는다.

④타 종교에 대한 배타성-이기적인 종교

⑤호전적이고 적극적으로 포고활동

 

2. 박해의 시기(1세기~4세기 중반)

① 1 단계 : 64 년까지

② 2 단계 : 64 - 250 년

③ 3 단계: 250 - 310 년

-황제에 따라서 달라짐

-지역에 따라 달라짐(지방 통치자의 생각에 따라)

 

3. 박해의 직접적 원인들

① 기독교는 원로원에서 승인하지 않은 불법종교

-무신론자로 오해를 받음(형상이 없음): 무신론자는 반국가적으로 봄, 야만인

② 유대인의 반란을 무서워함.

③ 식인행위와 근친상간으로 오해(성찬, 비밀집회 등)

④ 기독교인의 군복무 거부 (황제들의 국가안보에 대한 근심)

-상명하복, 황제숭배, 황제숭배 하지 않는 자(기독교인)들을 색출하는 역할

⑤ 황제숭배 거부하고 예수를 숭배하는 것을 정치적으로 해석.

-황제 숭배를 거부하는 것은 로마에 충성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적대적 행위라고 오해함

 

4. 대표적 박해들

⑴ Nero(네로)

-내성적, 우울함, 불안함

-교활하고, 음흉하고, 사악한 어머니의 영향, 너무나 비상식적 행위를 보여줌

-양심의 갈들을 일으키면서 성장함, 너무 큰 상처를 받음

-열등의식이 강함

-처음에는 인기가 있었고 선정을 베풀었지만, 차츰 포악해짐

-예술 방면에 제능과 관심이 많음

① 64년 6월 18일 대화제 발생 – 평민들의 인심이 극악에 달함.

-밤, 낮 7일 동안 불이 탐

-화제와 전염병

② 자신의 정치적 안전을 위해 기독교인을 방화범으로 지목하여 처형을 가함.

-기독교인들이 사는 지역은 화제가 안남

③ “인류를 증오했다”는 죄목으로 박해와 처형을 일삼음. (히11:33-40)

“그들은 믿음으로 나라들을 이기기도 하며 의를 행하기도 하며 약속을 받기도 하며 사자들의 입을 막기도 하며 불의 세력을 멸하기도 하며 칼날을 피하기도 하며 연약한 가운데서 강하게 되기도 하며 전쟁에 용감하게 되어 이방 사람들의 진을 물리치기도 하며 여자들은 자기의 죽은 자들을 부활로 받아들이기도 하며 또 어떤 이들은 더 좋은 부활을 얻고자 하여 심한 고문을 받되 구차히 풀려나기를 원하지 아니하였으며 또 어떤 이들은 조롱과 채찍질뿐 아니라 결박과 옥에 갇히는 시련도 받았으며 돌로 치는 것과 톱으로 켜는 것과 시험과 칼로 죽임을 당하고 양과 염소의 가죽을 입고 유리하여 궁핍과 환난과 학대를 받았으니 (이런 사람은 세상이 감당하지 못하느니라) 그들이 광야와 산과 동굴과 토굴에 유리하였느니라 이 사람들은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증거를 받았으나 약속된 것을 받지 못하였으니 는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여 더 좋은 것을 예비하셨은즉 우리가 아니면 그들로 온전함을 이루지 못하게 하려 하심이라”

-베드로, 바울 등도 순교를 당했다고 봄

⑵ Domitian(81~96), 도미니티안

① 열등의식이 있어 “주님, 하나님”으로 불려지기 좋아함. 신으로 인정받고자 함

-티투스(예루살렘의 멸망 70년)의 동생

-자기 자신이 하나님이다.

-자기 집안사람들을 다 죽임, 원로원의 유력한 정치인을 다 죽임

② 15년간 통치. 기독교를 가혹하게 박해함.

-계시록 17장의 음녀로 표시함

③ 기독교인이 그들만의 국가를 꿈꾼다는 이유를 들어 재산을 몰수, 살해함.

-카타콤이 만들어짐

-기독교인 상조회가 만들어짐: 순교한 기독교인을 장례해 줌.

 

⑶ Trajan (97~117), 트라이안

① 기독교인이 정치적 오해를 받음.

-정부 조직보다 더 뛰어난 교회 조직

-반란을 일으킬까봐 우려함

② Pliny(젊은 플리니) : 서신에 나타난 박해 실태

-총독에게 편지를 함

-박해상황, 교회 상황

-새벽기도회의 전래(동트기 전), 십계명, 성찬식

-질문:

①단순히 기독교인이란 이유만으로 구속할까요?

②아니면 벌을 주기 위해서 다른 죄목을 뒤집어 씌울까요?

③연로자나 연약자에 대해서는 벌을 감할까요?

-원래 기독교인이었지만 기독교를 포기할 경우는 어떻게 할까요?

-답변:

ⓐ 수색하여 기독교인 찾지 말 것

ⓑ 기소되어 유죄 판결시만 처벌할 것

ⓒ 신앙을 부인하고 로마 신을 찬양하면 석방

-초기 초대교회의 신앙생활을 불신자의 눈으로 보여줌.

*이그나티우스의 서신

-잡혀서 로마로 끌려가면서 쓴 서신

-순교를 하나님이 자기에게 주신 은혜로 생각함

-원형 경기장에 끌려가 짐승의 밥이 됨

⑷Hadrian(117~138). 하드리안

-비난, 시기로 고발해서는 안 된다.

① Minucius Fundanus 에 보낸 편지에 Trajan과 내용이 비슷.

② 국경일날 모든 시민이 로마신에게 예배할 것 강조.

*Polycarp 처형됨.

-서머나 감독

-무신론자는 물러가라!

-86세에 화영으로 순교

-선교는 인위적으로 하면 안된다.

⑸Marcus Aurelius (161~180), 마르쿠스 알레리우스

① stoa 철학자임. 사상적 이론으로 기독교 박해.

② 이들을 죽일 때 각종 고문과 잔악한 악행을 사용함.

③ Justin Martyr, 노예 소녀 Blandina 순교

⑹ Septimius Serverus (191~211), 셉티누스 세르베르스

① 태양신 제사장 딸 Domna 와 혼인 후 기독교 박해.

② Origen 의 아버지 레오니다스- Alexandria에서 전도하다 순교함.

-박해가 너무 심해서 적그리스도로 여겨짐

-예수님의 재림을 예상함

-각종 재난과 불행을 기독교인에게 돌림

-모든 사람들이 다 신앙의 정절을 지킨 것은 아님

-이를 지키기 위하여 순결의 영광을 강조함

⑺Maximinus (235~238), 막시미누스

-교회 지도자들을 골라 박해를 가함. Hippolytus 와 Pontianus 유배지에서 순교

-박해 가운데서도 극한 박해가 있었지만, 교회는 계속 증가했다.

-부흥의 원인은 박해 가운데서의 전도아 구제와 열정

⑻Decius (249~251), 데시우스

 

① 당시 이민족 침입으로 인해 고대 종교의 부활을 강조함.

② 제국 내 하나의 종교로 통일원칙을 발표함. 기독교 박해의 대상.

③ 250년 제사를 강요, 그리고 제사증 발급함 - 전국적으로 조직화함

-제사증명서

-제국의 모든 곳에서 박해를 가함

-제사증명서 돈 주고 산 경우, 죄가 되었다. 많은 사람이 죽음

-그러나 이것을 허용했다면 세계적 기독교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④ 감독 Fabian, Babylas 순교, Cyprian 피난.

-종말론 사상이 크게 일어남

-박해가 너무 극심함으로 주님이 오실 날만을 기대함

-종말론 신앙이 박해를 이기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부정적 요소: 탈 형세, 내세 지향적, 성경적 종말론이 아닌 감정적 종말론이 생겨남.

⑼ Valerianus (253~259). 메레리안누스

① 초기에는 기독교에 동정적임, 후에 박해함.

② 257년 기독교인 공적 모임 금지, 259년 처벌강화 칙령내림.

③ 그의 아들 Gallienus 는 칙령 취소하고 몰수 재산 반환.

⑽ Docletian (284~305), 도클레티안

-처음 18년 동안은 박해를 안함

① 기독교의 조직이 제국조직보다 강함을 느끼고 박해함.

② 기독교와 Armenia 가 합작하여 제국 공격할까봐 박해를 강화함.

③ 303년 교회 건물 성경 파괴 칙령.

-건물, 기물, 성경, 기록물

④ 304년 모든 국민 국가 신에 제사명령.

*박해 가운데도 기독교는 성장하여 국민들과 관리들까지 기독교인을 숨겨줌,

*Diognetus 편지에서

“저들은 육신에 있어서 생활하나 육신을 따라 살지 않으며,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박해를 받으며 가진 것은 없으나 풍족을 느끼고 부끄러움을 당하나 수욕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며 벌을 받으면서 생명에 이르는 것을 기뻐하는 자들이다.”

-박해가 없을 때에도 박해를 준비하였다.

*Tertullian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다.”

-희생 없는 부흥은 없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년 전쟁  (0) 2014.04.03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필요성  (0) 2014.04.02
영국의 청교도 운동  (0) 2014.03.27
제 4강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0) 2014.03.25
3. 유대적 배경  (0) 201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