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2. 신약신학의 위치-①

예림의집 2012. 9. 25. 13:18

2. 신약신학의 위치-①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우리는 신학 제 분야를 구약신학, 신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으로 구분한다. 구약신학은 39권 구약 성경의 내용을 연구하여 이스라엘의 역사와 문화에 자신을 계시하신 하나님의 사역을 연구한다. 신약성경과의 관계에서 어떤 요소가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인지 살피고, 구야적 관점에서 어떤 내용이 미래를 향하여, 즉 신약시대를 위하여 창을 여는 예언의 역할을 하는가 살핀다. 신약의 입장에서 보면 구약신학은 기독교 신앙과 신학의 준비, 예언, 역사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신약신학은 아브라함과 이스라엘(야곱)의 선택을 통하여 태동하고 그들의 역사와 문화 속에 계시되고 예언된 하나님의 구속사역이 어떻게 예수님에게서 그 성취에 도달했는가를 연구한다. 하나님의 구속사의 성취는 교회를 낳았으며, 교회 속에 계속 나타나고 있다. 신약신학은 구약의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와 율법, 이스라엘의 신앙적 유산에 대한 기독론적 재해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신약신학이아말로 기독교 신학의 핵심을 다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합쳐 그 통일성과 다양성을 연구하는 것을 성경신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경신학은 구약성경이나 신약성경 각각의 내용보다는 그 연결성에 치중한다. 따라서 성경신학은 그 자체가 기독교적이다. 구약성경에 신약성경을 합쳐 성경전서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기독교인들뿐이기 때문이다.

 

  역사신학은 예수님의 사역과 교회의 탄생이 이천여 년의 역사를 흘러온 과정을 살피며 이 과정에서 복음이 어떻게 인간의 삶에 구현디었으며 어떤 신학적 문제가 도출되었고 교회가 어떤 방식으로 당면한 역사적 문제들을 타개해 갔는지를 연구한다. 교회의 성공과 실패를 통하여 교회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바르게 진단한다. 교회의 역사는 부활, 승천하신 주님께서 역사 속에서 신자드을 이끌어 오신 구속의 역사이다.

  조직신학은 성경신학의 결과 위에 세워진다.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사역, 말씀, 구속 사역과 구속의 교리를 인간이 더 잘 이해하고 기억, 사용할 수 있도록 조직적으로 진술하여 교회가 과거를 이해하고 현재를 사용하여 미래를 향해 전진하도록 체계적으로 그 진로를 설정해 준다. 조직신학의 중심은 따라서 인간의 논리성이다.

  실천신학은 이상의 과정에서 원천적인 내용으로 고정되는 거을 근간으로 하여 교회가 변화하는 세상에 창조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모든 현실적인 부분들을 연구, 학습, 적용한다. 복음의 구현, 기독교 문화의 창조와 발전, 전승, 기독교 사회의 건설이 현실적 과제가 된다.

  선교신학은 위의 열매들을 이용하여 아직 복음이 전해지지 않는 곳으로 기독교를 확장하기 위한 과제들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