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신약신학

I. 신약 서론-①신약신학 안에서의 위치

예림의집 2012. 9. 25. 11:07

I. 신약 서론

 

  신약서론을 통해, 신약성경 전체와 관련된 기초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신약성경 각 책을 바르게 읽고 주석하며 기독교 신앙과 신학, 목회 및 교육, 선교사역 등을 위해 신약성경을 바르게 사용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신약서론에서 특벼히 강조점을 두기로 약속된 내용은 1)신약성경의 배경, 2)사본학과 원문비평학, 3)신약 정경의 형성과정 및 정경론이다.

  신학 수업을 시작하며서 3년 동안 걸어갈 전체 청사진을 그려보고, 신학의 제 분야와 그 아래 주어지는 각 강좌가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신약신학이 다른 분야와 어떤 관계에 있으며, 신약신학의 큰 건물 안에 어떤 과목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시작하는 것은 신학 수업에 큰 도움이 된다.

 

1. 신약신학 안에서의 위치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교과과정은 신약신학 분야에서 모두 여섯 개의 필수 과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목들은 1)신약서론(박형대 교수), 2)성경해석학(심상법 교수), 3)공관복음(정훈택 교수), 4)요한문헌(김상훈 교수), 5)바울서신(이한수 교수), 6)신약신학(신상법, 이한수 교수)이다. 1), 2), 6)은 신약성경 전체와 관련되어 있는 강좌이고, 3)부터 5)까지는 신약성경의 한 부분과 관련되어 있다.

  신약성경을 연구하는 더 좋은 방법은 위의 과정들 후에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는 27권의 책들을 각각 모두 다루는 것이지만, 이러한 과제는 선택과목으로 충단하기로 합의하였다. 뒤의 세 강조는 특성을 따라 신학성경의 몇 책들을 한 데 묶은 것으로, 저자와 독자, 저술의 배경과 목적, 신학적 사상, 해석사와 해석 등을 다루기 때문에, 신약성격 각 책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에 대한 모범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선택과목에서는 누가복음, 사도행전, 갈라디아서, 마가복음 등 신약성경이 각 권을 취급할 수도 있고, 산상서교 등 책의 한 부분이나 하나님의 나라, 성령론, 신약의 영성등 한 주제를 발췌하여 취급할 수도 있다.

  신약서론은 신약성경 각 권이나 그 중 몇 권을 취급하는 과목과는 달리 신약성경 27권의 책 모두에 공통된 내용을 취급하는 과목이다. 신약 원어, 신약성경의 특징, 그 역사적 배경과 복음의 발생 과정, 신약성경의 탄생과 전수 곧 신약성경 형성사, 정경화 과정 및 정경론, 사본하곡 원문비평 및 인쇄본 헬라어 성경 사용법을 가르치는 것을 그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즉 신약성경에 속한 각 책의 연구(각론)에 필요한 준비작업(총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신약서론이 신약성경 각 책을 총체적으로 다룬다는 의미이다.

  성경해석학은 글로 기록된 신약성경을 해석하는 방법론들을 다룬다는 면에서, 신약신학은 내용적으로 신약성경을 통합한다는 면에서, 이 모든 과목의 준비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신약서론과는 구분된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신약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신약신학의 위치-②  (0) 2012.09.25
2. 신약신학의 위치-①  (0) 2012.09.25
최초의 공동체  (0) 2012.09.09
오순절  (0) 2012.09.09
기독교와 유대교  (0) 201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