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청교도 운동 영국의 청교도 운동 1. 청교도 운동의 근원 엘리자베스 1세(재위 1558-1603)가 즉위한 후, 그녀는 기대와는 달리 황제교황주의적인, 신구교간 중도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엘리자베스 1세는 수장령(1559)을 통해 “왕은 최고의 통치자”임을 밝히고 39개조(1563, 칼빈주의적. 중요 신앙고백서)를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27
제 4강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1. 칼빈과 장로회제도 칼빈의 장로회체제는 칼빈의 독자적인 안이 아니라 그가 불란서 스트라스부룩 체제시 그 도시의 종교 개혁자인 마틴 부써와 카피토에게서 배운 것이다. 부서와 가피토에 의해서 종교개혁이 주도된 스트라스부룩은 7교구로 나누어 각 교구마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25
3. 유대적 배경 3. 유대적 배경 ⑴가정교육 - 신 6:6 - 15의 쉐마교육 실시함. ⑵회당 - 근원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바벨론 포로시대에 시작) ①유대인 전통 유지 및 교육에 목적이 있다. ②구약을 읽고 가르치는데 중점을 두었고 일반 생활도 교육함. ③회당의 설교가 신약 교회에 자연히 연결 됨. ⑶랍비학..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24
제 3강 네덜란드와 칼빈주의 제 3강 (3월 19일 화요일) <북한교회 역사> *황해남도의 교회사 유적 -귀츨라프 선교사가 처음으로 상륙하여 한국인 만나 전도한 후, 충청도로 감(1832) -대동강에서 순교한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하기 전 해(1865.9) 황해남도 해안에 도착해서 두 달 반 동안 선교함. -의주 출신의 서상륜이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9
제 3강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3월 18일 화요일) 제 3강 (3월 18일 화요일) 찬송가: 35장 “큰 영화로신 주” 가시적인 교회의 구성원 -모든 믿는 신자들 ①사도와 선지자들의 터 위에(말씀에 기초 위에)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②직분자 선출 -7명의 대표(집사) -공궤하는 일을 맡김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8
서론 서론 “교회의 역사는 죽어 있는 화석인가? 살아 있는 열매인가? 1, 교회사란 무엇인가? 교회사는 한마디로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이야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째 부분은 창조부터 시작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까지이다. 후반부는 예수 그리..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7
문명과 계시 문명과 계시 1. 서구문명의 형성과 진행 *참고서적 -브라이언 타이어니[편], <서양중세사연구>, 탐구당. 1987. -새뮤얼 헌팅터, <문명의 충돌>, 김영사, 1997. -AE 맥그래스,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2007. -주경철, <대항해시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남경태, <역사&g..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7
중세교회사란 중세에 있었던 교회의 이야기이다. 중세교회사란 중세에 있었던 교회의 이야기이다. *시대적 구분 *중세 -중세라는 개념은 일차적으로 고대와는 다른 어떤 시대라는 것 때문에 나타난 개념이다. -고딕: “야만적”이라는 뜻이며, 400년 전에 중세는 완전히 경멸적인 의미를 지녔다. -막간시대로서 이해하였다. -파리 근교에 ..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7
초대교회 배경 초대교회 배경 *복음이 확산되기 용이하도록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 장치를 해 놓으셨다. 1. 철학적 배경. ① 철학은 고대사회에서 심오한 종교적 역할을 하였고 기독교 진리를 전해주는 도구 역할을 함 ② 학파의 창시자는 영감 받은 자로 여겨졌고 철학적 제사 적 성격을 소유함. -제자들..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7
제 1강 오리엔테이션(3월 5일 화요일) 제 1강 오리엔테이션(3월 5일 화요일) 교과 목표: 교회의 역사는 세상 속에서 성취(진행)되어 가는 하나님의 나라를 증거해 준다. 이런 맥락에서 본 강의는 종교개혁 이후 현대까지의 세계 기독교회의 전개와 발전을 일반 역사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고찰하게 될 것이다. 고과 개요: 본 강의.. 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2014.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