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과 음정 음과 음정 먼저 음(Tone)과 음정(Interval)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음'이란 물체가 진동할 때 나는 소리로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개념과 동일하며 각기 다른 음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정'이란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을 의미합니다. 음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척도로 '반음'(semi tone)과 '..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8.01.02
두성 두성 두성.. 두성은 말그대로 머리'두'자에 소리'성'의 머리의 공명을 이용한 발성입니다 즉 머리앞쪽 미간 사이의 약간위쪽의 전두동이라는 부분을 울려서 내는게 두성이지요.. 두성은 왜 쓸까요?? 그 이유는 3가지로 적어보면.. 먼저 고음을 내기 위한 방법으로 쓰구여.. 두번째로는 음색..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2.23
C.C.M.의 역사 C.C.M.의 역사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전 세계에 퍼져나가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하는 음악은 각 나라와 지역의 특성과 그 문화의 특성에 따라 만들어지고 불리워 왔다. 또, 지역마다 고유의 악기를 사용해서 그 음악을 연주해 왔다. 그래서 그 내용은 같으나 그 스타일은 독특한 형태..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2.20
벽 앞에 섰을 때 벽 앞에 섰을 때 한철호 선교사(선교한국 상임총무) 모든 것이 컴컴하고 답답해 보인다. 두려움이 있다. 벽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이 벽을 넘어선다 할지라도 또 다른 벽이 몇 개나 더 있을지 가늠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벽을 넘어섰을 때..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2.01
우리는 어떠한 방법으로 찬송을 불러야 할까? 우리는 어떠한 방법으로 찬송을 불러야 할까? 1. 내용을 알고 불러야 한다. 찬송이 감사의 노래인지, 고백의 노래인지, 기원의 노래인지, 등을 분명히 알고 거기에 맞게 불러야 한다는 것이다. 2. 음악적으로 바르게 불러야 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찬송가는 서양 음계 시스템으로 ..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1.25
우리는 왜 찬송을 불러야 할까? 우리는 왜 찬송을 불러야 할까? 1. 하나님의 명령이므로 찬송을 불러야 한다.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라(시43:21)" 2. 하늘에 계신 예수님의 명령이므로 찬송을 불러야 한다. "보좌에서 음성이 나서 가로되 하나님의 종들 곧 그를 경외하는 너희..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1.22
믿는 자에게 왜 찬송은 중요 할까? 믿는 자에게 왜 찬송은 중요 할까? 믿는 자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성경과 찬송은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이 둘은 자전거의 두 바퀴와 같은 관계로 “성경”은 하나님의 뜻과 그리고 가르침과 명령 그리고 약속의 말씀을 우리 인간들에게 베푸시는 즉, 상의하달(上意下達) 이라고 말 한다면, ..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1.17
사명과 헌신 사명과 헌신 살기 힘들고 어려운 때일수록 지도자가 먼저 자원하여 헌신하고 앞장서면 백성들도 따라간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시대의 지도자들이다. 그리스도인들이 먼저 대가를 지불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하나님의 섭리를 믿는 백성들은 어떤 환경에서도 원망을 하지 않는다. 그런 ..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1.08
노래할 때 목에 힘빼는 방법 노래할 때 목에 힘빼는 방법 노래할 때 목에 힘이 들어가면 아름다운 목소리를 낼 수 가 없습니다 이럴 때 연습방법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①차안에서 핸들 잡고 발성 ②어깨를 흔들고 뛰면서 발성 ③줄 넘기 하며 노래하기 ④산에 가서 소나무 잡고 소리 지르기 ⑤선채로 상체를 앞으로 ..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10.26
노래를 잘 부르려면? 노래를 잘 부르려면? 1) 우선, 전주와 간주 파악 필요하다 2) 노래가사를 암기 해 본다 3) 자신의 노래를 녹음해서 들어본다. 4) 노래를 많이 듣고 많이 따라 부른다. 5) 짧고 쉬운 노래부터 익히고, 점차로 난이도를 높인다. 6) 노래에 대한 열정과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끈기로 승부한다. †찬양 사역†/찬양팀 영성 훈련 201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