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가정교회를 말하다

가정교회 운동으로 나아가기④​

예림의집 2022. 1. 10. 12:53

가정교회 운동으로 나아가기④

오늘은 좀 더 폭을 넓혀서 "교파와 선교 단체의 역할"에 대해 나누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교파"는 교회를 위한 하나님의 최선의 방식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교파는 신학적이고, 성경적인 이유라기보다는 정치적이고 당파적인 이유로 갈라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보다 장기적인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우리가 당면한 현실과 협력해야 합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정교회 운동이 한국에서 폭발적으로 일어나려면 모든 그리스도인이 이런저런 방식으로 가정교회를 후원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 가정교회 개척을 후원하는 몇 개의 교파와 선교 단체들이 있습니다. 북미의 예를 들면, 남침례 교단, 도브 크리스천 펠로우십, 캐나다 자유 감리교회 그리고 캐나다 포스퀘어 복음교회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단체들이 가정교회 운동을 설립하고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돕는 기관과 교회가 있으나 아직 밝히기는 이른 듯합니다. 교단과 선교 단체는 우선 신약시대에 시작된 가정교회가 소그룹이나 셀 모임, 또는 선교 단체 사역과는 다른 DNA를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약시대의 가정교회는 전통적인 형태를 가진 교회의 부속 모임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 가정교회는 그 자체로 교회의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고 도시와 지역 내 동일한 마인드를 지닌 다른 가정교회와 연결망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이 가정교회는 교회 건물이나 고비용 프로그램, 유급 성직자 또는 고도로 연출된 예배는 필요하지도 원하지도 않습니다. 이 모임은 열려 있고, 상호 관계적이며, 그리고 식사와 함께 성찬을 나누는 가족 형태의 모임입니다. 그들은 관계성과 제자훈련, 그리고 복음 증거에 집중합니다. 기존 교회와 형식과 목표가 다른 것입니다.

가정교회를 지원하고픈 단체는 가정교회 운동의 DNA에 맞게 지도자를 파송해야만 합니다. 가정교회 네트워크는 초기 사도들의 형태와 실행들을 교회의 삶에서 재정립하길 원하므로, 기존 교회들은 지도자들을 전통적 역할과 범위 안에 묶어두려는 유혹을 과감하게 떨쳐버려야 합니다. 대부분의 가정교회 지도자들은 지역 및 지방 단위에서 활동하는 일명 평신도들입니다. 전통적 교회의 지도자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사람들을 인도하고 훈련하며 다음 세대 교회 지도자를 양육하는 것처럼, 이들에게도 동일한 기회가 주어져야 합니다.(내일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