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제1과 서론(구약신학의 정의, 역사, 방법론)

예림의집 2014. 8. 26. 14:40

 

제1과 서론(구약신학의 정의, 역사, 방법론)

 

1. 구약신학이란?(문제제기)

- 정의: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에 관한 가르침(Christoph Barth)

- 질문들:

① 구약과 신약의 관계

② 유대교와 기독교와의 관계

③ 조직신학과 성경신학의 관계(차이)

- 몇가지 견해들

· G. von Rad

· Eichrodt

· John H. Hayes

 

2. 구약 해석의 역사

- 쿰란 공동체: 신학적 해석

- 신약: 신학적 해석

- 교부들: 알레고리와 모형론에 지나치게 의존

- 중세: 4중 의미에 의한 해석(① 문자적 & 역사적, ② 알레고리적 혹은 신학적, ③ 도덕적 혹은 교훈적, ④ 신비적)

- 종교개혁자들: 역사적, 문법적, 문자적 해석방법

· 니콜라우스 데 리라(14C)

· 존 위클리프

· 루터: 기독론적 해석, 알레고리적 경향

· 칼빈: 구약을 지나치게 기독교화

 

3. 구약 신학의 태동

- Johann Philipp Gabler: “성경신학이 별개의 학문 분과가 되어야 한다”고 최초로 주장

· 성경신학과 교의신학 학문 분과의 분리를 요구(1787)

· 성경신학 수행 원칙

① 역사적이고 문법적인 해석원칙들에 따라서 성경의 각각의 구절을 따로 연구해야 한다

② 성경의 각각의 구절들을 서로 비교해서 차이점·유사점을 가려내야 한다

③ 자료들을 왜곡하거나 차이들을 말살함이 없이 일반적인 사상들을 체계화 혹은 정식화해야 한다.

- 이후의 성경신학 분야는 50여년간 합리주의자들의 독무대

- 최초의 구약신학 저서: Bauer (1796), 조직신학적 성경신학, 합리주의적

- 최초의 보수주의 구약학자: Hengsenberg

· 개혁주의 전통에서 양육, 본 대학, 바벨의 선교사 학교

· 구약의 기독론(1828-35)

· 특징: 신약/구약을 거의 구별 않음, 구약 예언들에 대해 영적인 해석

- 하베르니크(헹스텐베르크의 제자), 호프만(구원사학파의 창시자)

 

4. 구약 신학의 죽음과 부활

- 벨하우젠(Julius Wellhausen)

· 이스라엘 역사 서설(1878)

· 구약 선지자들이 율법 이전에 활동했다고 주장

· 구약의 종교는 자연종교로부터 성장한 것이라고 봄(고대 근동의 농경축제 반영)

· 오경에 있는 신학은 Is의 후대의 신앙을 이전 시대에 투영한 것

 

- 구약 신학의 병사

① 벨하우젠의 저작은 구약의 신학들의 다양성 강조, 통일성 해체

② 이전 학문 풍토에 대한 반발(결론적으로 동일한 오류에 빠짐)

③ 신학 자체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결여

 

- 구약 신학의 부활: 1차 대전 후에 구약에 대한 새로운 관심

① 칼 바르트의 로마서 주석(1919)

② 신학에 대한 관심 환기

③ 나치체제 하의 반유대주의 운동에 대한 반발

 

- 구약 신학의 부활을 알리는 두 저작(1933)

① Ernst Sellin: 종교사에 근거한 구약신학

· 지나치게 신약 위주의 구약 이해

② Walter Eichrodt: 구약 성경 신학

· 20C에 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저작(노만 갓월드)

· 방대한 분량과 깊은 통찰이라는 견지에서 구약신학 분야에서 출현한 가장 위대한 유래없는 역작(덴탄)

· 언약 개념의 중심성

 

- 기타:

· Herman Schultz,

· Ludwig Köhler,

· W. Baumgartner,

· G. von Rad,

· Th. C. Vriezen,

· Edmon Jacob,

· H. Wheeler Robinson

 

- 구약 신학의 황금기, 성서신학 운동

① 신학적 차원의 재발견

② 성경 전체의 통일성

③ 계시가 역사적이라는 사상

④ 성경적(히브리적) 사상의 독특성

⑤ 타 종교들과 대비되는 성경적 신앙의 유일무이성

 

- Walter C. Kaiser, Jr.

· 구약 성서 신학

· 석의 신학의 하녀로서의 구약 신학

· 신학자로서의 구약 저자들

· 구약의 핵심은 약속

· 구약 신학은 성경 전체와의 정합성을 추구하는 신학

 

- Ronald E. Clements

· 구약신학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 정경 개념이 구약신학을 위해 중요하다

 

- Claus Westermann

· 구약신학의 과제는 구약성경 전체가 G에 관해 말하고 있는 것을 요약하고 결집하는 것

· 구약은 신학적인 중심이 없다

· 구약신학은 서사적 혹은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정경의 3중적 구분을 사용함)

- 결론

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구약 신학의 정의가 없다

② 구약신학은 단순히 서술적인 학문이 아니라 규범적인 학문이다

③ 구약신학은 역사적이어야 한다(역사적 맥락 고려)

④ 구약신학은 궁극적으로 정경(즉, 구약-신약 관계)을 지향한다.

 

5. 구약신학의 방법론

- 하젤의 10가지 방법론

① 교의학적-교육적 방법론: 조직신학적 주제들을 가지고 구성

② 발생론적-발전적 방법론: 성경이 서술하는 대로 G 계시의 전개를 서술(Vos, Lehman)

③ 종단면적 방법론: Walter Eichrodt(언약)

④ 주제별 방법론: 구약성경의 주제들을 사용

⑤ 통시적 혹은 전승사적 방법론: von Rad

⑥ 전승형성적 방법론: Gese

⑦ 주제별-변증법적 방법론: Samuel Terrien, Claus Westermann, Paul Hanson

⑧ 최근의 비평적 방법론: James Barr, J. J. Collins

⑨ 새로운 성경신학적 방법론: Childs

⑩ 다중적인 정경적 구약신학: 하젤

- 구약 신학을 위한 하젤의 제안

① 구약신학은 구약성경의 최종적 정경적 형태와 결부되어야 한다

② 구약신학은 하나의 중심 또는 하나의 핵심적인 개념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주제별이 되어야 한다

③ 구약신학은 복합적 구조가 되어야 한다

④ 구약신학의 최종목표: 구약의 개별책들과 여러부류의 글들이 지닌 다양한 신학들을 꿰뚫어서 그 모든 신학.주제들을 한데 결합시키는 역동적인 통일성을 만들어 내는 것

⑤ 구약신학은 더 큰 전체의 일부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Ralph Smith의 6가지 주요 모델

① 조직신학적 모델: Bauer, Davidson, Baab, Jacob, Dentan

② 중심 주제적 방법론: Eichrodt

③ 구연모델 혹은 통시적/구원사적 모델

④ 핵심어 모델: 지나치게 단편적

⑤ 전승사적 모델: von Rad의 구원사적 방법론에서 발전

⑥ 정경적 방법론: Childs, Gese

 

* 구약 신학은 신약 신학과는 별개의 학문분과인가?

* 구약 신학 vs. 히브리 성경 신학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구약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론(구약신학의 정의, 역사, 방법론)①  (0) 2014.09.01
하갈과 이스마엘  (0) 2014.09.01
창세기  (0) 2014.05.05
히브리어 언어 공부  (0) 2014.04.19
이사야 13-39장  (0) 201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