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18세기(1700년대)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

예림의집 2014. 4. 16. 16:12

18세기(1700년대)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

 

1. 18세기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운동의 배경

1)종교 및 사회적 상황

-영국 국교회와 비국교회 모두 무기력한 상태에 있었다.

①이성주의적인 사고가 기독교에 깊이 파고 들어왔다.

-1507년 종교개혁

-1555년 아우그부스크 종교 화약

-1648년 30년 전쟁 종결. 베스트팔렌 조약.

-화두가 신앙의 자유에서 이성과 신앙의 문제가 화두가 되었다.

-1789년 프랑스 혁명. 교회의 핍박

-1945년 2차 세계대전의 종식. 이성주의의 패배. 감성(파토스)의 시대의 도래

-로고스의 시대에서 파토스의 시대로 전환되어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게 되고,

-인본주의적 신앙(체험, 은사, 신비)와 개혁신학의 갈등. 교리교육의 필요.

②기독교는 하나의 사회도덕에 불과하게 되었다.

③복음이 교회 밖의 민초를 향하지 못하고, 교회의 울타리 안에만 머물러 있었다.

④대중의 문화는 저속했고, 법은 무자비하게 집행되곤 했다.

 

 

2) 이 시대의 상황

-농업국가에서 공업국가로 변화되는 산업혁명이 시작되는 시기였다.

-따라서 산업가 사회의 변화와 그 변화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들은 종교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2. 신앙운동의 선구자들

①윌리엄 로오(William Law)

-“경건한 삶을 향한 진지한 부르심(1728)”

-이신론을 반대하였고, 존 웨슬리에게 깊은 영향을 준 저서를 저술하였다.

②와츠(Watts)

-근대 영국 찬송가의 시조로 영성이 깊은 찬송을 남겼다.

③신앙단체들(religious societies)

-열심을 품고 연합하여 구제와 전도사역을 하려는 모임으로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 확장되어갔다. 슈패너의 경건한 모임과 유사했지만, 특정 지도자 없이 모인 단체라는 것이 다른 점이었으며 1710년 이후 점차 쇠퇴하기 시자하였다.

 

3. 영국의 복음주의적 부흥운동

*각성운동의 서장

-18세기 총 들어서, 복음주의적인 부흥운동의 서장이 열렸고 기도 단체들이 조직되었다. 존 웨슬리 그리고 조지 휘트필드가 사역을 하면서 본격적인 보음적인 부흥운동이 번져갔다. 이러한 복음주의적 부흥 운동에는 크게 세 부류가 있었다.

1)웨슬리 형제들의 감리교(Methodist societies)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 찰스 웨슬리(Charles Wesley: 1707-1788)

-신학적으로 웨슬리는 복음주의 교리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2가지가 달랐다. 첫째, 완전에 대한 교리-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동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예정론-웨슬리는 알미니안주의자였다.

-신학보다는 삶이 중요하고, 뜨거운 열정과 선교가 중요하다고 강조함.

*조나단 에즈워즈(1703-1758)

-미국의 기독교 부흥운동의 선구자

-감정의 문제가 신학적 화두.

 

2)조지 휘트필드(George Whitefield 1714-1770)

-칼빈주의적인 감리교(Calvinistic Methodist)

-교파의식 없이 폭넓게 설교라고 활동했다. 그의 메시지의 중심은 하나님의 은총이었고,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함으로 오는 평화와 그로 인한 즐거운 헌신이었다. 그는 1738년부터 시작해서 7차례 미국을 방문하면서 부흥운동을 이끌며 미국이 대 각성운동의 촉매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자신의 종파를 만들지 않으면서 각성운동에 헌신하였고, 조지 워싱턴 이전에 북미 전역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었다.

 

*에즈베리(1745-1816)

-영국에서 미국을 선교함

-전쟁 가운데 중림적 입장

 

*그의 신성(New Birth)설교의 특징

①하나님 중심주의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행하심이 우선된다. 하나님이 우리를 택하셔서, 정당한 때에 우리가 거듭나게 된다고 설교하였다. 그의 관점은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②구원론적 강조.

-중생의 필요성을 강조

-이신칭의 교리: 종교개혁을 따라 믿음으로 의롭게 됨을 강조

-그의 설교의 목회적 적용성

*미국 복음주의와 휘트필드의 신생 설교

-성경중심적인 신앙:최후의 권위는 성경이엇다.

-원죄롸 하나님의 선택 사상

-선교와 굥육을 위한 활동 지향성

-교파을 초월하는 연합 정신: 영국 국교회 소속이었지만, 국교회와이 관계를 최소화하면서 교파를 넘어서 활동.

③그의 설교이 목회적 적용성

 

*화란 개혁파 경건주의 푸치우스(1589-1676)

*슈페너(1635-1705), 프랑케(1663-1727), 진센도르프(1700-1769)

-독일의 경건주의 운동

 

3) 국교회의 복음주의 운동

-국교회에 있었지만 복음주의적인 부흥운동에 동조하는 그룹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알미니우스 주의자라기 보다는 온건한 칼빈주의자들이었다.

-웨일즈의 감리교회는 칼빈주의적인 성격.

-웨일즈의 감리교는 알미니안주의적 성격.

 

4) 웨슬리의 신학적 특징

-평범한 진리를 평범한 사람들에게 평범한 언어로 설교한 개척자.

①종교적 지식과 권위: 성서, 이성, 체험, 전통, 자연

②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이 하나님의 주권이나 공의보다 우선한다고 하면서 칼빈의 이중예정론을 비판하였다.

③예수 그리스도: 웨슬리 신학의 중심성이 그리스도다. 특히 그의 속죄론이 중심이다.

④성령: 성령은 하나님의 사랑의 도구이며, 인간의 삶 속에 임하시는 하나님이시다.

⑤인간: 인간은 죄인이고 하나님의 형상을 상실했다. 전적 타락과 선행적 은총론의 주장.

⑥구원: 그의 신학의 주요부분을 차지한다. 구원은 하나님에 대한 전적인 신뢰와 인간의 전적이 책임이 중요하다.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이 구원이다.

⑦윤리관: 은혜 아래 있는 사람들이 실현할 수 있는 사랑 안에서의 완전이다.

⑧윤리의 표준: 그는 먼저 개인의 윤리를 중시한다. 개인과 사회의 구원을 함게 이끌어 가야한다고 주장한다.

⑨교회: 그는 교회갱생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었다.

➉종말론: 구원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이 하나님과의 삶을 준비하도록 하는데 있다는 것이다. 영원한 생명을 바라보며 사는 것이다.

⑪영성과 사회개혁을 종합하였다.

 

5)웨슬리의 영성

①영성의 뿌리:

-그의 영성에는 초대교부들의 고전적 기초 영성과 중세 및 당대 로마 가톨릭의 신비주의 영성 그리고 모라비안 교도들을 통한 개신교 경건주의 영성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의 영향을 받아서 그리스도와의 온전한 합일을 주장한다.

-초대 동방 교부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이집트 사람인 성 마카리우스와 성 에브라임 시루스 등을 읽으면서, 그들의 금욕주의에 영향을 받았다.

②웨슬리 영성은 결국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었음을 의미하는 <거룩한 신적 사랑의 삶>이다.

③성령 안에서의 삶:

-생명 있고 영적 체험이 있는 신앙생활을 중시하였다.

④마음의 순결

-그리스도에의 일치

⑤인격의 완성과 성화

-하나님을 모방하기

⑥완전한 사랑

-이 완전은 하나님이 완전하신 것처럼 우리도 완전하여야 한다는 의미

 

*복음주의적 부흥운동과 근대 선교

-많은 회중교회가 영향을 받았다. 특히 감리교에서 은혜를 받았지만, 감리교의 훈련을 힘들어 하던 사람들과 국교회로부터 온 사람들 등 회중교회로 많이 들어왔다. 영국의 복음주의적 부흥운동은, 이 운동에 직접 가담하지 않은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면서 선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윌리엄 월버포스(1759-1833)

-노예 제도 철폐를 위해서 평생을 싸운 인물이다.

-복음주의 운동의 결과로 근대적 의미의 선교운동이 일어났다.

-이때 윌리엄 케리(1761-1834)는 선교열정으로 인도로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