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설교 형식

예림의집 2014. 3. 31. 16:41

<설교 형식>

①주제설교

-한 주제를 정해서 그 주제와 관련하여 성경 전체에서 무어라고 말씀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설교하는 것

-제목 설교(삼대지 설교)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주제 설교는 삼대지 설교가 아니다.

-강단의 비타민(대표적 설교는 강해설교, 주제설교는 유익을 주는 설교)으로서 강단을 풍성하게 한다.

-주제를 정해서 10주간 설교하기(예배, 성경, 기도, 복음, 성령, 종말 등)

 

②이야기식 설교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리텔링 더 스토리(Retelling th story)

*스토리 스타일(Story styile)

-플롯이 있는 네러티브 프리칭

-이야기식 설교

-첫째, 스토리에 대한 강조(80%가 이야기, 10%가 논리)

-둘째, 플롯(기, 승, 전, 결)의 강조(설교의 플롯이 있으면 네러티브 프리칭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귀납적 접근에 대한 강조(결론과 적용을 열어놓는다. 청중에게 일임)

 

③강해설교

-본문설교는 강해설교에 포함시킴

-강의안 121p

*첫째, 하나의 본문에 집중하는 설교

*둘째, 본문을 바르고, 철저하게 해석하고 그 결과가 설교에 반영이 된다.

*셋째, 설교 전체가 선택된 본문에 의해 온전히 지배된다.

-내가 얼마나 본문 앞에 굴복하느냐?

*넷째, 하나의 설교 내용이 하나이 핵심 주제로 모아져야 한다.

-빅 아이디어로 설교 자체가 모아지는 것이다..

-목걸이를 만드는 것이다.

*다섯, 강해설교는 진전이 있어야 한다.

-진전: 설교가 계속해서 발전해 가는 것(놀리적, 플롯, 생각 등).

*여섯, 적용이 있어야 한다.

 

-설교 형식을 가지고 설교의 질을 판단할 수 없다.

-형식 자체가 우리의 설교를 성경적, 비성경적으로 구분할 수 없다.

-지금은 모든 형식의 설교를 다 시도하고 경험하라.

-또한, 설교를 두부 자르듯 나눌 수는 없다.

-얼마든지 결합이 가능하다.

*각 설교의 장점이 잘 어울어 지는 설교를 지향해야 한다.

-주제가 분명하고, 흥미롭고, 본문에 충실한 설교

-교수님은 강해설교를 주임으로 설교를 준비하기를 원하신다.

 

<구속사적 설교>

-설교의 본질

*구속사

-구약 역사서 본문의 인간적인 접근에서 비롯됨

-1930-40년대 화란 신학자들이 볼 때, 역사서를 너무 모범적으로만 본다.

-구약의 역사서가 성경 전체의 구속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1960년대 바람직한 구속사 설교를 제시“구속사적 설교 원리”

-보수 교단에서 설교의 중요한 원리로 받아들임

①성경이 통일성과 점진성이 있다.

-그림자에서 실체, 예언에서 성취

②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속이 중심

③선포해야 할 핵심 적인 메시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이다.

-타락한 상태의 초점을 맞추어 구속을 선포해야 한다.

*문제

①극단적이다.

-모범적 설교에 대한 비판과 무시와 배척, 조화할 수 없다.

-얼마든지 조화될 수 있다(중풍병자를 고치심: 죄를 용서하심, 나아감)

②본문을 외곡하고, 축소하는 경우

-영해

-모형론 화

③인간의 순종과 결단과 의지가 무시된다.

-오직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

-하나님이 우리를 로봇으로 만들지 않고 자유의지를 주심

-율법, 헤렘, 산상수훈

④항상 결론이 똑 같다

-성경은 우리의 신앙과 삶을 만져야 한다. 그러나,

-무슨 본문이든 구속으로 귀결됨

-윤리, 신앙, 삶에 관심이 없다.

 

<Q & A>

*교수님

-삼위 하나님 중심적

-본문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핵심적인 것이 무엇인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한다고 하면서 그리스도 일원론을 설교하는 경우가 있다.

-복음을 제대로 설교하려면 성부(계획), 성자(실행), 성령(적용)이 함께 드러나야 한다.

*언약적 관점과 구속사적 관점은 같은 개념이다.

*복음적인 설교와 복음적이지 않은 설교

-구속을 제외한 윤리와 도덕 정도로 격화시키는 설교

*죄의 문제를 다루려면

-예언자 설교를 들으면

*모든 본문이 구속사를 이야기 하지 않는가?

-6가지 방법(예: 유비, 잠언, 시편, 전도서, 아가서)

 

<예언자적 설교>

-교수님 박사학위 논문(강의안, 논문 확인)

*사회 정치에 관한 설교

*심판, 책망, 꾸짖음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오해다.

-예언자적 서교에 대한 글이 거의 없다.

-구약의 예언서의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

*구약 예언자들의 우선적인 관심

-정치나 사회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의 사회적인 삶과 책임에 관심이 있었다.

-하나님은 율법을 통해 거듭 강조하였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셨던 사회적인 삶을 산 다음에 그 삶의 열매를 가지고 하나님께로 오라.

*선지자들의 우선적 관심

-미래에 있지 않고 그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현실 가운데 필요한 메시지를 전함

<시대적 배경>

첫째, 영적 타락-하나님과 함께 이방신을 섬기고, 하나님과 함께 이방 나라를 의지함(도덕적 타락까지).

둘째, 혹시 하나님이 무능한 신이 아닐까? 하나님이 우리를 버리신 것이 아닐까?

셋째, 앗수르->바베론->페르시아로 정치적 상황이 혼돈이 옴.

-예수님에 대한 예언이 주된 상황이 아님

-예언(나비)는 미래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

*선지자들의 메시지

-주된 메시지는 소망(회복)이다.

-심판의 메시지와 함께한 소망의 메시지

-선지자적 비관주의는 잘못된 표현이다.

*선지자적 설교는 목회적 설교이다

-교회에서 선포되어야 할 설교

-예언자적 설교라는 큰 틀 아래 목회적 설교가 상당부분 들어가 있는 것이다.

-목회적 설교는 표현되어진 설교이지만, 예언자적 설교는 표현된 것 포함 표현되지 않는 것이 포함된다.

-실제적인 필요를 체워 주는 메시지가 예언자적 설교에 포함되어져 있다.

*사회적 설교

-이 시대의 사회적 이슈들(이혼, 자살, 전쟁, 결혼)을 성경에서 무어라 하는지를 이야기해주는 것

-사회적인 삶과 사회적인 책임을 강조

-교회를 이 시대의 진정한 대안적인 공동체로 만들어 가는 것(빛과 소금).

-잘못을 잘못이라 이야기 할 수 있는

*신학적 설교

-성경에 충실한 설교(하나님이 하신 말씀을 그대로 전하는 것)

-하나님의 마씀이 세계적으로 점차 약화되고 있다.

*종말론적 설교

-에스카칼로지(좁은 의미 역사의 종말, 하나님의 임재)

-심판의 메시지와 함께 한 소망의 메시지

*삼중 해석에 근거한 삼중 목표를 가진 설교

-성경적, 목회적, 사회적으로 해석한다.

-성도들의 회복, 구원의 역사, 사회적 빛과 소금의 삶을 목표로 산다.

 

*이 시대의 강단이 회복되기 위해서 우리는 예언자적 설교의 본질이 회복되어야 한다.

-치우친 설교가 많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의 예배 개혁 신학  (0) 2014.04.02
들어가는 말  (0) 2014.03.31
사역(개인 번역:private translation)의 실례  (0) 2014.03.31
칼빈의 윤리 사상  (0) 2014.03.31
초대교회 예배  (0) 201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