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30년 전쟁

예림의집 2014. 4. 3. 17:01

-1789년 프랑스 혁명의 발발: 기독교에 도전을 준다. 개몽주의의 절정

-미국의 독립정쟁

-러시아 혁명: 교회 역사의 분기점, 기독교와 공산주의의 관계

-2체 세계대전(1939-1945). 제 3세계의 등장과 해방신학의 발전, 제 3세기의 급진적 발전

-2차 세계대전의 전범국가인 독일은 통일 성취, 그러나 한국은?

 

30년 전쟁

30년 전쟁은, 17세기 유럽의 중부에서 벌어진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전쟁이었다.

-최후의 종교전쟁이자, 최초의 세계 대전(독일, 보헤미아, 헝가리, 스페인, 덴마크, 스웨덴 등)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전쟁

-신성로마제국의 활대와 1555년 아우그스부르그 종교화약 이후 지속된 종교적인 불안정

-전쟁 장소느 독일, 독일의 황폐한 국가

-칼빈주의와 가톨릭 주의 간의 전쟁

 

1. 30년 전쟁의 의미와 원인

아우구스부르그 종교화약(1555)은 독일 지역에 잠시 평화를 가져다 주었지만,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루터파 이외의 다른 개신교도들은 전혀 신앙의 자유를 자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①독일 내 칼뱅주의자들의 의식의 고취

-위그노 전쟁(1562-98)

-화란독립정쟁(1568-1648)

-신앙의 자유를 위해 무엇인가 해야겠다는 의지

②반종교개혁(Counter Refomation)

-종교개혁을 반대하여, 가톨릭을 강화하는 개혁

-예수교가 중심이 됨(그나티우스 로욜라)

 

2. 30년 전쟁의 배경(1618-1648)

*1517 종교개혁 시작

-아무런 것도 얻어진 것은 없었다.

-당시 로마 가톨릭이 모두 지배하고 있었다.

-북한의 주체사상이 모두 지해하고 있듯이

-가톨릭과 다른 신앙은 화형시키는 것이 법이었다.

-종교개혁의 운동은 국가와 정치와 밀접한 연관이 되어 있다.

*독일

-루터를 지지하는 영주들이 북쪽에 있었다.

-슈마르칼텐 독맹을 결정함. 황제 연맹과 전쟁

-1555 아우구스브르그 종화약

-영주에 결정에 따라 루터파는 인정

-칼빈주의는 인정되지 않고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프랑스

-원래 강력한 왕정과 가톨릭이 결합되어 있어서 왕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위그노 전쟁의 실패

*네덜란드

-원래 신성로마제국의 속국이었다.

-독립의식이 각성되면서 그 중심에 개혁신앙이 자리잡은 것이다.

-도르트총회

-164년 베스트팔렌 조약 독립으로 인정

*영국

-청교도

-미국으로 가고 영국은 다시 국교회가 지배하게 됨

①가톨릭 세력의 회복-폴란드와 독일에서

-제수이트교단 출신 추기경인 호시우스, 국왕 시기문트 3세의 개신교 박해.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감

-독일의 경우 예숙단을 중심으로 바이에른 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함스부르그 왕가의 지배 지역, 마인쯔, 쾰른, 트리에후라는 명칭가진 성직자가 지배하는 교회령을 중심으로 가톨릭 세력이 대학을 장악하고 교육을 진흥시킴

-루돌프 2세의 박해

②칼빈주의의 확장-독일에서

A. 팔쯔 선제후국과 하이델베르그 신앙교리문답

*팔쯔 선제후구과 하이델베르그 신앙교리문답

-프리드리히 3세

-제일 먼저 칼빈주의를 수용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서

-올레비아누스, 자카리아스 우르신

-독특한 개혁주의가 꽃피우게 되었다.

-브란덴브르크 공주(독실한 개신교)가 시집을 옴

*하이델베르크신앙고백서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됨

-1563년 제작 당시 유럽의 모든 언어로 번역됨

-빠른 확산

-도르트총회에서 확증되었다.

-개혁주의의 최고 권위를 갖는다.

*독일의 다른 지역에서의 칼빈주의의 확장

-바이헤른 주. 민휀

-브란덴부르크(베를린)

-존교전쟁의 씨앗이 나옴

*가톨릭 진영과 개신교 진영의 충돌

 

3. 30년 전쟁의 전개

-세속적인 전쟁이지만 치열한 신앙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이었다.

-이스라엘과 가나안과의 전쟁

-북한?

①프라하의 폭동(1618)

②보헤미야 주민은 팔레티네이트(팔쯔) 선제후를 왕으로 옹립하였다.

-잔 후스의 후예들

-전쟁으로 확산 됨

③반란이 동부로 확대

④신교 연합군(영국, 화란, 덴마크)의 독일 침공

*주요 전쟁

①팔쯔 전쟁(1618-1623)

②덴마크 전쟁(1625-1629)

③스웨덴 전쟁(1630-1635)

④프랑스 전쟁(1635-1648)

 

4. 30년 전쟁의 결과 및 역사적 의미

①인구 1/3이 감소

-도시와 농촌이 황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피폐화

-독일 제국이 300여개의 크고 작은 주로 갈라짐

②신앙의 자유

③종교분재으이 재연

-신, 구교간의 국가가 뚜렷이 나뉘어 나름대로의 종교 자유를 획득하게 된다.

④1648년 웨스트팔리아(Westpalia) 조약의 체결로 일단락 되었다.

*웨스트필리아 조약

-독일의 30년 전쟁으로 독일과 스웨덴 사이에 맺은 평화 조약이었다.

⑤종교의 무과님을 빚어냈다.

-이성이 주제가 되고, 신아이 이에 싸우면서 역사가 시작된다.

⑥현대 세속 국가의 발전을 가져옴

⑦전통적인 교리에 대한 회의가 심화됨

⑧거대 제국(신성로마제국)이 와해되어 분해됨

⑨결국, 종교개혁과 종교 전쟁의 총 결산

➉근대 최초의 대 국제회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