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제 2강 (3월 11일 화요일)

예림의집 2014. 3. 11. 20:04

 

제 2강 (3월 11일 화요일)

 

*강의 자료 인터넷에 올리지 말라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교회 교육용으로 사용해도 된다.

 

*개혁신학이란?

①성경

②공교회의 신조

③하나님 나라의 절대 주권(영역 주권)

 

*개혁주의 주요 교리

①오직 은총(은혜)

②오직 예배

③오직 그리스도

④오직 하나님께 영광

⑤오직 성경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Ecclesia reformata est semper reformada”

 

*개혁주의 사명 선언문(눅 4:16-19, 21)

(눅 4:16, 개정) 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늘 하시던 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

(눅 4:17, 개정) 선지자 이사야의 글을 드리거늘 책을 펴서 이렇게 기록된 데를 찾으시니 곧

(눅 4:18, 개정)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 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롭게 하고

(눅 4:19, 개정)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

(눅 4:21, 개정) 이에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시되 이 글이 오늘 너희 귀에 응하였느니라 하시니

-이사야서 61장의 성취

-주님은 회복을 복음이 전파되는 것, 자유 함, 다시 봄의 예배로 보았다.

-주의 은혜의 해는 희년을 가리킨다.

-회복의 예배

-안식일(7일), 안식년(7년), 희년(50년)

-하나님 나라의 회복

-예배 가운데 일어나는 것이 꿈이 되어야 한다.

-예수님이 희년의 완성하심을 적용하는 것

-사도행전의 성령강림 또한 희년의 역사이다.

 

*지금 한국 교회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구릅 토론

-하나님 위주가 아니라 성도 위주의 예배 형식

-예배의 형식은 있는데 거룩성(진정성)이 결여되어 그 순서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일을 한다(성경 찾기, 헌금 준비, 식당 봉사, 잡담 등)

-말씀선포 가운데 십자가의 복음 선포가 없고 교훈, 윤리 설교, 세미나 형식, 목사님의 사상을 주입한다.

-예배 순서가 너무 인간적이다. 성령의 인도, 하나님과의 교통의 부재.

-예배를 위하여 준비한 것들(PPT, 영상, 음향, 오르간, 밴드 등)이 오히려 예배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예배의 말씀 선포의 비중이 과다하여 부르심, 죄의 고백, 선포 등이 생략된 경우가 많다.

-예배를 인터넷이나 TV로 실시간 중계하여 성도들이 교회에 안와도 되도록 만들고 헌금도 온라인으로 하는 경우.

-율법주의적 설교 -일부만 참여하고 나머지는 구경꾼 -보여주기 식의 예배 -예전이 사라짐(성찬과 세례)

-예배가 나이별로 구분되어 있다. -설교가 세속화 되어져 있다. 복 받으라. 성공 지상주의, 출세주의 등

-타 교회의 트렌드를 답습하는 형태 -기복적 예배 -엔터테이먼트 예배 -줄어드는 예배 횟수

-예배의 본질을 회손, 방각 -습관적으로 예배를 드린다. -성도들의 눈치를 보는 예배와 설교

-축도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 -관망적, 소극적 예배 -설교를 평가하는 평가자로서 참여한다.

-큰 교회를 가야 은혜를 받는다는 고정관념 -의식 없는 찬양. 유행가 흥얼거리듯이

-감격과 감동이 없는 예배 -대상을 상실한 예배 -인본주의적 예배 -목회 도구로 설교를 사용

-예배인지, 발표회인지, 콘서트인지 구분이 안 되는 예배 -강제적인 예배

-위기감을 조성하는 말씀이 없다. 죄의 경고, 잘못을 지적 등의 말씀이 없다.

-구도자 중심 예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새 신자를 전혀 배려하지 않는 예배.

*이런 문제들을 안고 예배학을 공부해야 한다.

-대안을 찾아야 한다.

-개혁주의 교회의 개혁된 예배를 만들라.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혼합주의, 세속화, 성경적 무지, 혼합적 영성, 세계화와 연관성

-진리의 해체, 메타내러티브(성경구속사)의 죽음, 텍스트의 상실, 테라피(therapy)의 지배

*구도자 예배에서 이머징 예배로.

-전통 예배에 대한 반발로 구도자 예배가 생겨났다.

-이는 예배 문화를 바꾸어 버렸다.

-차츰 구도자 예배에 대한 반동이 일어났다.

-후기 구도자 예배를 중심으로 한 이머징교회 운동

*특징

-경험, 참여, 이미지, 연결, EPIC

*나침반(compass)

①저항예배운동->전통예배로는 안 된다.

②모던이즘에 대한

③구도자 예배는 너무 인본적이다.

*Scott Mcknight

①선교적 가치(Pro-missional): 현지의 복음 전도

②예수님의 삶의 가치(Pro-Jesus): 예수 설교

③교회의 가치(Pro-Church): 공동체성

④문화에 대한 가치(Pro-Culture): 마음과 뜻과 정성

⑤다감각 예배에 대한 가치(Pro-Sonsory worship)

*포스트(Post)

-지금은 교회 후기 시대이다.

-전인적 예배가 강조된다.

①로드십

②제자도

③충격

④팀 사역

⑤유기채적 구조-수평화

⑥영적 가족 공동체

*선교적-성육신적 교회의 DNA

①자유주의 그룹

②알미니안 그룹

③복음주의 그룹

 

*결론

-개혁주의 예배의 갱신과 회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예배는 영적 전쟁이다.

-이미 한국은 선교지화 되어가고 있다.

-대충하지 말자

-진실한 목회자가 되자.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교의 3P  (0) 2014.03.17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0) 2014.03.17
제 1강 오리엔테이션(3월 4일 화요일)  (0) 2014.03.10
제 9강 10월 27일  (0) 2013.11.06
제 9강 10월 27일  (0) 201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