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강 10월 27일
사역실천
1. 리더가 없으면 사역을 시작하지 말라.
-
2. 문명의 최신 장비들을 적극 활용하라.
-목회자들의 귀가 망가졌을지 먼저 확인하라.
-음향에 대한 공부를 하라
-아나로그적 감동도 잊지 말라.
3. 충성된 사람에게 일을 나누어주라.
-목사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맡긴 뒤에는 너무 간섭하지 말고, 피드백 자리를 만들라.
-뗏목 목회, 함선 목회
-사람 보는 눈을 훈련하라.
4. 사역방법을 늘 겸손하게 다른 곳에서 배워야 한다.
-장점만 배워 오라. 단점도 정립하라.
-중독되지 말라. 사역 방법론에 빠져버리면 안 된다.
-세미나에 참석함을 즐거워하고, 투자하라.
-목수처럼 기초부터 튼튼하게 집을 지으라.
5. 여자 화장실에 가장 먼저 투자하라.
-교회 등록의 결정권은 여자에게 있다.
-자기 집 화장실보다 좋아야 한다.
-투자를 아끼지 말라.
6. 21세기 사역은 예술 감각을 가진 지도자가 성공한다.
-색에 대한 공부를 하라.
-조화를 이루게 교회 색깔을 정하라.
-디자인 감각을 익히라.
-1억을 가지고 개척을 하면 디자인비는 5000만원(1/2)에 책정하라.
-개척성공은 디자인과 설교다.
7. 누군가는 사역통계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
-숫자 세는 것에 거부감을 떨쳐버려야 한다.
-사역통계에 스트레스를 받지 말라.
-사역통계는 사역자의 목숨가도 같은 것이다.
8. 평신도들이 처리할 한계 지점이 있음을 인식하라.
-성직자의 권위를 유지하라. 허용하지 말라.
-정결규정의 두어 결제하지만, 최종 결재권자는 담임 목사여야 한다.
9. 규모, 품질, 비용 중 두 가지만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을 가지고 토론하지 말라.
10. 취침 전에 사역일지를 쓰라.
-목회일지를 쓰는 목회자가 많지 않다.
11. 팀이 정기적으로 만나 전략회의를 하라.
-
12. 리더들에게 예상치 못한 선물로 감동시켜라.
-칭찬과 선물
13. 어제 웹 방문자가 어제 본 것을 다시 본다면 내일 다시 오지 않는다.
-교회 홈페이지를 방치하지 말라.
14. 거북이에게 자극을 주는 것보다 사자를 길들이는 것이 낫다.
-일꾼들하고 같이 일하라.
-장로들이 거북이 같아서 잘 못 따라올 때, 장로들을 배제하고 집사들하고만 사역을 하면 안 된다.
15. 카페트 색깔을 정하기 위해 투표하지 말라.
-시시콜콜한 것으로 의견을 묻지 말라.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분쟁거리가 될 것만 투표하라(헌금명목을 정하는 것은 당회이다.).
16. 목사는 치어리더이다.
-흥이 나게 하라.
-분위기 메이커
17. 핵심 프로젝트에 집중하라.
-교회마다 각각의 특성과 은사가 있다.
-그 교회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
-다 하려고 하지 말고 개성 있는 것을 하려 하라.
-목사님과의 은사하고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은사와 직분이 잘 결합하며 시너지 역할을 한다.
-교회에 은사를 가진 성도가 있으면 질투하지 말고 잘 세워주어야 한다.
18. 조직 체계는 자주 바뀌어야 한다.
-회계집사는 자주 바뀌어야 한다(2년 이상 되면 안 된다).
-헌금 입금 날짜를 보라.
-재정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목사가 아니다.
-정관으로 정해서 못을 박아야 한다.
-당회->노회->총회->세상 법정
-헌법과 잘 조화된 교회법이 있어야 한다.
19. 조직은 목회의 전략을 반영하여야 한다.
-조직을 위한 조직이 아니라 전략의 유용성을 위한 조직이어야 한다.
-하나님의 뜻(브레)->비전->목회정책(기획)->목회계획(단기)->프로젝트->프로그램
-비전: 양을 어떻게 돌볼 것인가? 소명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고민해야 한다.
-큰 페리다임 안에서 조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략과 조직이 근본적인 개혁신학의 페러다임을 바꾸어서는 안 된다.
20. 교회 안에서 의견함(BOX)을 만들어 교인들의 생각을 반영하라.
-홈페이지, 신문고, 카톡방
-원래 장로가 했던 역할이었다.
-교인들의 생각을 잘 읽어야 한다.
-떠나는 사람하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라.
21. 군중이 모이는 곳에 돈을 써라.
-고기가 많은 곳에 그물을 던지라.
-실용주의가 아니라 효과의 집중에 의해서이다.
-현미경 목회와 만원경 목회의 조화를 이루라
22. 서둘러 일꾼을 세우지 말라.
-특심과 열심의 현혹되지 말라.
23.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 제직을 임명하라.
-정관과 규칙을 만들라.
24. 일하는 당회, 일하는 제직회를 만들라.
-회의만 해서는 안 된다.
-일하는 담당자와 방법을 제시하는 회의가 되라.
-당회 교육, 제직 교육을 철저히 시키고 임명하라.
25. 목사는 회의진행법과 찬송가를 완벽하게 알아야 한다.
-새 찬송가를 완벽하게 알아야 한다.
-동의(안건을 제출한다), 재청(공식적인 논의 꺼리로 확정한다), 찬성, 반대, 가/부를 묻는 때와 법을 익힌다.
26. 혼상례 주례는 교회규칙에 따라 공정하게 하여야 한다.
-기준이 있어야 한다.
-교회 요람에 정해 놓아야 한다(혼상례 규칙).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강 (3월 11일 화요일) (0) | 2014.03.11 |
---|---|
제 1강 오리엔테이션(3월 4일 화요일) (0) | 2014.03.10 |
제 9강 10월 27일 (0) | 2013.11.06 |
제 8강 10월 22일 (0) | 2013.10.22 |
제 7강 10월 15일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