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과. 이삭, 양보할 줄 알았어요②
본문 이해: 창세기 26:12-25
"이삭이 그 땅에서 농사하여 그 해에 백 배나 얻었고 여호와께서 복을 주시므로 그 사람이 창대하고 왕성하여 마침내 거부가 되어 양과 소가 떼를 이루고 종이 심히 많으므로 블레셋 사람이 그를 시기하여 그 아버지 아브라함 때에 그 아버지의 종들이 판 모든 우물을 막고 흙으로 메웠더라 아비멜렉이 이삭에게 이르되 네가 우리보다 크게 강성한즉 우리를 떠나라 이삭이 그곳을 떠나 그랄 골짜기에 장막을 치고 거기 거류하며 그 아버지 아브라함 때에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팠으니 이는 아브라함이 죽은 후에 블레셋 사람이 그 우물들을 메웠음이라 이삭이 그 우물들의 이름을 그의 아버지가 부르던 이름으로 불렀더라 이삭의 종들이 골짜기를 파서 샘 근원을 얻었더니 그랄 목자들이 이삭의 목자와 다투어 이르되 이 물은 우리의 것이라 하매 이삭이 그 다툼으로 말미암아 그 우물 이름을 에섹이라 하였으며 또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또 다투므로 그 이름을 싯나라 하였으며 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다투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르호봇이라 하여 이르되 이제는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넓게 하셨으니 이 땅에서 우리가 번성하리로다 하였더라 이삭이 거기서부터 브엘세바로 올라갔더니 그 밤에 여호와께서 그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나는 네 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니 두려워하지 말라 내 종 아브라함을 위하여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어 네 자손이 번성하게 하리라 하신지라 이삭이 그곳에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거기 장막을 쳤더니 이삭의 종들이 거기서도 우물을 팠더라"
본문은 이삭이 블레셋 땅에서 당하게 된 우물에 대한 어려움과 이삭이 보여준 믿음의 반응을 담고 있습니다. 이삭은 블레셋 땅에 안주하여 농사를 지었고, 그 결과 놀랄만한 풍성한 소출을 얻게 됩니다. 이것은 그의 영농법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그에게 복을 주신 결과로 가능했습니다(12, 13절).
14절에서 22절의 단락은 블레셋 사람들이 이삭을 시기했다는 것을 보고함으로 시작합니다. 이삭의 하인들이 블레셋 족속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여러 번 장소를 바꾸어 계속하여 우물을 파고 이름들이 붙여진 과정을 통하여 이삭이 블레셋 족속과 어떻게 화해하고 다시 협약 관계를 회복하여 가는가를 보여줍니다.
이삭의 번영을 시기한 블레셋이 생명줄과 같은 우물을 강제로 매립해 버립니다. 이는 물이 귀한 팔레스타인 지방에서는 일종의 선전포고와 같은 행동이었습니다. 이에 이삭은 평화를 선택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것은 비굴하거나 힘이 약해서가 아닙니다(14-22절). 이삭은 하나님이 자기와 함께 하시며 반드시 선한 길로 이끄실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은 결국에는 그를 핍박하던 사람들이 평화협정을 맺고자 이삭을 찾아옴으로써 결론을 맺게 됩니다(26:23-25). 이것은 온유한 자가 결국 승리하게 된다는 신앙인의 자세를 가르쳐 줍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사람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타협이나 불화가 아니라 소명 중에 인내하며 견디는 자인 것입니다.
고난과 시련을 겪고 난 다음에 이삭은 하나님의 복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욥의 시련을 기억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녀와 모든 재물을 잃은 욥은 그 시련을 참고 견디었을 때 전보다 더 많은 자녀와 재물을 얻게 되었습니다. 시기와 질투를 받았는데도 이삭은 원망과 불평을 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삭이 그만큼 하나님의 사람으로 성숙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ε♡з교회 사역...♡з > 교회학교 성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과] 이삭, 양보했어요! (0) | 2019.02.14 |
---|---|
6과. 이삭, 양보할 줄 알았어요③ (0) | 2019.02.13 |
6과. 이삭, 양보할 줄 알았어요 (0) | 2019.02.11 |
3과 삶과 예배 (0) | 2019.02.07 |
[제3과] 아벨, 하나님이 받으신 예배를 드렸어요! (0) | 2019.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