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 (creed)
1. 신경의 필요성
⑴ 초대교회는 각종 이단들이 사도들의 가르침을 왜곡함
⑵ 그들의 공격에서 교회를 보호하고 참된 신앙을 가르칠 필요가 있었음
-사실은 초대 교회를 든든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변증가들의 노력
-성경 정경화 작업
-신경을 만듬
-성경이 모든 사람에게 보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경을 요약하여 신경을 만들었다.
-신구약 성경에 나오는 핵심적인 교리를 간단하게 만들었다.
-암송, 암기, 내용을 설명하였다.
A. 성경에 나타난 고백적 말씀 - 예배와 세례 시 사용
①그리스도에 관한 고백- 마16:16, 행8:37, 롬10:9, 고전 15:3-4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 16:16)”
② 하나님께 - 고전 8:6, 딤전 2:5-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여 있고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느니라”
③ 삼위 하나님 - 마 28:19, 고후 13:13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B. 세례를 위한 고백
-사도행전 8장 36-39
“길 가다가 물 있는 곳에 이르러 그 내시가 말하되 보라 물이 있으니 내가 세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 (없음, 주에 교리문답이 있다.) 이에 명하여 수레를 멈추고 빌립과 내시가 둘 다 물에 내려가 빌립이 세례를 베풀고 둘이 물에서 올라올새 주의 영이 빌립을 이끌어간지라 내시는 기쁘게 길을 가므로 그를 다시 보지 못하니라”
-당시 세례 모습을 만영한 모습이다.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라고 고백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해도 세례를 주었다.
-초기에는 세례문답이 간단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길어졌다.
-세례를 줄 때 삼위일체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하심(마 28:19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디다케에는 이것을 풀어서 설명하였음.
-질문을 주로 삼위 하나님에 관해 하였다.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다.
-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지 않은 것은 참 세례라 할 수 없다.
2. 신앙 규범으로서의 신경
-Irenaeus 는 “진리의 규범(신앙의 교리)”으로 이단을 대항해야 한다고 봄.
-이단들이 주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서 반박하였다.
-반 영지주의 교부들은 삼중교리(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것을 집중적으로 가르쳤다.
① 진리의 규범은 세례시 신앙고백을 의미
② 또 성경을 의미
③ 결국 성경에 나타난 구원의 핵심교리가 곧 신앙고백이다.
④ 신앙의 규범은 초대교회의 가르침을 요약한 신앙생활의 지침이다.
-사도신경은 신, 구약 성경의 요약이다.
-신약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언약 신약에 근거하여 신, 구약을 꿰뚤었다.
3. 신경이 생긴 배경
A 2세기 고백
⑴ Ignatius(안디옥 교회 감독) 고백
-Gnostic의 동정녀 탄생 부인, 가현설에 반박
① 마리아에게서 출생
② 빌라도에게 의해 죽으시고
③ 부활하심 강조
⑵ 사도들의 편지(150년경)
-이레니우스와 터툴리안보다 조금 앞선 것으로 이집트에서 사용됨.
① 하나님 전능
② 그리스도
③ 성령
④ 거룩한 교회
⑤ 사죄
⑶ 구 로마 신경(약 150년 경)
2세기 경 로마에서 세례 받을 때 문답용으로 사용된 고백서
-사도신경의 전신
-신경 발전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례 때 교육용으로 사용됨.
-여러 지역으로 보급됨.
-다른 여러 지역 신경에 영행을 끼침.
⑷ Justin Martyr(165년 경)
① 창조주 하나님 경배
② 예고대로 구원자이신 그리스도 경배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함.
-세례 받을 때 질문용 내용.
⑸ 서머나 교회 장로들(180년경)
-로에투스를 정죄하였던 장로들
① 한분 하나님
② 그 아들의 죽음과 부활
③ 심판주로 재림할 것
-당시 이단들은 하나님과 성자의 관계에 대해 공격을 하였다.
⑸ Papyrus (200년 경): 2c 후반
① 전능한 하나님
② 그리스도
③ 성령.
④ 육체부활
⑤ 거룩한 보편교회
⑹ Tertullian의 신앙규칙
-Tertullian의 구원은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하여 역사 속에서 성취됨을 강조함.
-그리스도에 대해서 신, 구약의 핵심적인 내용
-말년에 몬타누스 이단에 빠짐(초대 교회에서 풀리지 않은 제일 큰 숙제)
B. Roma 신경
⑴ 배경 - 215년경 수제자에게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에 관한 질문을 함
⑵ 내용 - 문답식임
① 창조주 하나님
②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심판
③ 성령
④ 거룩한 교회
⑤ 성도의 부활 강조
C. Nicea 신조(325년)
⑴ 성부 하나님- 모든 것을 만드신 자.
⑵ 성자 하나님- 한분 주 예수 그리스도. 아버지와 동일본질이심.
-출생 되시되 만들어지지 않으심
-아리우스르 정죄
-성부와 성자의 동일 존재가 아니다.
-성부 하나님은 계시지 아니하셨던 때가 없었으나 성자는 계시지 아니하실 때가 있었다.
-성자는 성부가 가장 처음 만드신 피조물이다.
-엄청난 질적 차이이다.
-유사본질을 개념
-하나님과 예수님은 질적으로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함.
-그리스도는 하나님이 절대 아니다.
-신학의 체계가 완전히 깨어져버림.
-특히 알렉산드리아 신학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함.
-성자는 성부에게서 출생 되었으나 만들어지지 않았다.
-성자와 성부는 동일 본질이시다.
-호모우시우스
⑶ 성령을 믿음
D. Marcelluce 고백
- 340년경 Marcelluce가 Julius 1세에게 보낸 편지에 수록(서술식)
① 전능의 하나님
② 그리스도 동정녀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심판 주
③ 성령
④ 거룩한 교회
⑤ 죄 사함
⑥ 육체부활
⑦ 영생
- 이것은 현재 사도신경과 거의 일치함.
D. Rufinus 고백 (404년경)
① 전능 초월하신 하나님
② 그리스도의 성령으로 동정녀 출생, 빌라도에게 고난, 사흘 만에 부활, 승천, 심판주로 재림
③ 성령
④ 거룩한 교회
⑤ 사죄
⑥ 육체부활
E. Hippo 신경 (400년경)
① 창조주 하나님
② 그리스도, 성령으로 동졍녀 출생, 죽으시고, 3일 후에 부활, 승천, 심판주로 재림
③ 성령
④ 사죄
⑤ 육체부활
⑥ 거룩한 교회를 통해 영생
4. 음부 강하 설
-이레니우스는 음부 상하 설을 주장하였다.
-그리스도께서 음부에 내려가셔서 온갖 혐오스러운 일을 행한 자들을 구원하셨다(가인, 소돔과 고모라 성 사람, 애굽 사람 등).
-음부 하강성을 강조하다가 불필요한 말을 많이 하였다.
-터툴리안도 예수님이 죽은 자의 상태로서 하대스(지옥)로 내려가셨다.
⑴ 아리안 신경들(360년)
-지지
⑵ 아킬레이아 신경(4c 후반)
-지지
⑶ 갈리칸 신경(503-543)
-지지
⑷ 공인된 사도신경(750)
-없다.
⑸ 칼빈의 견해
-절대로 음부에 내려가셨다는 것을 절대로 빼지 말라.
-죽은 자들에게까지 그리스도의 죽음이 주는 능력이 얼마나 위대하다는 것을 선포하기 위하여.
-이 조항이 삭제되면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많은 해택을 잃어버리게 된다.
-벧전 3:19“그가 또한 영으로 가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하시니라”
-하나님의 진노를 가라앉히지 위한 것이었다. 공의로운 심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모든 사람(지옥에 있는 사람에게도) 값진 고통을 치루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 최초 사도신경에는 들어 있었다.
-감리교 사람들은 음부 하강성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성서공의회를 만들고 나서부터는 시나브로 없어졌다.
5. 사도신경에 대한 전설
-사도적 신앙(전통)을 고백하기 때문에 사도신경이라 한다.
-이단들은 사도적 신앙을 거부한다.
-Rufinus(400년대)는 “사도들이 전도 도중 온 천하로 흩어지기 전에 신경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고 함.
-12제자가 한 음절씩 만들어 신경이 되었다고 함
-12단락으로 되어 있음
-신빙성이 없다.
-사도들이 만든 것이 아닌, 속사도 교부들이 자기 교회의 상황에 맞추어 성도들의 신앙에 더 바르게 하기 위해
긴 세월동안 정 보안의 절차를 걸쳐 만들어진 것이다.
6. 사도신경 완성(8세기)
① Roma 신경(150년경)에 점점 삽입되어 현재 신경으로 발전
-뼈대와 골격, 지금의 사도신경과 동일한 것이 아니었다.
② 3-4세기에 각 지방에 여러 종류 신경이 있었다.
③ 현재 신경을 719-724에 기록된 “공인문서” 에 수록
④ 그래서 사도신경 확정된 시기는 8세기로 봄-
사도신경이 완성된 시기로 봄
-12단락, 상당히 조직적이고 논리적이고, 성경 말씀에 모든 중요한 내용을 다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제일 간략하게 만들어졌다.
-이 신앙고백만 묵상해도 성경의 은혜를 받을 수 있다.
7. 사도신경의 구조
제 1항. 성부
① 전능
② 창조주
③ 아버지이신 하나님
제 2-7항 성자
① 그리스도
② 성령으로 잉태
③ 죽으심
④ 부활
⑤ 승천
⑥ 재림
제 8항 성령
제 9항 교회
제 10항 죄
제 11항 부활
제 12항 영생에 관한 고백
*이것은 논리적이면서 신앙 핵심임
-사도신경에 한 구절, 구절에 대해 바르게 알아야 한다.
-사도신경은 눈 감고 암기만 할 것이 아니라 눈을 뜨고 선서하듯, 다짐하듯 해야 한다.
-의미를 깨달으면서 마음에서 울어나도록 신앙고백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사도신경을 잘 이해하고 성도들에게 잘 가르쳐야 한다.
-요리 문답을 근거해서 자기 교회의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설교한다.
-특이한 것은, 주일 낮 예배 출석과 저녁예배 출석이 같아진다.
-교리 설교의 진정한 맛을 느끼게 되면
-설교가 편중되어 있지 않다.
-교리 설교의 반복으로 교인들의 신앙이 튼튼하고, 성숙해 진다.
-신앙의 균형을 잘 이룰 수 있게 된다.
-교리 설교를 요리문답에 맞추어 설교할 수 있다면 교회가 내적 부흥을 올 수 있다.
-한국 교회는 세례 문답을 너무 헐값으로 덤핑한다.
-세례를 받겠다고 각오한 사람에게는 집중적으로 교리를 가르쳐 주어야 한다.
-구두서약 “정말 믿는가?, 주일성수, 술과 담배, 십일조 등”
-이 때 각오를 받아 놓으면 못 지키더라도 회개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세기 스코틀랜드 교회 생활 (0) | 2014.10.16 |
---|---|
교회직분 (0) | 2014.10.14 |
스코틀랜드 선교/프랑크 왕국 (0) | 2014.10.06 |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원인 (0) | 2014.10.04 |
한국교회 대부흥운동(1900-1910) (0) | 201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