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윤리학의 정의

예림의집 2014. 9. 19. 18:47

 

 

1

기독교윤리학와 신학

 

1. 윤리학의 정의

윤리(倫理)

ethic ; (희) ethos = 공동체(집)의 관습, 주거

∥ 라틴어로 번역하며 ethos와 mos의 뜻은 동일하다.

도덕(道德)

morality ; (희) mos

➜ but, 단순히 어원(언어학적 입장)만 동일하다고 그 뜻이 동일한 것이 아니다.

also, 현실 가운데 윤리와 도덕을 상호교호적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윤리학계에서 윤리와 도덕에 엄밀한 차이를 가지고 설명한다.

 

* 윤리학에서 있어서의 도덕과 윤리의 차이점

도 덕

윤 리

공동체(공동체의 구성원들)를 지배하는 행동관습의 행동원리를

주관적인 입장을 배제하고 서술하는 작업

=desciptive statement 기술적인 진술

행동원리가 정당한가 타당한 것인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옳고 그름을 따지는 작업

=normative statement 규범적인 진술

 

* 윤리학에 있어서의 옳고 그름의 판단기준

: 규범(規範, Norm) (라) norma(‘목수들의 직각자’를 의미)

 

윤리학이란 어떤 판단기준인 규범에 근거하여 인간의 행동과 행동의 관습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학문

 

* 윤리학의 세 가지 형태

1. 서술 윤리학 : 사회과학방법론에 기초에 있는 윤리학.

2. Meta-ethics : 윤리학의 예비적 단계. 윤리학 자체의 문제.

3. 규범 윤리학 : “인간이 일정한 행위를 함에 있어서 어떤 규칙 내지 표준을 필요로 하는데,

그러한 당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규칙과 표준.“

 

 

?

윤리학의 비판적 반성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행동의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ⅰ) 인간의 모든 행위가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다.

➜ 본능이나 생리에 따른 불가피한 행위들은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러한 행위라 하더라도 생존과 직결되지 않은 통제가 가능한 행위로서 부도덕한 결과가 예견되는 행위에 대해서는

도덕적인 책임이 배제되지 않는다.

이는 도덕적 상상력을 진행시키고 발전시키지 못하고 절제/통제하지 못하여 일어나는 부도덕한 결과에 대해서는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ⅱ)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행위는 전인적인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윤리적으로 바른 행위란 행위의 의도, 행위자체(과정), 결과가 모두 바르고 선한 것인가가 고려되어야 한다.

c.f. 역사상 어느 한쪽만을 강조한 윤리적 입장들이 있었다.

󰀣 e.g. E. Kant : 행위의 의도 강조

율법주의 : 행위 자체만 강조

J. S. 밀 & 벤담(공리주의) : 행위 결과만 강조

 

ⅲ)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되는 행위가 전인적인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말의 또 하나의 의미는

개인윤리적인 행위 뿐만 아니라 사회윤리적인 행위도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 전통적으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로 윤리학을 구분하는데, 위의 명제는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모두 윤리학의 반성의 대상이 된다는

뜻이다.

* 개인윤리 Vs. 사회윤리 : 결단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구분되어짐.

“개인의 결정에 의해서 행해지는 행동이든 단체의 결정에 따라 행해지는 행동이든

모든 행동은 사회적인 행동이다. 모든 인간의 행동은 사회적 행동이다.“

e.g. 기도하는 행위도 사회적인 행위다. be-기도하는 사람의 행위와 행위결과가 사람들에게 인식이나 생각에

사회적인 여파를 끼친다. so, 개인윤리나 사회윤리 모두가 윤리의 반성의 대상이다.

 

- 個人倫理 : 주관적인 자기 혼자만의 결정에 따라 행동하는 윤리

개인의 자질문제 중시됨

- 社會倫理 : 여러 사람(단체)의 결정에 따라 행동하는 윤리

ⅰ) 합의도출

ⅱ) 준칙 : 한 사회의 법, 체제(institution)로 표현 ➜고전적인 사회윤리 문제

개인의 자질에 대한 문제는 2선으로 후퇴하고 system에 대해 논함

 

e.g.1 개인윤리적인 경제윤리 : 기독인 실업가로서 어떤 바른 행위를 할 수 있을까

사회윤리적인 경제윤리 : 기업의 내부조직이나 목적, 정신, 법규가 정당하가에 대한 문제

e.g.2 개인윤리적인 관점의 의료윤리 : 의사가 어떤 정신과 규범을 가지고 낙태문제를 다루어야 하는가

사회윤리적인 관점의 의료윤리 : 어느 사회의 낙태를 다루는 법 시스템과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법률이

어떤 양상을 가지는가에 대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