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강: 9월 18일 목요일
개신교 선교의 준비(1866-1884)
1. 국내에서의 준비
*대원군
-러시아의 남하 문제
-남중상과의 만남
-프랑스의 힘을 빌려서 러시아의 남하를 막을 것이라고 약속함
-커뮤니케이션 문제로 제대로 진행되지 않음
-청나라에서의 천주교 박해를 접하고,
-영국과 블란서의 중국 침략
-천주교, 서양 신부, 외국 돈이 범람한 중국의 위기를 느끼며 대대적으로 천주교를 박해하기 시작함
-12명의 잠입 신부 중에서 9명이 처형됨, 8천명의 천주교 신자가 처형을 받음
-블란서는 군대의 함대를 이끌고 와서 위협을 하게 됨
-1865년 러시아 함대, 독일 상인이 국내 들어와 대원군의 부친의 묘를 파헤치려 하다가 걸림. 국내의 신부의 도움으로
-부장품을 가지고 천주교 자유, 통상의 딜을 하기 위해서, 국제 시체 도굴 사건. 부정적인 이미지 확산
-프랑스 함대의 침략, 강화도 점령, 오래 된 고서들을 수탈해 감.
1866년 General Sherman호 사건 :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의 순교. 중국에서 활동하던 토마스 선교사가 배를 얻어 타고 평양으로 들어가다 문정관을 만나 야소교를 전하러 왔다고 밝힘. 천주교와의 차별화가 필요했을 만큼 당시 서학에 대한 한국민의 반발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은 조선과의 통상을 압박, 내부적으로 수구파와 개화파와의 갈등이 심화되는 계기가 됨.
-미국이 청나라를 통해서 벌링케일이란 사람을 통해서
-1867년 슈펠트 함장. 와츄셀 함선이 강화도로 와서 타진을 시도하나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돌아감
-1871년 전쟁함. 신미양요, 대원군의 사기 저하
-명성황후(민비) 새력을 구축함: 고종의 나이가 친정을 할 수 있는 다이라고 주장함. 최익현을 통해 대원군의 윤리적 문제를 들추어 냄.
1873 대원군 하야 -> 개화의 물결을 가속화시키는 계기
-고종의 친정. 대원군의 세력을 갈아 엎으니 정치적 공백이 생김
1876 일본과의 강화조약(전형적 불평등조약)
-조선을 속국화하려는 계획.
-국내적으로 열국의 힘으로 일본을 견제코져하는 움직임 태동.
-20개월 안에 부산 외의 두 개 항을 개방한다(원산항, 제물포항)
-일본 사람이 와서 거주하게 하고, 치외법권을 마련함
-상업 활동을 보장하고, 내정간섭 금지.
-사절단 상주.
-개항을 하자, 개항은 안 된다. 중국식 개항을 하자. 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진
*위정척사파
-개항 반대
-최익헌
-서양의 문화의 뿌리가 되는 기독교 종교를 오랑캐 종교라고 하고
-유교를 정학이라고 하고, 전통적인 추구해야 할 종교라고 강조하였다.
-신사유람단 중에 일본에서 책을 가지고 왔는데 그것이 황준원의 『사회조선침략』이다.
-러시아 남하의 위헙을 막기 위해서는 청나라와 조선이 더 힘을 합칠 수밖에 없다고 주장
-일본과도 더욱 결속을 다져야 한다고 주장
-미국의 나라는 엄청나게 발전한 강한 나라임으로 연합해야 한다고 주장
-친중국, 결 일본, 미 연합의 입장을 밝힘.
*개화파
--김홍집
-전국의 유생들에게 읽혔는데 그들은 들고 일어남. 문호를 연다는 것에 대한 반발
-상인, 중인, 일반, 평민의 자녀들. -> 친일파가 되어버림
-갑신정변->박영균, 김옥균 등.
-1884년 메클레이+김옥균
-한국 선교를 준비하는 세력
-그러나 이들은 모두 불교신자였다.
*동도서기파(東道西器波)
-중국식 모델을 따르자
-동양의 도를 계승하고 서양의 기술을 선별적으로 받아들이자
-한국은 흑백논리가 분명해서 성공할 수 없다.
-기독교계 안에서 샌드위치가 되었다.
2. 중국에서의 준비
*아편전쟁
-영국과 블란서의 중국에 대한 관심
-영국, 스코틀랜드의 중국선교에 관심이 많았다.
-허드슽테일러,
-존 로스선교사(만주선교), 케더린 로스
-메킨타이어
-한국 선교를 불태움(존 로스, 메킨타이어)->이응찬-> 한글 선경 번역
-네 사람이 최초로 세계를 받음.
-1882년 누가복음, 요한복음
-1884년
-
*예수선교전서(존 로스)
-하나님이란 표현
-히스토리 오프 코리아(한국 역사 책)
-하나님이 서양 사람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한국의 신개념의 최 상위 신개념이다.
-한국 선교의 획기적인 전환을 이루었다.
-한국 선교의 발전의 이유 중의 하나가 정확한 성경적인 신개념을 정립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1880, 1881년의 리포트
-하나님이란 말 자체가 하나님께서 이 땅에 주신 최고의 선물이다.
*코리안 프라이머(한국의 문법책)
-구글 인용
3. 일본에서의 준비
*임오군란
-국가의 군대 개혁을 단행하면서
-신군대의 대우와 구 군대의 대우의 차이
-군인들의 분노에 극에 달함.
-점점 더 서구의 침략을 당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수정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왕후가 위기를 만난 것을 구해줘서 고정으로부터 허락을 받고 박영효의 개인 수행으로 일본에 건너감
-종교(기독교)에 대한 관심
-1882. 12월 교회로 인도됨. 찌라센의 개인 지도
-1883. 4월 세례를 받음
-1883. 5. 11일 공개적으로 기도회를 맡아서 시작함(감동적인 기도)->우지무라 간조의 저작전집에 글.
-헨니 로미슨의 성경번역 요청을 받고 성경을 번역함(꿈).
-미국의 유명 잡지에 한국 선교를 촉구하는 서신을 보냄
-아펜젤러, 언더우드 이 편지를 보고 감동을 받고 한국에 왔다.
-언더우드가 이수정을 만나 2개월 동안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언어로 된 성경을 가지고 한국에 입국하였다.
-한국은 공식적으로 한국 선교가 준비된 가운데 이루어졌다.
-그의 죽음은 범상치 않는 죽음 곧 순교연다.
*결론:
➀한국 선교는 성경 번역으로 시작되었다(존 로스, 이수정)
➁한국인의 인한 복음 전도가 처음부터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➂하나님께서 한국 선교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셨다. 김옥균, 존 로스, 이수정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라스무스의 작품과 해설 (0) | 2014.09.21 |
---|---|
전통과 성경 (0) | 2014.09.20 |
개신교 선교의 준비 (0) | 2014.09.15 |
그레고리우스 1세(590-604) (0) | 2014.09.15 |
변증가 (0) | 201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