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구약신학

제1과 서론(구약신학의 정의, 역사, 방법론)②

예림의집 2014. 9. 2. 12:39

 

제1과 서론(구약신학의 정의, 역사, 방법론)

 

*기타:

-Herman Schultz,

-Ludwig Köhler,

-W. Baumgartner,

-G. von Rad,

-Th. C. Vriezen,

-Edmon Jacob,

-H. Wheeler Robinson

 

*구약 신학의 황금기, 성서신학 운동

-덴탄: 1949년

-차일즈: 2차 대전 종결 이후부터.

-1963년도 JAT. 로빈슨 “”: 회의주의가 나오기까지

①신학적 차원의 재발견

②성경 전체의 통일성

-신구약의 통일성

③계시가 역사적이라는 사상

-계시는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해졌기 때문에 구약성경을 연구할 때에는 계시가 주어진 역사 속에서 연구되어져야 한다.

④성경적(히브리적) 사상의 독특성

⑤타 종교들과 대비되는 성경적 신앙의 유일무이성

 

 

5. 구약 신학의 현황(오늘날의 동향)

*다이슬러(A. Deissler)

-1972, 구약의 기본 메시지

-구약 신앙의 중심: 세상과 개인들에 대한 하나님과의 관계

*짐멀리(Walter Zimmerli)

-1972, 구약신학 개요

-구약 성서는 연설책(speech book)

-제1계명이 구약 신학의 출발점이자 논의의 중심

-홀로 유일하시고 한 분이신 그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 이스라엘 종교의 핵심이다.

*게오르크 포러(Georg Fohrer)

-1972, 구약의 신학적 기본 구조들

-구약의 중심: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의 공동체

*존 맥켄지(J. L. McKenzie)

-1974, 구약신학

-구약 신학은 공인된 구조 또는 패턴이 없다.

-James Barr 및 von Rad에 대한 비판

-구약 성경의 문헌들에 관심

*Walter C. Kaiser, Jr.

-1978, 구약 성서 신학

-석의 신학의 하녀로서의 구약 신학, 주석이 주가 되어야 한다.

-구약의 저자들은 축적된 신학을 가지고 있다.

-신학자로서의 구약 저자들

-구약의 핵심은 약속

-구약 신학은 성경 전체와의 정합성을 추구하는 신학

-구약의 권위와 계시적 성격 강조

*다이어니스(William Dyrness)

-1979, 구약 신학의 주제들

-마닐라 아세아 신학교

*마텐스(Elmer Martens)

-1994, 하나님의 계획: 구약 신학의 초점

-구약을 포괄하는 주제는 출5:22-6:8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구원, 공동체, 하나님을 아는 지식, 퐁요로운 삶)

-서술적, 규범적 접근방식 둘 다 시도,

-역사적으로 세 시대로 구분(왕정이전, 왕정, 포로기 이후)

*Ronald E. Clements

-역사 비평가

-신학적 규범이 필요하다.

-구약신학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신학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

-정경 개념이 구약신학을 위해 중요하다.

-구약신학 저술: 정경에 포함된 신학이 중요하다.

*Samuel Terrien

-지혜문학과 욥기를 집중적으로 연구

-하나님의 부재, 그러나 하나님의 현존

-The Elusive Presence(붙잡기 어려움): Toward a New Biblical Theology

-현존 개념을 성경적 신앙의 중심으로 파악

-선지자, 모새, 시인은 하나님의 현존을 직접 체험했던 반면, 이스라엘 백성은 제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채험

-현존 개념이 신약과 구약의 중심적인 개념이다.

*Claus Westermann

-구약의 신과, 구약신학의 인문

-구약신학의 과제는 구약성경 전체가 하나님에 관해 말하고 있는 것을 요약하고 결집하는 것

-구약은 신학적인 중심이 없다.

-구약신학이 개진할 때는 구약의 방법으로 해야 한다.

-구약신학은 서사적 혹은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정경의 3중적 구분을 사용함)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

*Douglas A. Knight

-1977, 구약의 전승과 신학 편집

-전승이 구약 신학 분야의 중심적 개념

*Walter Harrelson

①YH는 Is의 G,

-언약적 관계

②YH는 Is과 동행,

③YH는 압제받는 자들에게 관심,

④YH는 Is을 인도

*하르트문트 게제Gese

-신약과 구약의 통일성 강조

-von Rad의 접근 방식 따름

-구약과 신약은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John Goldingay

-구약 해석의 접근방법

-신약은 구약을 선별적으로 현실화한 것

-신약은 구약의 성취

-신약에서 이야기하는 부분만이 중요하다.

*슈미트(H. H. Schmid)

-세계 질서에 대한 관심

-히브리어 체데크(하나님의 의)가 세계 질서를 말한다.

-지혜가 성경의 중심 요소

*Simon J. de Vries(드 프리스)

-Is을 주변국가들로부터 구별시키는 요소들: G의 초월성, G의 형상인 인간, 언약 공동체, 역사 개념, 목적 있는 삶

-거룩을 이루억는 삶,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가는 역사 등.

-G이 성경 전체의 통일성의 요소로 봄(핵심: 하나님)

*우드스트라(Woudstra)

-미스코테, 판 룰러, 바르트, 벌콥 등을 비판: “구약 성경을 지나치게 ‘유대화’ 시켰다.”

-구약시대에 나타난 종교를 지나치게 유대교적으로 해석했다.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에 구분선이 모호해지는 현장이 나타났다(분열).

-카이퍼, 워필드, 하필드는 옹호

*Hays & Prussner(헤이즈, 프루스너)

-유대교적 입장을 견지

-“유대교야 말로 히브리 성서의 합법적인 계승이자 해석”

-기독교가 이어받은 것이 아니다.

-유대교를 변증하는 입장

*James Barr(제임스 바르)

-Xn들이 습관적으로 유대교를 무시한다.

-랍비문헌은 기독교와 버금가는 종교 문헌이 나타난다(몬테피오네)의 견해를 동의함.

 

*결론

①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구약 신학의 정의가 없다.

-일반적인 합의가 없다.

②구약신학은 역사적이어야 한다.

-역사적 맥락 고려, 서술적이어야 한다.

-종교사, 종교현상학

③구약신학은 단순히 서술적인 학문이 아니라 규범적인 학문이다.

-모든 시대와 문화를 초월해서 규범적인 신학을 계진하는 학문이어야 한다.

④구약신학은 궁극적으로 정경(즉, 구약-신약 관계)을 지향한다.

-구약과 신학의 통일성의 정경 입장에서 구약신학을 계진해야 한다.

 

 

6. 유대교/기독교의 관계 및 구약/히브리 성경의 관계

*우드스트라의 비평

-유대인들을 너무나 존중하여 유대교인과 기독교인을 구분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나치체제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반발

-본 헤퍼, 칼 바르트, ,

*나치제제(1933-1945)의 유대인 대학살

*바르트

-이스라엘의 역할과 예수님의 역할 사이의 밀접한 관계 인식

-실제로는 영원토록 분리될 수 없는 두 개의 실체

-너무 나갔다.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을 구분하지 않는 지경까지 갔다.

-예수님의 사명이 이스라엘의 사명이었다고 동일시함.

-이스라엘과 예수님은 영원히 분리할 수 없는 동일하다.

-이스라엘을 떠나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아니다.

-구약에서 신약으로의 구속의 발전과정 무시

-구약과 신약을 동심원으로 봄

-구약과 신약을 같은 위치로 봄, 계시의 점진성을 무시함.

-교회와 회당은 함께 하나님의 회중을 이룬다.

-역사적인 이스라엘과 영적인 이스라엘을 지나치게 일치시킴.

 

*로마 가톨릭의 움직임

-유대교를 옹호하는 입장으로 돌아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성명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그 신앙과 선택을 고대 조상들과 모세와 선지자들을 근거하고 있다(0).

-교회는 구약성경이라는 계시를 이스라엘 백성들로부터 넘겨받았다(0).

-많은 유대인들은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인들은 여전히 하나님께 아주 사랑스러운 자로 남아 있다(롬11:28-29)(X).”

-유대인들도 여전히 하나님의 언약백성이다.

-교체설 자체가 붕괴 됨.

*재명명을 요구한 학자들

-구약성경을 구약성경이라 하지 말고, 히브리성경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

-James Sanders: 재명명 요구(히브리 성경)

-브레이브루크: “구약” “신약” 등의 용어 사용을 자제할 것 호소,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버린 이스라엘을 버렸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

-J. F. Sawyer: 구약성경이라는 용어는 반유대주의적이다

 

*“구약” 용어 폐기론에 대한 반대자들

-Ronald Murphy: 구약이 전통적, 옛것이라는 사실이 반드시 낡은 것 의미하지 않는다.

-R. Smith: 다른 적절한 용어가 없다.

-Moberly(모벌리):

①구약/신약은 본질적 통찰을 표현, 유대인들에 대한 부정적 평가 미 함축

②모세의 종교가 족장들의 종교를 다룬 방식과 교회가 모세 종교를 다룬 방식 사이 유비가 존재

-구약 안에도 두 가지의 종교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족장+모세, 모세+교회

-통일성과 연속성, 지양성(불연속성)

-하나님 앞에 예배하는 측면, 다른 신들에 대한 예배는 없슴

-모세의 율법은 다른 신에게 예배하는 것을 안된다는 것을 덧붙임

-기독교도 족장들의 종교와 모세의 종교를 이어 받았지만 이에 더 추가함.

 

*재명명의 요구 이유들

-중립적인 기술(히브리 성경), 정치적 관습에 어긋나지 않다.

-“옛것”과 “새것”의 지나친 반목으로 반-셈족주의 배태.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성경을 성취, 완성하러 오심

-유대교/이슬람교를 존중하려는 태도

-고대근동의 맥락 속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역사적 문서로만 인식하려는 태도

*재명명이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우리의 견해)

①모든 구약성경이 히브리어로 쓰인 것은 아님

-히브리어로 된 성경, 히브리인들의 성경으로 볼 수 있다.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이 있는 것이지, 유대교와 기독교의 통일성이 있는 것이 아니다.

②초기 기독교회의 성경은 헬라어 역본임

-70인역

③기독교 성경은 책의 순서가 다름

-내용을 같지만 권수와 순서가 다르다.

-신학이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히브리인들의 신학은 허무주의로 끝나지만, 기독교인들의 신학은 소망으로 끝난다.

④구약을 기독교 정경에서 분리할 수 없으므로

-구약은 신약과 하나가 된 통일성 있는 하나의 정경이다.

 

7. 구약/신약의 관계

*구약과 신약의 관계: 연속성/불연속성 (앤더슨: 둘 중의 하나; 구약의 상대적 독립성 주장)

①단절을 과도히 강조

-새것이 옛것을 대체

-새것과 옛것의 우의를 주장.

-마르시온: 구약의 하나님은 신약의 하나님과는 다른, 낯선, 잔인한 하나님, 구약을 전경으로 안침.

-하르낙: 정경에 구약을 포함시키는 것은 “종교 및 교회의 마비상태”를 나타냄

-불트만: “구약의 수용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은혜를 부적합하고 받아들일 수 없게 한다.”

-구약은 신약이 이야기하고 있는 기독교의 전 이해에 불과하다. 예비적인 단계이다.

②연속을 과도히 강조

-둘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

-Gese: 신약은 기독교 성경 전체를 통해 흐르고 있는 전통의 지속적인 흐름, 신약은 구약에서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구약과 신약의 관계는 신약에서 성취와 완성된다.

-비셔: 그리스도가가 구약 속에 숨겨져 있다. 창 32장 야곱의 씨름한 사람=그리스도가 변장한 사람.

-번드 엔더슨 조차도 균형 잡히지 못했다고 본다(게제와 비셔는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다).

-구약의 상대적 자율성을 침해한다.

③중도적 견해: 구약은 상대적 독립성을 갖는다.

*B. Anderson의 견해(중도적 견해)

-두 배우자의 관계와 유사

-절대적으로 독립되진 않지만 상대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구약과 신약은 두 개의 찬양대와 같다.

-지나치게 구약의 독립성을 강조.

*Childs의 정경적 접근 방식:

-구약은 약속, 신약은 성취(통일성, 연속적, 점진성)

-구약은 여전히 정경적 증거 능력을 가짐(계시로서의 권의 있는 규범적 문서이다.)

-구약의 말씀선포의 능력을 인정

 

* 차일즈의 견해는 중도적 견해로 타당하나, 앤더슨의 견해는 구약의 독립성을 지나치게 강조함.

* 오히려 바르트의 견해가 연속을 지나치게 강조한 견해이며, Gese 및 비셔의 견해는 중도적 견해로 보아야 함.

*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하나의 성경(정경), 두 개의 언약

 

 

8. 구약신학의 방법론

*하젤의 10가지 방법론

①교의학적-교육적 방법론: 조직신학적 주제들을 가지고 구성

-조직신학의 주제들을 가지고 구약신학을 구성하는 방법

②발생론적-발전적 방법론: 성경이 서술하는 대로 하나님 계시의 전개를 서술(Vos, Lehman)

-성경을 시대별로 구분(아브라함, 모세, 여호수아 시대 등)

③종단면적 방법론: Walter Eichrodt(언약)

-크로 섹션얼(나무를 종단으로 자른 단면)

-그 역사적인 축을 따른 것이 아니라 어떤 시점에든 그 단면은 똑 같다.

-역사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단면은 언제나 동일하다. 종교의 본질을 기술.

-핵심적인 기술은 언약이다.

④주제별 방법론: 구약성경의 주제들을 사용

-성경신학적인 단어들을 바탕으로

⑤통시적 혹은 전승사적 방법론: von Rad

⑥전승형성적 방법론: Gese

⑦주제별-변증법적 방법론:

-윤리와 미학Samuel Terrien

-구원과 축복Claus Westermann

-목적론적 우주론적Paul Hanson

⑧최근의 비평적 방법론: James Barr, J. J. Collins

⑨새로운 성경신학적 방법론: Childs

-정경적 방법론: 구약신학을 할 때는 신약을 없는 것처럼 독립적인 구약신학을 하고 신학신학을 연구하고 그 후에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을 합치는 성경신학을 해야 한다.

⑩다중적인 정경적 구약신학: 하젤

-여러가지 방법론을 해야 한다.

-하나의 주제로 하면 다른 주제가 베제될 수 있다.

*구약 신학을 위한 하젤의 제안

①구약신학은 구약성경의 최종적 정경적 형태와 결부되어야 한다

②구약신학은 하나의 중심 또는 하나의 핵심적인 개념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주제별이 되어야 한다

③구약신학은 복합적 구조가 되어야 한다

④구약신학의 최종목표: 구약의 개별 책들과 여러 부류의 글들이 지닌 다양한 신학들을 꿰뚫어서 그 모든 신학.주제들을 한데 결합시키는 역동적인 통일성을 만들어 내는 것

⑤구약신학은 더 큰 전체의 일부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Ralph Smith의 6가지 주요 모델

①조직신학적 모델: Bauer, Davidson, Baab, Jacob, Dentan

②중심 주제적 방법론: Eichrodt

③구연모델 혹은 통시적/구원사적 모델

④핵심어 모델: 지나치게 단편적

⑤전승사적 모델: von Rad의 구원사적 방법론에서 발전

⑥정경적 방법론: Childs, Gese

 

*구약 신학은 신약 신학과는 별개의 학문분과인가?

*구약 신학 vs. 히브리 성경 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