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실천신학의 방법①

예림의집 2014. 4. 17. 16:37

6. 예술적 접근법

-20세기 실천신학에서 세 가지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 하나는 최근 예술적 관점에서 실천신학을 이해하려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 패러다임에서 신학 이외에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분야는 미학이다.

-예술 신학이 실천신학의 영역이냐는 논의는 현실적으로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세계 실천신학계는 이미 1960년대 투르나이젠의 실천신학을 넘어 1970년 ‘경험론’의 실천신학을 넘고 1980년대 ‘행동학적’ 패러다임의 실천신학의 한계를 넘어 1990년대 ‘예술’로서의 실천신학의 단계에 와 있기 때문이다.

-실천신학으로서 예술신학의 개념은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즉 신학을 예술적으로 보는 관점과 예술을 신학적으로 보는 관점이다. 전자는 예술적 신학 즉‘미학적 신학’이며 후자는 신학적 예술 즉 ‘신학적 미학’이다.

*신학적 미학(theological aesthetics)은 상상력과 아름다움 그리고 예술의 차원에서 계시의 신학적 가능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아름다움 자체로 신과 통할 수 있다.

*미학적 신학(aesthetic theology)은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이 어떻게 미학적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실천적 학문이다.

-미학은 도구

-신학과 교회 형성을 위해서 아름다움이 활용되어지고, 도구화되어지고, 기능화되어진다.

-실천신학으로서 예술신학은 ‘미학적 신학’의 영역이 더 크다. 그것은 실천신학적 프락시스에 대한 담론들을 예술이라는 차원에서 해석하고 적용하는 실천적 신학이다.

*예술적 접근법으로 실천신학을 연구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①아름다움은 언제나 어떤 신학적 지성 안에 가두어지지 않는다는 점

②아름다움이란 언제나 유혹이 있다는 점

-어거스틴: 아름다움이 하나님께 이르는 열망에서 비롯되지만 반대로 하나님에게 이르는 장애가 될 수 있다.

-어거스틴의 고백록.

③미학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예술과 영성을 통합하려는 실천신학은 언제나 보수적인 종교예술로 우경화할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종교다원주의 차원의 예술신학으로 좌경화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브라함 카이퍼

-칼뱅주의가 예술과 종교의 ‘영역 주권적 독립성’의 차원에서 종교예술을 더욱 발전시키지 않았음을 음미해야.

⑤예술신학은 언제나 기독교라는 정체성을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실천신학을 추구하여야 한다.

*기독교 미술의 개혁신학적 적용에 대한 연구(교수님 M. div. 논문)

*목회적 실천을 위해서 음향학의 진수를 뽑아내야 한다.

*건물 이름을 바꾸자!

 

7. 목회학적 접근 방법(pastoral studies current)

-목회학적 방법과 목회신학적 방법은 모두 다 교회 성직의 특별한 형식으로의 목사의 사역을 탐구함으로 실천신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목회학에서는 신학 뿐 아니라 폭넓은 다양한 통찰력과 방법들이 사용되어진다.

*페터슨

-목회학을 주요 신학과목 특히 도덕 및 목회신학과 연관된 “신학 병행체 학과”로 규정

*헤이팅크

-미국의 Sewerd Hiltner, Carl R. Rogers 등 임상목회운동(CPE)의 흐름 등도 목회학이 아니라 목회신하그이 접근법에 포함한다.

-목회학은 논쟁할 수 없는 빤한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목회학의 학문영역은 문어적 포괄성을 가지고 개인과 교회와 사회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제기한다.

*신학지남(지난 가을학기)

*목회학

-신학 + 신학병행체 학문

-문어와 같이 실체는 있는데 폼이나 형식이 없다.

-목회학과 목회신학 모두가 중요하다.

 

8. 목회신학적 접근 방법(pastoral-theological current)

-목양적 전통과 신학적 방법을 주로 사용함으로 교회 성직의 특별한 형식으로의 목사의 사역을 탐구하는 실천신학적 접근 방법이다.

①실천적 주도성에 대한 신학적 균형

-결국 목회자가 주도성을 가지고 있다.

*고든 뎀버만

-실천신학은 너무 구조적인 문제들을 너무 간단하게 파악함

-평신도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제기하지 않는 약점이 있다.

-목회신학의 전통과 연결함으로 실천신학의 실천 결핍을 상쇄하고자 시도한다.

②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상호교환의 담지자

*대표사역(representative ministry)

-목사는 하나님 앞에서 대표자이다(행 1장).

-하나님의 사역 = 대표사역 + 일반사역

③학문적 포괄성에 대한 신학적 대안

-성경과 전통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approach)

 

 

제 11장 실천신학과 실용주의

-현대 기독교 사역에서 실용적인 측면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다.

-각종 최첨단 기술 진보의 영향은 거룩한 종교생활 안에도 깊숙이 들어와 있다.

*거룩한 실용주의의 문제

-일반적으로 교회 성장을 위하여 세속적 도구들을 교회 안에서 주도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상적 흐름을 의미.

-문제는 이것이 신학적으로 온당한 것이냐의 문제이다.

-목사들과 전문 사역자들은 실용주의 앞에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1.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실용주의)의 정의

-행동과 실행을 중시하는 철학이라는 ‘프라그마(Pragma)’에서 온 말로 행동과 실행을 중시하는 철학이다.

-실용주의에서는 진리 판단의 기준을 유용성을 본다. 이것은 사상이나 지식들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유용하게 쓰이기 위한 도구로 보기 때문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발원되고 확산되었다.

*찰스 퍼스가 아버지이며 존 듀이가 철학을 체계화하였다.

*윌리암 제임스

-현대 철학에 영향을 끼치도록 문을 연 인물

*리처드 로티

-네오프래그머티즘

*중국의 리쩌허우

-실용이성

-미국적 실용주의와 유사하지만 실용이성은 좀 더 장대한 효과와 체계로 피드백 되는 효능을 가진 약식에 주목

-행위의 도구차원을 넘어서 도의 본체를 인식하는 길.

*유의할 점

-프래그러티즘은 단순히 인간의 실용만을 중요시하는 사상이 아니라 의미, 진리, 지식 그리고 실재에 대한 근본적 원리들이다.

-실용주의는 사회적으로 유용성을 인정받을 때 관념이 진리가 될 수 있다는 철학이지 개인이 편익과 효용과 같은 개인적 유용성을 근거로 진리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 유용성을 중시하는 미국철학은 존 듀이의 경험과 생활을 중시하는 교육사상과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교육철학을 탄생하게 했다.

 

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실용주의)의 핵심사상

-진리는 존재성에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다루고 조작하는 효과적인 실천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추상적인 진리의 존재성이나 실재(reality)와 일치시키려는 이론을 배척하고 보다 효과와 기능 등에 주목한다.

-찰스 퍼스는 인식론의 차원에 머물지만 제임스에 와서는 프래그머티즘이 논리의 차원에서 진리관과 세계관 더 나아가 신앙의 차원으로 변화되었다.

-존 듀이의 실용주의는 ‘도구주의’로 지식과 이론 등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인간의 도구로 본다.

-네오프래그머티즘을 주창한 리차드 로티도 역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이론이나 경험은 수정되어야 한다는 도구주의의 변형이다.

-로티의 이러한 네오프래그머티즘은 ‘자문화중심주의’로 나아가 결국 다양한 체계를 절충하는 혼합주의의 위험성이 있다.

-프래그머티즘의 핵심 사상은 진리의 불명료성(ambiguity)과 절충주의(eclecticism)이다.

 

3. 교회에 대한 프래그머티즘의 영향

-오늘날 교회에 대한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은 “복음적 실용주의”라는 말로 대변할 수 있다.

-만약 프래그머티즘이 목회자의 목회철학 속에 잠재되어 개교회주의와 교회성장주의와 결합된다면 교회와 기독교 사역의 현장에서 ‘거룩한 실용주의’가 보편화된다.

-특히 깊은 사상적 철학이 없는 천박한 복음주의는 ‘복음적 실용주의’를 낳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낳는다.

①포스트모더니즘의 사역이 보편화된다.

-휴머니즘과 이성과 경험에 의한 신학적 사색이나 종교적 권위는 세속주의로 대치된다.

-프스트모더니즘은 본래 예술에서 유래된 용어로 후기 모더니즘의 도그마, 원리, 형식 따위에 대한 거부 및 반작용으로 일어난 예술 경향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대주의적 측면에서는 영적이고 초자연적인 것들을 부활시킨다.

②교회와 사역자는 ‘성공의 신학’을 추구하게 된다.

-그것은 ‘자기 존중의 신학’과 ‘번영의 신학’과 결합하여 교회에 성공의 신학을 추구하도록 한다.

-노먼 필과 로버트 쉴러의 사상과 사역은 미국의 실용주의와 결합하여 교회에 영향을 미쳤다.

-이것들은 복음을 빌미로 인간 자체를 도구화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특히 번영의 신학은 미국 은사적 방송복음주의자 케네스 해긴과 케네스 코풀랜 등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이들의 신학들은 인간의 주관성을 기반으로 인간의 성공주의가 잠복되어 있다.

 

 

4. 실천신학과 실용주의(pragmatism)의 관계

*실천신학과 실용주의의 적절한 관계는 무엇인가?

①실천신학과 실용주의는 양자가 다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분리를 반대한다는 점이다.

-실천신학에서 이론과 프락시스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천신학은 성경적인 실용을 거부하지는 않는다.

-다만 실용주의는 실용을 위하여 이론을 상대화시키지만 실천신학은 성경적인 진리를 바탕으로 ‘가장 좋은’ 데오리아와 프락시스의 관계를 추구한다.

②실천신학과 실용주의는 테오리아와 프락시스의 상호작용성을 인정한다.

-상호작용성이란 귀납법적 신학방법론으로서 경험이 교리를 변개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다.

-실천신학과 실용주의는 이론과 실제 사이의 상호교환을 촉진하고 장려하는 기능을 한다.

-유의할 점은 ‘경험’을 기초로 한 실용적 도구들은 언제나 ‘경험의 위기’가 있기 때문이다.

③실천신학과 프래그머티즘은 보편주의의 억압적 성격을 비판한다.

-보편주의는 진리성으로 대변되지만 그 진리성이 실천되는 과정은 언제나 특수성을 억압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프래그머티즘은 실천의 작동 가능성이 인본주의적이지만 실천신학의 그것은 성령론적 신본주의이다.

-실천신학은 진리의 실재성을 인정하지만 고전적 프래그머티즘에서 보여주는 지나친 과학 지향주의나 네오프래그머티즘이 주장하는 국지문화적 자유주의를 경계한다.

-실천신학에서는 이론과 프락시스의 중간 과정에서 나오는 테크네(techne)는 언제나 목적 지향으로 편향되어 국지화될 수 잇다는 점이 우려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실용주의는 보편주의의 억압적 성격을 비판하는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5. 실천신학의 근거로서 ‘성경적 실용’

*프래그머티즘은 비기독교적인 이방 개념인가? 트로이목마인가?

-현대 후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성경 중심적 프래그머티즘”을 주장한다.

-그들은 성경 속에 “열매”라는 개념을 실천으로 보고 교회를 위한 “최선의 실천”을 실용의 개념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들의 성경관은 ‘성경적 실용’의 개념과는 거리가 있다.

-황성철은 ‘성경적 실용’의 근거로 신약성경에서 가장 가까운 표현으로 ‘역사하는’과 ‘쓸모 있는’을 들고 있다(고전 16:9; 엡 2:2; 약 5;16; 마 5:13; 갈 5:6; 몬 6; 히 4:12).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과 세상과 대적하는 상황에서의 실용 개념을 고려해야만 한다는 의미이다.

 

 

제 12장 실천신학과 윤리

 

1. 실천신학에서 윤리가 왜 중요한가?

-실천신학의 윤리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

-윤리는 우리의 모든 삶의 최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삶의 전 체계 속에서 하나님께 순종하는 개인과 교회의 모든 반응과 실천은 하나님의 종말론적 심판 안에 서기 때문이다.

 

2. 실천신학과 기독교 윤리학의 분열

-실천과 윤리의 분리는 당연히 학문적으로 실천신학과 윤리학의 분리에 그 원인이 있다.

-칼 바르트가 자연신학을 기반으로 하는 에밀 브루너의 ‘저촉점’을 거부한 것도 사실은 근본적으로는 실천적 신학이 기독교 윤리와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전제에서 주장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칼 바르트에 있어서 교리학은 윤리학이고 윤리학은 곧 교리학이다.

-그는 교회의 윤리학과 교회의 교의학이 독립되는 것을 거절했다.

-실천신학과 윤리학의 통전성은 심리학을 중심으로 경험의 신학이 과학의 이름으로 실천신학에 들어올 때 윤리학과 교의학, 윤리학과 신학은 서로 분리될 수밖에 없었으며 급기야 윤리학은 실천신학과 분리되는 경향을 가져왔다.

 

3. 실천신학과 기독교 윤리학의 통합

-실천신학과 윤리학의 분열은 개인과 교회의 실천에 심각한 왜곡을 가져온다.

-이 두 신학 분과는 적절히 통합되어야 한다.

-잘못된 독립으로 서로 서로 분리되었을 때 서로 손해를 보게 된다.

-실천신학과 윤리 사이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굳이 그 사이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학문이 분리되었다고 그 학문의 대상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천신학과 윤리와의 관계에서 윤리의 상대성의 문제

-실천신학이 사람들의 삶속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관찰하며 그 행동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행동과 규범을 비평적으로 평가한다.

-실천신학에서 지향하는 기독교 윤리와의 관계는 신명론으로 구약과 신약 성경에 제시된 구체적인 내용의 규범을 제시하고 그 규범을 준수하는 행위를 윤리적 행위의 근간으로 삼는 개혁주의 윤리학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실천신학과 윤리 문제에서 근본주의보다 더 무서운 것은 환원주의자들이다.

-환원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에게서도 나타나고 최근에는 신사도운동가들에게도 나타나며 극단적인 선교운동에서도 나타난다.

-환원주의는 기독교 실천의 하나를 전체 실천으로 환원하여 실천의 도그마에 빠지는 경우이다.

-실천이 윤리와 분리되는 왜곡이 일어난다.

-즉 삶의 전체성이 깨어지고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비전이 개인과 가정이나 교호 그리고 공동체에서 왜곡되어 나타난다.

-실천신학과 윤리는 역시 외곡된다

 

4. 실천신학과 윤리적 실천

*기독교 윤리학의 과제는 보통 인간의 행동과 규범에 대해 규명한다.

-그러나 실천신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문제는 실제로 그 윤리규범들이 윤리적인 실천을 조성하고 이끌어 내느냐가 문제이다.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①윤리-인간-행동의 구조는 자동적으로 윤리적 실천을 낳는가?

-그렇지 않다.

②윤리적인 실천은 성령과 프락시스 사이에서 어떤 존재인가?

-간격을 매우는 존재이다.

③윤리적 실천인은 어떻게 윤리적인 행동을 하는가?

-전문적인 이론(theoria)

-실천적 지혜(phronesis)

-기술(poiesis)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맥 연구  (0) 2014.04.19
기독교 윤리 한국및 동양윤리   (0) 2014.04.19
<개혁교회와 예배의 회복>   (0) 2014.04.16
소명실천/목회학의 정의  (0) 2014.04.16
예전 비교  (0) 201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