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명실천
1. 목양의 불을 지피는 소명감에 불타라
-하나님은 한 번 소명으로 부르신 자를 어떻게 변화시켜서라도 사용하신다.
-하나님의 주시는 폭포수 같은 은혜를 주시면,
-소명감의 문제는 고학년으로 갈수로 더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지고 무릎으로 복종해야 한다.
2. 목회가 가장 중요함을 명심하라.
-목회에 집중 안하고 너무 동문들끼리 여가를 즐기기 위해서 놀러다는 것을 피하라.
-성도들은 다 알고 있다.
-여가는 여가로 끝내야 한다.
3. 비전은 크고 사명은 좁아야 한다.
-반기문 총장 “꿈은 하늘에 놓고 발은 땅에 놓으세요”
-구체적인, 디테일한 사명 계획서가 있어야 한다.
-하나님이 나를 세우신 목적을 분명히 하라.
-가장 필요로 하는 것, 내가 갈급하는 것
-큰 꿈을 꾸어라.
-비전과 사역을 혼동하지 말라.
-꿈은 크게 꾸지만 사역으로 들어가면 디테일하게 사역계획서를 가지고 준비해 나가야 한다.
4. 목회자의 제일 조건은 체력이다.
*30대는 교육목회를 하고
*40대는 기도 목회를 하고, 맥박 40개(금식기도 중에)
*50~70대는 체력목회를 한다.
-고봉문화
-목회란 먹는 것이다.
5. 교회목회 보다 가정목회가 먼저이다.
-기도는 새벽에, 밤은 가족과 함께
-사모가 힘들면 누구와 상담을 할까? 교수님께 전화가 많이 온다.
-목사님이 사모님을 때리면서도 문제의식을 느끼진 않는다?
*가정예배를 드리는가?
-2000년 기독교 역사에서 가정예배가 사라진 것은 200년 밖에 안 된다.
-가정예배를 반드시 드려야 한다.
-적어도, 큐티는 같이 해야 한다.
-가정에서 읽어나가는 성경 본문은 어디인가?
-목사의 가정은 유리로 된 집이다. 성도들이 다 안다.
6. 마음이 좁으면 목회할 수 없다.
-목사의 자질 중의 하나가 마음이 넓어야 한다.
7. 목사는 전형적인 인간관계 전문 직원이다.
-나는 사람을 좋아한다.
-히치 이야기: 주인을 너무 좋아하는 개 영화
-목회자의 분기점이 문등병자까지도 사랑해야 한다.
-목사는 모든 더러움을 끌어안아야 한다.
-하나님의 공의를 끌어안으면서도 모든 것을 포용해야 한다.
목회신학의 정의
-목회학은 인간의 경험적인 삶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목회학은 원래 명사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목회학은 정의하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다.
*교회서의 목사의 사역
*목회신학의 정의
-목회신학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교인들과 살들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지교회에서 실천하는 목회의 정체성과 사역을 공부하는 행위
-목회신학이 목회론은 아니다.
-모든 분야에 관련된 학문이다.
-칼벵의 목회신학 25쪽 각주 참고. 정리할 것
-임상목회 운동: 1940-60년 .목사도 인턴 과정을 거쳐야 한다(심리학의 세례를 받아야 한다). 성경은 등안시 되었다.
-리딩 후 레포트 가능
-김수현 작가에 대해서 레포트 가능(3천 가지의 인간 유형) “김수현의 인간유형론과 목양적 방법론”
①목회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의미의 차원을 벗어나면 안 된다.
-그러나 인간의 경험을 신학병행체로 도외시하지 않아야 한다.
-어떤 상담 이론보다도 성경말씀이 결정타이다.
-어떤 학문(병행체이론) 보다도 하나님을 말씀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②목회신학은 교회 안의 교인들과 교회 밖의 일반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③목회신학은 지(支)교회에서 실천하는 사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나눌지(支). one church
-지교회의 특징은 long life 이다.
-선교단체의 사역을 목회라고 하지 않는다.
④목회신학은 목사의 정체성과 사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천신학의 방법① (0) | 2014.04.17 |
---|---|
<개혁교회와 예배의 회복> (0) | 2014.04.16 |
예전 비교 (0) | 2014.04.15 |
<예배 예전 비교> (0) | 2014.04.15 |
교회교육의 시대적 구분 (0) | 201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