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구문 정리>
분사(分詞,participle) 란?
동사의 성질과 형용사의 성질에 ‘부분적으로 참여하는 품사’ 를 말한다.
동사의 성질: 목적어와 부사를 취할 수 있음.
형용사의 성질: 명사를 형용사처럼 수식할 수 있으며 성,수,격을 가짐.
관사의 유무에 따른 분사의 두 가지 해석패턴
한정적인 해석: 분사 앞에 관사가 올 때. (즉, ‘한정적인 위치’ 라 말함)
‘~하는 것’ 이라고 해석한다.
예) ① o` dida,skwn avpo,stoloj (가르치는 사도; 현재분사)
= o` dida,skwn o` avpo,stoloj
= o` avpo,stoloj o` didaskwn
cf. h` cara. tou/ dida,skontoj th.n evkklh,sian avposto,lou
(교회를 가르치고 있는 사도의 기쁨)
② o` dida,xaj avpo,stoloj (가르친 사도; 과거분사)
③ o` dida,xwn to.n dou/lon avpo,stoloj
(그 종을 가르칠 사도; 미래분사)
서술적인 해석: 분사 앞에 관사가 오지 않을 때. (즉, ‘서술적인 위치’ 라 말함)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함께 쓰였을 때: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곧 분사의 의미상 주어이다. 해석할 때에는 의미상 주어를 먼저 언급함이 자연스럽다.
ei=pon tau/ta tw|/ avposto,lw| evsqi,onti to.n a;rton)
그 사도가(분사의 의미상 주어) 빵을 먹고 있을 때에 나는 이것들을 그에게 말했다.
h=lqon pro.j to.n avpo,stolon evsqi,onta to.n a;rton)
그 사도가 빵을 먹고 있을 때에 내가 그에게 갔다.
(=내가 그 사도에게 갔을 때 그는 빵을 먹고 있었다.)
h;kousa auvtou/ le,gontoj tau/ta) (그가 이것들을 말할 때에 내가 그를 들었다)
ei=pe auvtw|/ o` avpo,stoloj ble,pwn tau/ta)
(그 사도가 이것들을 보면서 그에게 말하였다.)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없을 때: 문장의 주동사(즉, 직설법 동사)의 숨은주어가 의미상의 주어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분사는 항상 주격이 된다(의미상주어인 숨은주어가 주격이므로!).
① evsqi,wn tau/ta e;rcomai auvtw|/) (나는 이것들을 먹으면서 그에게 간다)
② evsqi,ontej tau/ta evrco,meqa auvtw|/) (우리는 이것들을 먹으면서 그에게 간다)
③ evsqi,ousai tau/ta e;rcontai auvtw|/) (그녀들은 이것들을 먹으면서 그에게 가고있다)
분사의 독립적인 용법
; 분사가 관사와 함께 쓰이는 한정적인 용법에 있어서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 없이 관사하고만 쓰였을 경우에 ‘~하는 사람’ 이라고 해석한다.
o` dida,skwn to.n dou/lon (그 종을 가르치는 자)
ai` dida,skousai to.n dou/lon (그 종을 가르치는 여자들)
o` avdelfo.j th/j didaskou,shj to.n dou/lon (그 종을 가르치는 여자의 형제)
ei=pon tau/ta tw|/ dida,skonti to.n dou/lon) (그 종을 가르치는 자에게 내가 이것들을 말하였다)
독립소유격구문(Absolute Genitive Structure)
; 중문(Compound Sentence;접속사로 이어진 대등한 두 개의 clause)를 접속사 없이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 때 쓰이는 구문이 독립속격구문이다. 이때 두 개의 clause로 이루어져 있던 문장이 부사절(=독립속격구)을 이끄는 한 개의 주절로 되므로 주종문(complex sentence)이 되는 것이다. 속격명사와 함께 관사없는 분사가 등장할 때 – 물론 이때 성과 수는 일치해야 함 – 이 ‘속격구문’은 문장 내에서 다른 단어들과 문법적인 연결고리를 잃고 절연되어 부사구(부대상황)처럼 해석되므로 “독립속격구문”이라 불리운다. 이때 속격명사는 속격분사의 의미상주어이다.
(1) evrco,menoj tou,tou pro.j to.n ku,rion h;mhn evn tw|/ i`erw|/)
이 사람이 주님께로 가고 있을 때, 나는 성전 안에 있었다.
(2) evsqiou,shj auvth/j to.n a;rton ei=don to.n ouvrano,n)
그녀가 그 빵을 먹고 있을 때 나는 하늘을 바라보았다.
분사의 어형구조(word-formation)
; 모든 다른 법(mood)들과 마찬가지로 분사는 직설법 줄기에서 파생된다. 그 예들은 다음과 같다.
현재분사: 현재분사는 현재 직설법 줄기에서 파생되어 진다.
예) ai;rw à ai;rwn, ai;rousa, ai=ron
ble,pw à ble,pwn, ble,pousa, ble,pon
과거분사: 과거분사는 과거 직설법 줄기에서 파생되어 진다.
예) evdi,daxa à dida,xaj, dida,xasa, di,daxan
(dida,skw)
e;meina à mei,naj, mei,nasa, mei/nan
(me,nw)
h=lqon à evlqw,n, evlqou/sa, evlqo,n
과거수동태분사: 과거수동태분사는 과거수동태직설법 줄기에서 파생된다.
예) evdida,cqhn à didacqei,j, didacqei/sa, didacqe,n
(dida,skw)
evgra,fhn à grafei,j, grafei/sa, grafe,n
이태동사의 분사: 직설법 현재에서 이태동사인 경우 분사의 현재중간태 꼬리를 붙인다. 특히 과거시제에 있어서 1과거 이태동사이면 1과거 분사 중간태 꼬리를 붙이고, 2과거 이태동사이면 2과거 줄기를 빌어와서 현재분사의 중간태 꼬리를 붙인다.
예) avpokri,nomai à avpokrino,menoj, avpokrinome,nh, avpokrino,menon
evdexa,mhn à dexa,menoj, dexame,nh, dexa,menon
evgeno,mhn à geno,menoj, genome,nh, geno,menon
evporeu,qhn à poreuqei,j, poreuqei/sa, poreuqe,n
이태동사의 분사(추가설명)
; 분사의 Deponent 여부는 직설법에서 Deponent인가의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이처럼 분사(다른 법들 곧, 가정법, 부정사, 명령법 등도 마찬가지)는 직설법 줄기를 공유함에 있어서 형태뿐 아니라 그 의미도 공유하기 마련이다.
현재 직설법에서 Deponent 인 것은 현재 분사에서도 Deponent이다. 즉, 분사의 현재중간태 꼬리를 취한다.
예) e;rcomai à evrco,menoj, evrcome,nh, evrco,menon
cf. h=lqon à evlqw,n, evlqou/sa, evlqo,n
(현재에서 Depo일지라도, 과거에선 Depo가 아니므로 분사의 능동형 꼬리를 취한다)
과거 직설법에서 Deponent 인 것은 과거 분사에서도 Deponent이다.
예) evdexa,mhn à dexa,menoj, dexame,nh, dexa,menon
(de,comai)
evgeno,mhn (되었다) à geno,menoj(된 후), geno,menh, geno,menon
(gi,nomai)
cf. evgenh,qhn (되었다) à genhqei,j(된 후), genhqei/sa, genhqe,n
과거 수동태 직설법에서 Deponent인 것은 과거수동태분사에 있어서도 Deponent이다.
예) avpekri,qhn(대답했다) à avpokriqei,j(대답한 후), avpokriqei/sa, avpokriqe,n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신약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 1 2 3서 개요 (0) | 2014.03.31 |
---|---|
히브리서 (0) | 2014.03.31 |
요한복음의 구조 (0) | 2014.03.31 |
갈라디아서 개관 (0) | 2014.03.31 |
바울서신에 타나난 하나님 이해 (0) | 201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