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제 4강 9월 25일(박건택 교수)

예림의집 2013. 9. 30. 16:09

 

제 4강 9월 25일(박건택 교수)

 

에라스무스의 작품과 해설

-헤브라이즘의 계시와 헬레니즘의 지혜를 같이 놓고 보면서 그들의 공통점이 무엇인가를 찾아가자.

①엔키리디온: 1504. in<종교개혁사상선집>

-병상들이 소지하고 있는 단검 --> 지침서

-그리스도로 돌아가자.(산상수훈)

-총 13개의 지침으로 구성됨

-8번재 지침 가운데 있는 22가지 규칙인 원죄의 잔재인 소경됨, 육신, 연약함에 대항하여 싸우는데 필요한 규칙

-소경에서 벗어나려면: 성경에 의존(규칙 1)

-육신을 이기려면: 검투사의 자세로(규칙 2)

-연약함을 물리치려면: 세상 것들이 무라는 것으로 인식하고 생각하고 보상이 없다라고 여기는 것

-기도와 지식, 경건과 학문

-나는 무익한 종이라 내가 할 일을 했을 뿐이다.

*4-6 규칙: 목적과 수단

-그리스도를 생애의 유일한 목적으로 삼아라

-그리스도와 수단들을 구분하라

4규칙 일반 중립적 수단들: 지식, 건강, 재능, 명성, 재산…

5규칙 종교 의식적 수단들: 성해, 성물, 철야, 금식, 순례…

6규칙 수단에 불과한 지도적 인물들: 주교, 교황, 신학자…

핵심: 그리스도를 본받아라(Imitatio Christi)-산상설교

-계시(헤브라이즘)의 해설에 들어 있는 문명적(헬레니즘) 요소

 

②격언집: 1508. 아모르문디. 2009(발췌집)

*격언의 의미(에라스무스의 서문)

1. 문법적 정의: 격언은 널리 쓰이는 말로서 통렬하고 신선한 반저을 그 특징으로 한다.

2. 철학적 정의:

삶에 유익한, 또는 기독교적 지혜에 가까운 것으로 격언에 비할만한 것을 철학자들이 한번에라도 만들어낸 적이 있는가?

-헬라세계의 지혜와 기독교 지혜는 동일한 것을 말한다.

-헬레니즘의 지혜를 모은 책

-모든 사람들은 친구의 재산을 공유한다. “친구는 재산을 서로 공유한다.”

-헤브라임의 정신과 같은 것, 기독교 공산주의 공동체

-기독교의 지혜 이념을 찾았다고 생각함.

-빵과 포도주

-철학에 대한 신학의 대안.

③우신예찬: 1511.

-가톨릭 문명비판

-첫째, 예수님과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

-둘째, 예수님과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행태가 바보다.

-기독교 유물론을 이야기하고자 함

-사람 중심의 사고

④신약성서: 1516-1535, 서문과 주석.

⑤자유의지론: 1525. 종교개혁사상선집, 35

*지유의지론 서론

-교회사의 교부들 대부분이 자유의지를 지지했다.

-성결, 성령, 기적의 관점에서도 자유의지 지지율이 높다.

-자유의지란 인간을 영원한 구원으로 이끄는 것에 결합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는 인간의지의 힘이다.

 

*결론

-에라스무스는 데보티오모데르나의 영성이해에서 온다.

-교리가 아닌 그리스도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스도를 본받아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원인

 

*원인 설명

①도적적 설명

-교회, 성직자들의 부폐

-중세의 개혁운동들과 차별화 되지 않는다.

②사상적 설명

-새로운 의식 분출로 설명하는 것

-당시의 시대적인 사건들에 대한 설명이 약해진다.

③경제-사회적 설명

-모든 것이 물질로 되어 있다(유물론).

-사회를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분석 방법.

-계층을 형성하고 계층 간에 보이지 않는 싸움

*신학적 veil(은혜라고 눈을 덮는 방식)

④종교-신학적 설명

-신성한 것

-내가 살 고 죽을 수 있는 나의 실존(종교의 씨, 믿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나의 존재로서의 의식

-결코 내 놓을 수 있는 나의 내면

-물질은 세상 것, 아무것도 아닌 것

-실제로 나를 움직일 수 있는 힘은 복음이다.

-종교 맹목주의, 사이비, 이단들이 판칠 수 있는 함정이 있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6강 10월 16일  (0) 2013.10.26
제 5강 10월 16일  (0) 2013.10.16
제 3강 9월 11일(박건택 교수)  (0) 2013.09.12
제 2강 9월 4일(박건택 교수)  (0) 2013.09.04
강의안 파일  (0) 201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