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역사신학

제 3강 9월 11일(박건택 교수)

예림의집 2013. 9. 12. 15:05

 

제 3강 9월 11일(박건택 교수)

 

*박미경 전도사 기도.

 

중세문명의 특징과 위기

 

*중세문명의 특징

①하나님을 대신하는 교황 통치의 세계형성

-교화오가 황제의 충돌 야기

②문명중심축의 이동에서 교회의 고정적 역할(오늘날의 UN)

③수도회의 계시적 활동과 한계(ST. 안토니우스).

-베네딕트수도회->클루니수도회->시토수도회->은둔수도회->도미니카, 프란체스코 수도회(탁발수도회)

④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하의 스콜라 신학

-토마스 아퀴나스

-플라톤과 스토아주의자들은 전통으로 보고 있다.

 

*중세가톨릭 문명의 위기

①제도화된 교회의 지나친 참여적 행동주의

-정치, 경제, 사회, 학문

-교황청의 분리(대분열): 피사, 아비뇽, 로마로 분화됨.

-세속 제판에 사제가 제판장으로 참여함

-세속 직함을 얻으려 함

②사제와 신자들의 영적 무관심

-설교가 아애 없었다.

③공로의 신학(유명론)의 득세

-은총이 약해져 감

-내 힘으로 구원을 얻어야 한다.

-승리하는 복음

④수도회 퇴색과 데보티오 모데르나의 등장

-모든 명칭에 “거지”가 붙는다.

-공동생활 형제단

-예수회(로열라: 군대식 영성)의 등장

 

*중세 말의 “보쉬”의 그림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

-고흐도 같은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사제를 대변하는 되지 형상.

 

*문명붕괴의 위기와 대안들

①기도교 이단들

-이단도 계시의 해설자다

-왈도파와 롤다드의 경우

-헤렐니즘을 거부하자

-보편교회를 인정하지 않는다.

-카타리파(교리상에 있어서 거리가 있다. 청결, 순수함)

-진자 이단은 마니교이고, 진정한 이단이다.

-역사 속에서 모두 루져가 되었다.

②이교 휴머니즘

-사탄주의와 무신론

-맘모니즘과 르네상스 인문주의

-헤브라이즘을 거부하자

-계혁신학 연구센타 교수 강의에서 확인하라.

-물진중심의 삶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인본주의이다.

 

*두 대안은 성공할 수 없었다.

-두 가지 문명이 융합되어져야만 성공할 수 있다.

-지금은 헤브라이즘의 계시가 소외되어 융합이 깨어지고 있다.

 

③기독교 인문주의

-절충주의

-피치노, 피코델라 미란돌라

-프랑스의 르페브르 데타플

-영국의 콜레트와 모어

-독일의 로이클린

-네덜란드의 에라스무스

 

 

전종교개혁(PreReformation)

 

*Devotio moderna와 기독교 인문주의

-<그리스도를 본받아(1423)>에서 <엔키리디온(1504)>까지의 개혁적 영성.

-산상설교대로 살자.

-어렵고 불가능한 삶을 살아보려고 노력하는 사람.

-혼자 살아야하고, 직업도 없어야 하고, 빨리 죽어야 하는 예수님의 삶

-상상설교 정신으로 산다고 할 때도, 너무나도 어렵다.

-창설자의 영성으로 돌아가자.

 

*에라스무스의 작품과 해설

-헤브라이즘의 계시와 헬레니즘의 지혜를 같이 놓고 보면서 그들의 공통점이 무엇인가를 찾아가자.

①엔키리디온: 1504. in<종교개혁사상선집>

-그리스도로 돌아가자.(산상수훈)

②격언집: 1508. 아모르문디. 2009(발췌집)

-헬레니즘의 지혜를 모은 책

-모든 사람들은 친구의 재산을 공유한다. “친구는 재산을 서로 공유한다.”

-헤브라임의 정신과 같은 것, 기독교 공산주의 공동체

-기독교의 지혜 이념을 찾았다고 생각함.

-빵과 포도주

-철학에 대한 신학의 대안.

③우신예찬: 1511.

④신약성서: 1516-1535, 서문과 주석.

⑤자유의지론: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