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з예림의집으로ε♡з/단장 칼럼

[흑백] 논리에서 벗어나십시오.

예림의집 2009. 5. 11. 06:54

[흑백] 논리에서 벗어나십시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선과 악에 대하여 분명합니다. 어떤 사람은 악인이고 어떤 사람은 선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생도 영화처럼 권선징악의 개념으로 생각 합니다. 모든 액션 영화는 악당과 주인공을 분명히 대비시킵니다. 그리하여 처음에는 주인공이 악당에게 고통을 당하다가 마지막에는 나쁜 사람들을 모조리 징벌합니다. 그리고 여유 만만하게 떠나든지,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과 포옹합니다. 그렇게 끝이 납니다. 이것은 유치한 이야기지만, 이러한 이야기들이 먹혀들고 잘 팔리는 이유는, 사람들의 의식 구조가 그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영화 속에서 선과 악의 분명한 기준은 어떤 절대 악이나 선이 아니라 주인공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즉, 주인공이 어떤 사람이냐에 상관없이 주인공은 선이며, 상대방은 악입니다. 주인공이 악당이라도 그는 선입니다. 관객들은 그의 편이 됩니다. 주인공이 도둑이라면 관객은 그가 잡히지 않기를 바랍니다. 주인공이 마피아 보스라면 관객들은 반대파들을 처단할 때 즐거움을 느낍니다. 상대편 사람은 아무리 많은 사람이 총에 맞아 죽어도 그만이지만, 주인공이 총에 맞으면 애절한 음악이 나오며, 옆에 사랑하는 사람이 나와서 감동적이고도 비장한 대사를 한참이나 읊어 댑니다.

 

그러한 특권은 그가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쓰러져 죽은 상대방들도 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고 가족이 있지만, 그들은 주인공의 반대파들이기 때문에 무시됩니다. 묘한 일이지만 현실도 비슷합니다. 사람들은 현실도 영화와 같이 자신을 항상 주인공으로 상정합니다. 그리고 영화 속의 주인공처럼, 주인공은 절대적인 선이어야 합니다. 주인공은 항상 옳은 쪽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주인공을 반대하거나 괴롭히는 쪽은 악인인 것입니다. 이런 식의 흑백 논리가 무의식적으로 팽배해 있습니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요? 나만 주인공이고, 다른 사람은 주인공이 아닐까요? 과연 나는 옿고, 상대방은 틀렸을까요? 내가 총에 맞으면 음악이 나오고 반대편이 총에 맞으면 박수가 터져 나올까요?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절대적인 선인과 악인은 없습니다. 우리는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 대한 글짓기를 시키면 "그는 믿음이 좋았습니다. 왜냐하면 좋았습니다. 무지하게 좋았습니다."라고 씁니다. '다윗'에 대해서 쓰라고 하면 "그는 착했습니다. 아주 착했습니다. 무지무지 착한 사람입니다." '솔로몬의 지혜'에 대해서는 "그는 똘똘했습니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압니다. 과외 공부 한 번 안 했는데도 그는 항상 100점만 맞았습니다." 이렇게 씁니다. 사울이나 가룟 유다에 대해서 쓰라면, "그들은 나쁜 놈들 이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못된 짓을 골라서 했습니다. 부모 속을 썩였습니다. 등록금을 떼먹고 유흥비로 다 탕진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모든 사람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다 적당히 착하고 적당히 못됐습니다. 어떨 때는 우리 자신이 보아도 너무 인정머리가 없고 교활하며, 어떤 때는 자신이 감동할 정도로 착합니다. TV에서 비춰주는 감동적인 사건의 이야기를 보면 울고, 끝나면 바로 아이들에게 신경질을 냅니다. 선과 악은 우리 속에 공존합니다. 천국과 지옥은 우리의 마음속에 공존 합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싸움은 외부에 있는 적이 아니라 우리 속에 있는 어두움, 악의 요소, 잘못된 생각입니다. 바깥에 있는 악들, 타인의 악은 우리의 운명과 상관이 없지만, 우리 속의 처리되지 않은 악은 우리의 현실과 운명, 또 영원한 운명과도 관련이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바깥의 적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이 문제입니다. 우리가 잘못되고 상대방이 옳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것이며 상대방이 진실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를 칭찬하는 쪽이 잘못된 쪽이며 우리를 비난하는 쪽이 옳을 수도 있습니다.

 

흑백의 논리에서 벗어나십시오. 절대적 선의 논리에서 벗어나십시오. 우리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며, 진정한 싸움은 우리 내부에 있음을 발견하고, 이 내부의 싸움에서 조금씩 승리해 나갈 때 우리는 조금씩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