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도전과 1930년대 신학(1910-1920)
1. 자우주의 발흥 배경
*윌리암 헌트(1897)
-성경의 무오성을 믿지 않는 사람이 있었다.
*1916년 스코필드
-한국 장로교 안에는 진보주의대 보수주의의 대립이 있었다.
-1919년 한일합방 이후에 자유주의
*밀리아스 호튼(언더우드의 아내)
-한국 교회 안에 진보적인 선교사들은 우리가 쓴 고리타분한 선교정책이 고리타분하다고 함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비판함.
*마터 브라운(국동의 정국 540p)
-한국의 소수의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있엇다.
*한국 개신교의 분열과 일치(박사학위)
-최초에 4명의 장로교 선교사 중에서(알렌, 언더우드, 헤론, 엘로스) 신학적으로 동의한 사람은 한 사람(언도우드)밖에 없었다.
-모든 선교사들이 다 보수적인 선교사들이 아니었다는 것을 언급함.
*김영주
-윌리암 스캇의 영향
*1930-35년이 실제적으로 자유주의가 표면으로 들어 났지만 그 이전부터 자유주의가 한국에 있었다.
2. 자유주의 침투
①소수의 북 장로교 선교사(PCUSA)
미국의 배경
*1706년 노회 조직(presbytery)
-Francis Makemie 주도(미국 장로교회의 아버지)
-Snow hill 지역의 교회를 하고 있는 사람
-7명이 노회를 조직함
*1716년 대회 조직(Synod): Now England : Scotich-Irish
-1734-36 1st Great Awakening(1차 대각성운동)
-Oldside(반대) <-----> Newside(찬성)
-1841년 갈라짐
-Newsid의 폭발적인 부흥과 Oldsie의 위기
-1758년에 다시 하나됨
-두 흐름의 공존
*1788년 총회(General Assembly) 결성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공식적으로 체택함
-W.C.
-PCUSA
*1800-1830 2차 대각성운동
-회중교회와의 연합문제
-노회문제
*1837년 둘로 나누어짐
-Old School: 프린스턴, 메코믹, 유니온(보수)
-New School: 유니언, 어범(진보)
*1861년 남북전쟁
-S(O+N): PC USA -> 북 장로교회
-N(O+N): PC US -> 남 장로교회
*1870
-모두 목사 안수를 주고, 모두 선교사로 파송하기로 결정
-한국에도......
*1983년
-남, 북 장로교가 합쳐짐
-연합장로교로
-PCA: 리폼드, 커버너트 신학교: 반대하여 독립됨
②감리교
-1910년대 말에 들어서면서 변화를 겪는다.
-양주삼의 진보적인 글들이 “신약세계”에
-1920-35 극변함
*양주삼
-교단
*신흥우
-연합기관
*류형기
-출판
*이용도
-신비주의 부흥운동(아가서)
*정경욱
-협성신학교 교수: 신학교 변천의 역할
-프랭크린 롤(자유주의)의 심오한 영향을 받음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힘을 모은다면 한국 교회를 바꿀 수 있다.
-진정한 개혁주의를 고수할 수 있는 리더자 그룹.
③캐나다 장로교
-1925년까지는 존재함
-감리교, 회중교회와 합쳐서 연합교회를 만듬
-이 때부터 한국에 장로교가 아닌 선교사도 왔다.
-윌리암 스캇
-낙타 비유: 진보적인 사상을 수용하기 시작하면 결국 보수주의를 몰아내고 주인자리를 찾이한다
-함경남북도: 김재준, 송창근
④고등교육
-창조론 교육이 지배적이었지만
-진화론 교육이 시작됨.
⑤일본유학출신들
-청산학원에서 교육을 받음: 김재준 송창근
-일본이 일찍이 독일하고 힘을 모았다.
-일본 사람들이 독일에 유학을 많이 갔다왔다.
-1920년대 일배를 지배했던 신학이 칼 바르트 신학이였다.
-장로교 안에 신학지남을 통해 자유주이 신학을 소개함.
3. 총회의 신학적 문제
①기독신보가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이 들어나 있었다.
②아빙돈 단권 주석
-감리교. 유형기, 선교 50주년 기념
-메디컬 하진 않지만 오늘날 이야기하면 진보적이다.
-칼 바르트의 노선이다.
③신학지남의 문제
-신학적 변천
④창세기 저작권 문제
-모세 오경을 믿지 않는 일부 사람의 문제
⑤여권 문제
⑥적극신앙단
*1934-35년 총회
-한국선교 50주년 주석 발간(출간위원장: 박형룡박사)
-조사위원회 결성
*조선신학교 설립
-신사참배 문제
*다섯개의 신학 조류(1930년대)
첫째, 방형룡의 정통주의
둘째, 김재준의 진보주의(신정통주의)
셋째, 정경옥의 자유주의
넷째, 김교신의 무교회주의
다섯째, 이영도의 신비주의
-오늘날 신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함.
*진보주의와 자유주의이 구분
-자유주의는 old Liverlism을 말한다.
-보수주의 방향으로 흐름을 바꾼 사람이 칼 바르트이다(신 정통주의)
정경옥의 자유주의(감리교)
-정경옥은 하나님을 쓰지 않고 하느님을 쓴다.
-자유주의는 자기가 자기 스스로를 자유주의라고 했는냐? 다른 사람이 그를 보아 자유주의자라고 했는가?
-송길섭 『한국 신학 사상사』 자유주의 신학을 확립한 신학자라고 평가함
-1903년 진도 출생. 진도 보통학교, 경성 보통학교, 삼일운동, 목포 형무소 복용, YMCA 김진수, 송창근을 만남
-협성신학교 졸업. 미국 유학
-1928년 유학 정경옥의 성적증명서
-C: 교회사
-이단에 빠지는 사람 두 종류: 신학교육을 제대로 못 받음, 교회사 F
-교회사는 정통과 이단의 싸움이다.
-석사논문: 뉴마의 신비주의-신비주의를 변호하는 글.
-협성신학교 교수:
-신비주의 <- Old Liverlism <- 프렝크린 롤
-광주 중앙교회 담임(장로교): 일본 기독교와 한국 기독교 통폐합함.
-1940. 4월 복막념으로 타계함(42살)
-감리교 신학을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
*신학의 핵심
①정경옥은 종교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인격적인 관계라고 봄.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는 종교적 경험을 낳게 되고 도덕적 경험을 낳을 수 있다.
-자연스레 경험적 신학(술라이어마허: 절대의존신학)
②인격적인 관계의 지향점은 사회 변혁이다.
-현재성
*신학
①역사신학(과거의 경험)
②이론신학(현재의 이성)
③실천신학(미래의 실천)
-슐라이어마허의 신학
-성경신학이 빠짐.
-메이첸: 천주교는 기독교의 변형일지 모르지만 자유주의는 기독교가 아니다.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차이는 “성경”
-역사적 기독교는 성경을 통해서 문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자유주의자들은 문화를 통해서 성경을 본다.
-자유주의주의 신학은 상황신학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성경을 이해해야 하고,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
-목회자(설계자)는 변하지 않는 말씀을 변하는 세상에 전하는 자이다.
-변하는 세상을 읽어낼 수 있는 안목은 바로 기독교 역사이다.
-역사적인 해박한 안목을 갖자.
-기독교 역사 속에 나오는 살아 있는 예화의 보고.
-“기독교는 체험의 종교다.”라고 정경옥은 말을 남겼다. 슐라이어마허의 개념에서 비롯됨.
-“신앙은 보수 신학은 자유”
-신앙과 신학은 다를 수 없다.
-극단적인 종교다원론자들과는 다르다. 기독교의 유일성은 인정했다.
-그런데 정경옥의 후예들은 그보다 더욱 급진적으로 나가고 있다.
*결론
-정경옥은 현대신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칼 바르트 등 자유주의 신학자들을 한국에 소개했다.
-감리교 신학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험, 도덕
-현실 참여를 촉구하였다.
-그는 스스로가 자유주의라고 이야기 했고, 스스로 기독교는 신비로운 체험에 기초한다고 말했다.
4. 총회의 대응
5. 맺는 말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 역사관 (0) | 2015.07.15 |
---|---|
초대교회의 정의 (0) | 2015.07.13 |
기독교 민족운동의 발흥(1910-1920) (0) | 2014.10.22 |
에라스무스의 작품과 해설 (0) | 2014.10.19 |
대각성 운동(Great Awakening) (0) | 201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