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강 실천신학의 개념
1. 신학의 개념
-하나님의 하나님에 대한 말씀을 연구하는 것
-하나님의 말씀(계시)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는 우리의 실재와 만날 수 없다.
-세계와 신의 존재의 접촉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았다.
-개인적인 접촉으로 보아서 무당/신들린 사람 등이 계속해서 생겨났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계시해 준 말씀의 학문이다.
*초절신학
-계시가 초월해서 끊어져 있다.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최 자연적 기적이 필요하다.
-은사주의
*개신교신학
-접촉점
*관통신학
-자유주의
-사회운동
*신학병행체 학문
-말씀을 경험한 성도(인간)들에 관한 관심과 신학
-슐라이마허(경험/감정)
-말씀을 강조할 때는 지성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하는 과정이 단순하지 않다.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등이 존재하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함
-어느 정도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받아들이냐에 따라 진보, 보수, 근본주의로 나뉜다.
-근본주의는 심지어 이러한 학문을 마귀의 것으로 본다.
-개혁주의 안에서는 적절하게 인정하는 것이 받아들이고 있다.
-근본주의는 성경 외에는 상담 자료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Poiesis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의심하기와 경청하기를 잘 해야 한다.
-보수주의는 의심하기를 잘 해야 한다.
-진보주의는 경청하기를 잘 해야 한다.
*신학은 하나다(한 덩어리다).
2. 신학의 분류
①조직신학
-성경의 의미를 조직적으로 체계화 시키는 신학
-meaning
-의미를 조직화 하여 전체적인 의미로 나타내는 것
-공교회에서 신항고백으로 받아들여지면 교리가 된다.
-비 전통과 전통은 이 교리가 얼마나 교회에서 받아들여졌는가?
②성경신학
-성경의 진리의 의미를 파악하는 신학
-모든 각각의 의미를 파악해서 경향성을 파악한다.
-누가복음은 공관복음의 다양성으로 볼 때 누가복음은 제물적(청지기) 제자도를 경향성을 보는 것
-경향성을 가지고 무조건 조직화는 문제가 있다.
③역사신학
-공교회의 신앙고백을 역사적으로 관찰하는 학문
-통시적으로 관찰
-초대, 중세, 종교개혁, 근세, 현대
-시대에 따른 같은 현상에 다른 차이점과 의미를 찾아가는 것
④실천신학
-1810년 슐라이마허 이후로 독립된 공과로 떨어져 나옴
-이론을 어떻게 행동을 이끌어 실천하게 하는 가?
-이 행동이 성경에서 말한 의미만 가지고는 실천으로 바로 연결될 수 없다.
-poiesis(technic과는 다르다). 아리스토텔레스 최초 사용
-성경의 교훈들을 실천으로 옮기려고 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기독교강요는 실천신학 책으로 읽어야 한다.
-기독교강요/박형룡박사 조직신학 정독하기(여름방학)
-실천신하개론도 정독하자
⑤선교신학
-선교사명에 계속적인 수행을 위한 현대적인 신학
-본 교회의 사명감당을 목표로 한다.
3. 실천신학의 용어
*TRE 제 27권
*praktische Theologie(실천적 신학)
-모든 신학이 실천을 추구하기 때문에 소문자로 써야 된다는 주장
-독립학문이 아님
*Praktische Theologie(실천 신학)
-독립적 개념
*리차드 백스너
-기독교인 생활 지침서(A Christian Directory)
-1664년
-실천신학 소개
*1810년
-슈라이마허
-베를린대학 실천신학개론 강의 시작
*전문화
*긴장감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4. 실천신하그이 정의
*슐라이마허
-목사의 직책과 관련된 연구와는 다른 교회의 활동을 다루는 행동의 이론
-목회와는 별도로
-Theorie des Handelns(행동의 이론)
-과학적 혹은 학문적 신학의 유기적인 부분
-실재적인 학문(세계사적으로 최초)
-구글 이용해서 찾아보라.
-실천적 과제들을 푸는 학문적 요체
*에버하르트 빈클러
-복음의 전달에 관한 이론
*뤠슬러
-실천신학은 교회의 역사적 경험의 형태와 그리스도인의 공동생활에 대한 책임 있는 기초로서 과학적 이ᅟᅩᆫ을 세우기 위하여 현대적인 경험의 통찰력과 기독교 전통의 영역을 서로 융합시키는 것이다.
-경험의 통찰력과 기독교 전통의 영역을 융합
-귀납적 과정을 인정함.
*실천신학의 정의는 기독교적 프락시스에 대한 비판적이고 방법-이론적인 신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론(theorie)->행동(Poiesis)->실천(Praxis)
-가장 경개해야 할 것은 환원주의이다. 예수/전도/선교 환원주의를 경계하라.
-예수님이란 단어가 실재 있어서 예수님 전체를 포괄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좋은 것으로 모든 것을 커버해서는 안 되나.
실천신학의 기원과 역사
1. 서구의 실천신학
-사상적 지식
-실천적 지식(코메니우스, 슈라이마허)
*슐라이어마허의 유고작(신학연구개요)
-신학은 뿌리(Wurzel), 역사신학은 몸(korper), 실천적 신학은 수관(krone)
-실제적인 학문
-실천적 과제란 목회(Kirchenleitung)
-현대 실천신학은 대안까지 제시하고자 한다.
*니취
*오토
*몰트만
*힐트너
-귀납법적 방법론
*티힐리의
-상관적 방법론은
2. 한국의 실천신학
-1980년 정성구의 실천신학개론
-2013년 안은찬의 실천신학개론
3. 한국과 세계 실천신학의 흐름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강 교회개척의 정의 및 당위성 (0) | 2014.03.20 |
---|---|
제 1강 오리엔테이션 (0) | 2014.03.20 |
제 1강 실천신학의 분류 (0) | 2014.03.20 |
성경해석 (0) | 2014.03.19 |
개혁주의 윤리학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