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 찬양의 노하우 III - 그 이름의 위력
다윗은 그야말로 찬양의 일가견이 있는 사람임은 두말 할 것도 없다.
그래서 다윗이 언약궤를 가져오면서 그 언약궤를 놓아둔 장막에서
섬길 레위인 찬양대를 세우고 어떻게 할 것을 명한 역대상16장7절부터의
말씀을 살펴 봄으로 다윗 찬양의 노하우를 배우고자 한다.
III. 역대상 16:8
그 이름을 불러 아뢰며
다윗 때의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의 하나님의 이름이란 지금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이름의 거룩성이 달라진것이 아니라,
그 이름을 대하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특별히 이스라엘 사람들의 이름이란 그 사람의 인격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만큼 소중하고 각별하였다고 본다.
그러니 하나님의 이름에 대해서는 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하나님의 이름을 너무 어렵게 생각한 나머지 기록할 때
'주'로 기록하므로 점점 그 발음을 잊어버리게 까지 되었던 것이 아닌가?
그만큼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이름은 두렵고도 거룩한 이름이었다.
사실 높으신 분의 이름은 부르기조차 어려운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찬양할 때 얼마나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이름을 선포하는가?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내가 어릴 때만 해도 아버지의 이름은 거의 부를일이 없었던것이 사실이다.
할아버지의 이름은 더더욱 그랬고 그래서 잘 몰랐던 것이 사실이다.
또 교장 선생님의 이름도 그렇고, 아무튼 어른들의 이름은 그렇게 어려웠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 이름에 대해 십계명에서도 망령되이 일컫지 말것을 명령하셨다.
그런데 오직 찬양할 때 만큼은 오히려 하나님의 이름을 불러야 한다.
우리가 찬양할 때 부르는 하나님의 이름에는 감사와 감격이 있다.
때로는 기도할 때나 찬양할 때 주님을 부르는 것 만으로도 목이 메일 때가 있다.
그것은 그 이름을 부를 때 주님이 나를 위해 죽으신 것과 나를 사랑하시는 그 사랑이
감격으로 밀려오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은 성령의 역사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을 불러놓고 흐르는 침묵속에는 그 시간에 할 수 있는 말 보다도
더 많은 말과 마음을 전할 수 있다. 그것이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위력이다.
우리가 주님의 이름을 진실되이 부르는 순간 우리는 많은 찬양을 쏟아낼 수 있다.
만일 주님의 이름을 부르면서 감격이 없다면 그 다음의 찬양의 내용도 감격이 없을 수 밖에 없다.
우리가 똑같이 주님의 이름을 부르더라도 그 단어는 우리에게 다 똑같지 않다.
그것은 주님의 이름을 부르는 각자가 다 다르게 느끼기 때문이다.
그것은 절대 속일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내가 주님의 은혜를 얼마나 깨닫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걸 임의로 우리가 어떻게 조장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평소에 주님을 어떻게 부르고 있는가?
이제 한번 눈을 감고 주님을 불러보자
주님이 내게 얼마나 다가오시는가?
'†찬양 사역† > 찬양팀 영성 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윗 찬양의 노하우 V - 그에게 노래하며... (0) | 2012.01.02 |
---|---|
다윗 찬양의 노하우 IV - 선포 (0) | 2011.12.18 |
다윗 찬양의 노하우 II - 감사 (0) | 2011.12.10 |
12월 2(금)-3일(토) 청소년 찬양집회 초대합니다. 광주 CCC아카데미(호남신대 정문 옆) (0) | 2011.12.09 |
소명 / 깊은 바닷길로 _ 워십댄스 (0) | 201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