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з교회 사역...♡з/교회 학교 소식

교육환경을 지배하는 주도적인 교사

예림의집 2010. 6. 15. 09:50

교육환경을 지배하는 주도적인 교사


오늘은 남아공 월드컵 경기가 있는 날이다. 히딩크 감독은 말한다.

“2002년 월드컵 이후 한국은 영원한 내 마음속의 팀이다. 헌신적인 선수들, 열광적인 팬들과 함께 한 2002년 월드컵 4강은 내 인생의 가장 소중한 추억으로 남아 있다.

그리스를 넘어야 한국은 16강의 꿈을 꿀 수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한국이 거둔 눈부신 성과도 첫 경기 폴란드전의 시원한 2대0 승리가 출발점이었다.

슈팅 찬스가 왔을 때 슈팅 대신 패스를 하는 선수는 좋은 선수가 아니다. 공이 오지 않는 곳에 숨는 선수도 좋은 선수가 아니다. 월드컵에서 책임질 일에 대한 두려움을 가져선 안 된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성공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한다.

수비 위주로 움츠려 있다가 기회를 노리는 것도 한국 축구가 택할 길이 아니라고 본다. 그런 경기는 계속 끌려 다닐 수밖에 없다. 한국은 그리스를 맞아 처음부터 볼을 지배하고, 경기의 흐름을 움켜쥐어야 한다. 강팀과 싸운다고 주도권을 내주고 수세적으로 경기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

내가 아는 한국 선수들은 위기를 두려워하지도 않고 물러서지 않는 사람들이다. 허정무 감독은 엄청난 월드컵의 압박감을 이겨내고 매 순간 냉정한 판단을 내릴 것이다. 그리고 선수들이 헌신적으로 팀을 위해 싸운다면 한국은 다시 굶주린 호랑이처럼 전진할 것이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이다.

주도성(proactivity)이란 단순히 솔선해서 사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이 말의 의미는 스스로의 삶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는 뜻이다. 우리의 행동은 우리가 하는 의사결정에 의한 것이지, 결코 우리를 둘러싼 여건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감정보다 가치를 우위에 놓을 수 있다. 또 우리는 어떤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 주도적으로 하고 그 책임도 질 수 있다.

책임감(responsibility)이란 우리가 어떻게 반응할 지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response - ability)을 말한다. 매우 주도적인 사람은 이같은 책임을 인정한다. 이들은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 분위기, 주변 여건, 무슨 영향 때문이라는 등의 핑계를 대지 않는다. 주도적인 사람이 하는 행동은 가치관에 기초를 둔 스스로의 의식적 선택의 결과이지, 기분에 좌우되고 주변 여건에 영향을 받은 결과는 아니다.

대응적인 사람은 종종 물리적인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들은 날씨가 좋으면 기분이 좋다고 느낀다. 그러나 날씨가 좋지 않으면 이는 그들의  태도나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주도적인 사람들은 자신이 날씨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비가 오든지 햇볕이 나든지 날씨 자체는 이들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들은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자기의 가치관이 양질의 일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날씨가 그 작업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의 교회교육의 현장과 현실에서 우리는 주도적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 앞에서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 더 이상의 변명을 하기 전에 나를 살펴보자.


☞ 기도제목

1. 필리핀 영어연수 프로그램이 잘 준비되도록. 30명의 지원자가 채워지도록.

2. 6월 28-29일에 있는 세미나가 잘 준비되고 170명이 등록하도록.

홈페이지(www.tem.or.kr) 광고를 확인하셔서 신청해주시고 홍보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