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선적이고 미선적인 것
우리가 하나님을 궁극적 권위로 삼고 그의 계시를 위지하는 것은 단지 독선적이고 미신적인 것이 아니라 극히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다. 오히려 인간 스스로를 궁극적 권위로 삼는 것이 독선적이고 미신적인 것이다. 이렇듯이 어떤 믿음을 궁극적 전제와 권위로 삼느냐에 따라 이성의 역할이 달라진다. 완전하신 하나님과 그의 계시를 궁극적 전제와 권위로 삼는 믿음이 이성을 가장 가치 있고 유효하게 만드는 유일한 길이다. 이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삼는 일종의 우상 숭배와 같은 것으로 그 이성을 맹목적이고 무모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믿음과 이성은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의 궁극성(ultimacy)을 인정하는 한도에서 둘은 조화를 이룬다.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을 받았기 때문에 합리성을 추구하고 서로 합리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2+2=4라는 사실을 불신자나 신나자 다 알 수 있다. 이성을 통하여 기독교의 합리성을 증명할 수 있고 또한 이성을 통하여 불신자의 지식 체계나 세계관의 비합리성을 증명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성은 이미 믿음을 전제로 하는 이성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믿음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이성의 활동은 불가능하고 또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중립적인 이성이란 불가능하다. 마치 중립적인 혹은 순수한 이성이 존재하는 것처럼 생각해서 이성자체에 의미를 두고 이성을 사용한다면 결코 기독교 진리를 변증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성적 논쟁 자체도 불가능하게 된다.
사실 어느 쪽이라도 이성을 활용하고 있다면 그것은 이미 믿음을 전제했음을 의미한다. 심지어 믿음을 부정한다고 할지라도 그 부정하는 활동조차 믿음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즉 믿음을 부정하기 위해서 그 부정적 이성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보편적 틀을 믿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믿음을 전제하지 않는 이성은 스스로 합리성을 부정하는 것이요 믿믐을 전제하는 이성은 합리성을 긍정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독교인의 믿음은 단지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시에 근거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믿음이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현대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달의 선교도서(2018.5-6): 『성경 스토리텔링』 (0) | 2018.05.20 |
---|---|
기독교진리수호연구협회(기.진.협.)31회 5월세미나 (0) | 2018.05.14 |
이성을 이성의 기준과 근거로 삼는 것 (0) | 2018.05.07 |
목회자의 온전한 헌신② (0) | 2018.05.07 |
이성의 올바른 위치 (0) | 2018.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