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AD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이 시기의 끝을 18세기 중엽으로 잡는 것은 로마교회의 한 시대가 끝나고 개신교회의 선교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전환기적 시기임을 의미하고 단순히 서구라파의 식민지 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제도권 교회의 선교가 아니라 부흥의 시작을 통한 본격적인 선교의 시대가 열리는 시기이기에 이를 근거로 하였다.
*환경적 요소들
①마틴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 운동이 일어나서 이것이 개신교회를 탄생시켰고(1529) 개혁 운동을 전 구라파에 확산시켰다.
②절대 군주제의 등장과 교회에 대한 왕권 강화의 시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교직임명권을 황제가 빼앗음
-수장령(1530)
③화폐 경제가 시작되고 근대적인 의미의 도시가 형성되면서 주식회사가 등장하고 신흥 자본주의 세력인 부르주아 계층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④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의 여파는 로마교회에도 나타나 각지에서 로마교회 자체의 개혁 운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교회병행 선교기구로서의 새로운 수도원 선교운동으로 나타났다.
-예수회 운동(절대 복종, 절대 헌신, 순교)
-신성한 사랑의 수도회
-테아틴 종단
-바나바이트 종단
-소마스키 종단
-요한의 형제 자선단
-카푸친 종단
-우르수린 종단
⑤구라파에서 가톨릭과 개신교 세력 간에 종교적인 이유로 계속적인 전쟁이 일어남으로 양대 세력간의 분할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30년 전쟁
-1648년 웨스트팔리아 강화 조약
⑥이 시기는 서부 유럽 기독교 국가들의 지리적 확장과 그로 인한 식민지 시대이었다.
-포루투칼: 아프리카의 서해안, 동해안, 아시아의 남동 해안가, 브라질
-스페인: 북미 지역, 서인도 제도, 멕시코, 페루, 아시아권 필리핀
-불란서: 서인도 제도, 북미, 인도, 인도차이나
-영국, 덴마크, 독일(개신교): 인도, 실론, 말레이 군도
-1793년 인도 윌리암 케리가 선교의 장을 열게 되었다.
-중국 허드슨 테일러
-지금까지 복음에 저항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⑦서부 유럽의 노예 경제 구조와 식민지에서의 원자재 개발과 상품 생산을 위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서 종족들을 대량으로 이주시켰다
-이것은 동남아시아와 구미에서 소수 종족이 원래의 주민인 다수 종족들 가운데서 긴장의 요인이 되고 있고 때론 경제적인 격차와 문화적인 차이 그리고 종교적 갈등으로 인하여 종족 분규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이런 상황들이 유입되어 온 소수의 종족들을 복음에 수용성이 있게 함으로 저들 가운데 많은 기독교인들이 생기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⑧이 시기에 서부 유럽 사람들의 미국 대륙의 이주가 시작이 되었고 이로 인해 미국에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하나님은 섭리적으로 19세기의 후발 주자로 선교를 위해 역사할 미국 교회를 예비하고 계셨다.
*신앙의 요소들
①교회와 국가의 관계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가 선교 방법에 영향을 미쳤다.
첫째, 교회와 국가를 상호 일치시키려는 시도
-로마교회는 포르투칼, 스페인, 프랑스의 식민정책에 공식적으로 선교사를 파송하도록 법령을 제정케 하는데 이것을 1534년 ‘Equum Reputamus' 교서를 확정하였다.
-교황 대리 제도(Vicar Apostolic)
둘째, 교회와 국가를 분리하는 입장.
-개신교회는 일반적으로 정교 분립을 원칙으로 하고 교회가 주도하는 선교를 수행하였다.
-선교기구에 대한 신학적인 입장에 따라 교단 중심의 선교기구를 통해서 선교하든지 아니면 교회병행 선교기구를 인정하면서 선교하는 경우.
②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사상
-이신득의, 만인 제사장, 성경의 권위, 평신도들의 성경 해석 권리와 의무
-독일어로 성경 번역
첫째, 『선행에 관한 설교(Sermoon on Good Works)』: 로마교회의 공덕 사상을 배격하고 믿음으로 말미암는 하나님의 은혜로서의 의로움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실천을 강조
둘째, 『독일 귀족에게 고함(The Address to the German Nobility)』: 만인 제사장 원리를 강조하고 성직자의 위계적 교회 구조를 비판
셋째, 『교회의 바벨론 포로(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교황청이 바벨론 완국임을 명시하고 평신도들에게 성찬식을 베풀 때 컵을 받지 못하게 함을 비판하였다.
넷째, 『기독교인의 자유(The Freedom of the Christian Man)』: 복음에 의한 자유인으로 그리스도인은 교권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자발적인 헌신을 통한 종의 모습을 지닌다고 하였다.
③존 칼빈의 개혁 사상
-창조자가 되시며 주권자가 되신 하나님
-인간의 전적 타락과 부패
-하나님의 불가항력적 은혜와 그의 선택(이중예정론 혹은 예지 예정론)
-이신득의
-만인 선지자직
-교회의 복음 선포를 통한 그리스도의 왕국 확장
-인간 직업의 사명성
-신률주의적 국가
-『기독교강요』: 1534년 초판, 1559년 마지막 판
④16-18세기의 칼빈주의의 연장선으로서 영미의 청교도 사상
-하나님 존전의식
-경건과 언약적 책임
-미국에서 꽃을 피움
⑤재침례파의 신학 사상
-토마스 뮌쩌
-형제단 계열
-멤노나이트 계열
⑥로마교회의 트렌트 공의회(1545-1563)
-개신교에 대한 적대적 성향
-1979년도까지 가톨릭의 교리적 입장에 주도적 영향
-로마교회만이 성경을 해석할 수 있다.
-7가지 성사
-혼합주의적 영성
*영적 원동력
①종교개혁가들의 성경관과 만인 제사장론과 선지자론 그리고 보편적인 불가시적 교회의 중요성 강조는 후대에 개신교회로 하여금 모든 교인들이 선교의 책임성을 느끼며 선교에 참여토록 하는 동기가 되었고 개신교회의 특징을 나타내는 자발적인 선교기구를 만들게 하였다.
②반동 종교개혁으로서의 가톨릭의 개혁 운동은 일부 교회 지도자들과 평신도들 가운데서 영적 각성을 가져왔고 기존의 침체되어 있는 교회병행 선교기구를 새롭게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었고 또한 새로운 교회병행 선교기구를 만들기도 하였다.
-예수회를 중심으로
③영미의 청교도 지도자들의 하나님의 존전 의식과 경건 훈련의 강조 또한 언약 백성으로서의 교회와 국가와 세상에 대한 책임 의식 등은 그리스도인의 영성 회복과 세상에 대한 선교적 사명을 깨닫게 하였고 신생의 체험과 교회 부흥을 통한 종말론적인 선교 사명의 완성 등의 강조는 청교도인들로 하여금 미국의 영국 식민지인 13개 주에서 인디언 원주민 선교에 앞장을 서게 하였다.
-미국 선교와 독립에 영향을 줌.
-실상은 전쟁을 통해 죽이고 쫓아냈다.
-강자의 역사이다.
④영국의 국교회 안에서의 웨슬레이 형제들과 조지 휫필드의 영적 각성과 조직적인 선교 운동은 궁극적으로 웨슬레이 형제들을 통한 개신교의 한 교단이 감리교회를 탄생시켰고 조지 휫필드의 영향은 칼빈주의 메쏘나스트파의 교단과 클라팜 당파를 형성하여 영국의 사회변혁에 앞장서게 하였고 “교회 선교회(Church Missionary society)를 창립하여 해외 선교에 참여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알마니안 신학이 감리교의 선교신학에 여향을 미침
-웨슬레가 체험한 성령의 역사를 성령의 두 번째 축복으로 규정
-구원의 확증과 선교의 증인이 되는 능력으로 해석
-오순절 운동의 길을 열어 놓았다.
⑤독일의 루터파 목사인 필립 스페너느 개혁의 산실이었던 스트라스부르그와 제네바에서 공부하였고 프랑크푸르트에서 목회 사역을 할 때 주중에 그의 집에서 성경 공부와 기도와 주일 설교에 대한 내용을 가지고 소그룹의 모임을 가졌는데 이것을 ‘경건한 자들의 무리(Collegia Pietatis)라고 사람들이 불렀는데 여기서 경건주의 운동의 시작이 되었다.
-『마음의 염원(Pia Desideria)』: 신앙인의 삶에 영적 훈련과 성장을 위한 여섯 가지 방법
-소그룹 성경공부
-만인 제사장의 원리에 의거해서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일
-사랑의 봉사를 통한 그리스도교의 실천
-종교 논쟁에 있어서 친절하고 화목한 태도를 견지
-개인적 회심의 강조
-대학의 신학 교육의 개선
-설교의 방법과 형태의 개혁
*선교 매체
①인쇄술의 발다롤 인한 현지어로 된 성경과 개혁 사상이 담긴 서적들이 보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다.
②상업로를 통한 복음의 확산이다.
③해상로를 통한 복음의 확산이다.
④대학의 선교 교육을 통한 선교 지식의 확산이다.
⑤식민 당국자들에 의한 식민 통치의 일환으로 현지 원주민들에게 개종을 요구하였다.
*선교 구조
로마 교회의 경우는
-기존의 교회병행 선교기구의 재정비와 신흥 교회병행 선교기구가 만들어졌다.
-개신교회의 경우는 모달리티인 제도권적 교회가 식민 지역에서의 자국인들과 원주민들의 선교를 위해 모탈리티에 속한 적은 규모의 소달리티 선교기구를 만들었다.
-이탈리아 프란시스칸 종단의 한 지류인 카푸친
-스페인의 개혁 카멜 수도회와 맨발의 프란시스칸 종단, 신 베네딕트회
-테아틴, 바나바이트, 소마스키, 우르수린, 예수회
-신앙 전파를 위한 거룩한 공회(Sacra 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
-파리 외방 선교회(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of Paris)
개신교회의 경우
-모탈리티에 직접 속한 소규모 소달리티 선교기구
-라이든 대학 내에 화란의 동인도 회사의 종국 목사들을 위한 선교 훈련원
-영국 국교회는 미국의 뉴잉글랜드 지역의 “뉴잉글랜드 복음 전파를 위한 대표회”
-1661년 찰스 2세의 미국의 “뉴잉글랜드와 주변 지역에 복음 전파를 위한 선교회”
-로버트 보일레의 “이교도들 가운데 기독교 전파회”
-1699년 영국 국교회 “기독교 지식 확산회”
-1701년 토마스 브레이 “외국 지역에서의 복음 전파회”
-1709년 스코틀랜드 “기독교 지식 확산”
-1664년 독일 유스티니안 폰 벨츠 “그리스도의 형제애”
-1700년대 프랑케 할레대학 “할레 선교회”
-도라비안 형제단(Unita Fratrum)
*지리적 확장
로마교회는 이미 환경적 요소들 항목에서 살펴보았듯이 로마교회의 정치적 후원 세력인 포르투칼과 스페인 식민 지역이 바로 로마교회의 확장 지역이며 프랑스의 식민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①아프리카 지역
②인도 지역
③실론 지역
④동인도 제도와 말레이 군도 지역
⑤일본 지역
⑥중국 지역
⑦브라질 지역
⑧스페인령의 아메리카 지역으로서 북미 남쪽 해안 지역, 서인도 제도, 멕시코, 페루, 중미 지역
⑨필리핀 지역
➉인도차이나 지역
개신교회의 선교 활동을 통한 지리적 확장
-개신교회는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영국, 화란, 덴마크의 식민 지역에서 자국인들과 원주민들을 위해서 부분적인 선교를 시도하였다. 지역으로서는 인도, 실론, 말레이 군도, 북미의 13개 식민 주들이다. 본격적인 해외 선교가 시작된 것은 18세기 초엽부터이며 독일의 경건주의 선교 등으로부터 시작 된다. 17세기 이전까지는 개신교회는 구라파에만 머물러 있었는데 다양한 교리적 배경의 교단으로 나누어졌다.
①구라파에서의 개신교회의 분포
②인도 지역
③실론 지역
④말레이 군도 지역
⑤미국에서의 13개 식민 주 지역
*종족, 종족 그룹, 계층
이 당시 개신교회와 로마 가톨릭의 선교 활동을 통하여 콩고, 앙골라, 몸바사, 모잠비크에 있는 종족들, 파라바스, 타밀, 싱할리, 말라야, 일본, 중국, 브라질 인디언, 노예 흑인들, 메스티조, 멕시코 인디언 원주민들, 중미의 인디언들, 샴, 버어마인, 월남인, 미국의 인디언 종족들이 있었다.
-로마 가톨릭의 선교는 지배 계층인 상류 계층을 먼저 복음화하고 이후에 일반 서민 계층으로 가서 선교하는 전략이었다. 예외적인 것은 인도에서 자비에르가 사용한 파라바스 종족을 복음화한 경우가 있다. 로마 교회의 교회병행 선교기구의 창설자들은 대체로 상류 계층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개신교회의 선교는 주로 일반 서민 계층에게 먼저 복음을 전파하엿는데 인구 수효가 많은 서민을 복음화하면 지배 계층도 복음화 할 것을 생각한 것이었다. 개신교회의 창설자가 되는 루터, 칼빈, 녹스 등은 집안이 노동자 가정이거나 서민 계층이었다.
*중요 인물들
①종교개혁을 일으킨 루터
②개혁 교회의 시조가 되는 존 칼빈
③재침례교인 주요 지도자라 할 수 있는 멤노 시몬즈
④청교도 지도자로서 리차드 백스터
⑤윌리암 에임스
⑥존 엘리오트
⑦웨슬레이 형제들
⑧조지 휫필드
⑨데이비드 브레이너드
➉어거스트 헤르만 프랑케
⑪니콜라스 루드윅 진젠도르프
⑫유스티니안 폰 벨츠
⑬이그나티우스 로욜라
⑭프란시스 자비에르
*토착화
①로마 가톨릭
②개신교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선교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혀를 길들이세요(야고보서 3:1~12) (0) | 2014.08.26 |
---|---|
기독교이단대책협의회를 소개합니다. (0) | 2014.08.26 |
AD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까지 (0) | 2014.04.19 |
인류학과 신학과의 관계 (0) | 2014.04.14 |
기독교화/사회화/문명화 (0) | 201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