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적 돌봄
-인간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볼 것인가?
-이난을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성경적이면서 개혁주의 신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보아야 한다.
-신학과 삶이 연결되어져야 한다.
-삶의 이야기와 개혁주의 신학과 성경말씀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목회자/상담자로서의 자기 인식
-목회의 현장에서 사람과의 대화를 해야 하는데 기본적인 소양이 있어야 한다.
-최소한 말을 알아들어야 한다.
-인간을 이해하고 말귀를 알아듣고 표현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게 한다.
-필요성을 느끼는 자체가 중요하다.
1. 목회 상담의 정체성
*Pastoral Care Counseling
-상담을 포함한 좀 더 넓은 의미의 교회적 돌봄
-구약 시대 부터 있어왔다.
-권면, 징계, 안내
①Sustaining(위로)
-특히 초대교회는 예수님의 재림을 강조하면서 강조되었다.
②Guiding(안내)
-진로문제, 개인적인 갈등, 삶의 고민등을 대화를 통해서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분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③Healing(치유)
-현대인의 코드
④Reconciling(화해/용서)
-하나님과의 관계
-이웃과 가족 간의 관계
*Generalist(일반 상담)
*Specialist(전문 상담)
-기본적인 돌봄과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연결해 줌.
-하나님의 나라와 백성들을 위해서 귀한 사역을 감당하게 됨.
-기본적 마인드, 태도, 자세, 자질문제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좋은 인격자를 세워주는 것.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사는 다윗형과 솔로몬형이 있다. (0) | 2014.03.17 |
---|---|
교육 전략 (0) | 2014.03.17 |
내 삶을 변화시킨 찬송가 10선 (0) | 2014.03.17 |
설교란 무엇인가? (0) | 2014.03.17 |
설교의 3P (0) | 201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