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상황:
-자기 자신을 지식의 주체가 되는 존재는 인간이다.
-천사는?
-인간에 대한 물음은 오래 된 질문이다.
*헬라인의 철학 사상.
①플라톤-이데아와 현상계(원형과 모형). 평행선. Dualism(이원론)->어거스틴에 영향
②아리스토텔레스-현상과 진료. 진료는 형상을 향해 발전해 간다. 현상이 진료 속에 내제화 되면서 분리될 수 없다. 일원론적.->토마스 아퀴나스(스콜라 철학자). 이층 구조로 설명.
③프로티누스-신 플라톤 주의. 유출설. 모든 것은 유일자로부터 유출된다. 마지막 단계가 물질. 헬라사람들은 완전을 선, 불완전한 것을 악으로 보았다.->고행주의
*17C. 데카르트
-물․ 신 이원론자
-유기적 세계관에서 물질 세계는 열등하다.
-데모크리토스의 망령이 되살아남
-케플러 “물질이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
*19-20C.
-정신 세계도 마음되로 될 수 있다.
-정신 세계와 물질 세계의 동등화
-수학적인 분석의 방법으로 개초할 수 있다.
-현대 과학의 물질 일원론으로 바뀜
-1970 B.F. Skinner “자유와 권위를 넘어서서”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 등은 모든 것은 다 허구 개념이다(환경 결정론).
-물리적, 자연적, 정치적, 문화적, 유전적 환경의 산물
-자유는 없다.
-심리학, 교육학, 정신원리학에 큰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교의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원서정/믿음/칭의/성화 (0) | 2014.03.17 |
---|---|
개요 (0) | 2014.03.17 |
종교개혁자 루터는 천의 얼굴. (0) | 2014.03.17 |
웨스트민스터 표준 문서 (0) | 2014.03.17 |
제 1장 기독교 교리와 교리신학 (0) | 201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