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학·총신신대원/실천신학

제 2강 9월 11일(노재명 교수)

예림의집 2013. 9. 12. 15:08

 

제 2강 9월 11일(노재명 교수)

 

*신구약의 중간 시대 이해

①신약성경을 읽으며 1세기 유대인의 사회와 문화 기본바탕에 헬레니즘 문화가 섞여있다고 생각하며 성경을 읽는 독자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심볼리즘에 빠져서는 안 된다. 무조건 히브리적 사고로 4복음서를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물고기 153(제단)

②어쩌면 구약의 배경을 그대로 적용하여 신약성경을 읽고 그 바탕 위에 생각하여 깨달은 말씀을 적용할 것이다.

③하지만 예수님 말슴을 살펴보아도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복음서나 바울의 서신서를 보아도 곳곳에 그 영향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화폐 단위

①세겔이 아닌 데나리온(마막눅요), 드라크마(눅)

-데나리온: 하루 품삯.

-일용할 양식

-당시에는 매일, 매일이 먹고살기가 걱정이었다.

②가버나움에 이르니 반 세겔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이르되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마 17:24)

③그러나 우리가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마 17:27)

*두로 세겔

①은 함유율이 90%가 넘었음

-앞면: 월계관을 씀 에라클레스

-뒷면: 독수리

②반세겔의 성전세를 두로 세겔로만 받았음

-로마 은전은 함유율이 떨어짐

-환전 수수로는 노동자의 하루 품삯의 절반 정도

-‘콜본(golbon)’ 이라 불리는 수수로는 성전당국과 나눔

 

 

④혹자는 신약성경을 읽는 기본 바탕을 히브리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1세기 사회는 히브리적 사고가 존재했으나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에 의한 헬레니즘적 사고가 공존하고 있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⑤예수님게서 활동하셨던 1세기 당시는 족장들의 시대나 사사시대, 왕정시대와는 많이 다른 사회적, 문화적, 사상적 차이가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⑥솔로몬 사후 남북으로 나뉜 왕정역사는 왕과 백성들이 여호와 하나님을 떠나 다른 신을 섬김으로 심판을 받게 되면서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⑦북 이스라엘은

-주전 734년 앗수르의 불(디글랏 빌레셀 3세) 백성들을 끌어감

-주전 722년 북이스라엘이 앗수르에 정복되고 그들의 정책인 혼합정책으로 북이스라엘의 당은 이방화 됨

⑧남 유다는

-주전 605년, 57년 1, 2차 바벨론의 포로

-주전 586년 완전히 점령되어 70년을 포로로 잡혀 바벨론에 머무르며 그들의 문화와 사상에 영향을 받음

-70년 바벨론 포로 생활이 끝나갈 때 바사(페르시아)왕 고레스에 의해 약속의 땅에 돌아오게 되었으나 유대인들의 삶은 포로 이전의 삶과는 크게 달라짐

⑨구약성경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성전을 건축하고 예루살렘 성을 건설하는 에스라, 느헤미야 시대의 삶을 기록하지만, 말라기 선지자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언급이 없음

⑩말라기 선지자 이후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까지 400여 년의 시간의 단절이 있고 성경은 침묵

⑪하지만 성경이 침묵하는 400여 년의 시간 속에서도 하나님께서는 인류의 역사에 중심에서 이끄셨고, 그 역사는 성경의 배경이 되는 유대 땅에 많은 영향을 주고 많은 변화가 있게함

⑫바사/페르시아의 통치를 이어 그들을 정복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를 중심한 그의 후계자들은 헬라 제국을 형성하고 헬레니즘 문화를 전파함

⑬헬라를 이어 등장한 로마는 지중해 주변을 정치적으로 통일하고 헬라 문화를 받아들였고 통치지역에 전반에 영향을 끼치게 하였는데 유대 땅도 예외는 아니었음

⑭헬레니즘 문화는 자기 나라를 ‘헬라스’라고 부르고 자신들을 ‘헬린’이라 부르던 헬라 사람들에 의한 문화로 주전 5세기 아테네에서 발달했던 헬라 본토의 사상, 예술, 상업을 말하는데 그 기원은 아테네 사람들에 의해서이다.

⑮헬라의 문화유산을 지중해 동부 연안의 사람들이 받아들여 더욱 발전시킨 문화가 헬레니즘 문화이다. 헬레니즘 문화 전파의 중심에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헬라 문하를 알게 도고 그것에 심취했던 알렉산더 대왕이 있다.

⑯알렉산더 대왕은 동방을 정복하며 헬레니즘 정신을 퍼뜨렸고 그 영향은 여호와 하나님의 백성이 사는 유대 땅도 피해갈 수 없었다.

⑰헬레니즘 문화는 주후 7세기 이슬람이 타나나고 아랍이 점령하기까지 약 천 년 동안 지속되었다.

⑱이처럼 성경의 배경이 되는 유대 땅과 유대인들은 그들을 통치하는 나라들에 의해 종교,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⑲앗수르와 바벨론 시대에 히브리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공용어인 아람어을 사용해야 했고, 헬라와 로마의 통치를 받으면서 헬라어를 사용하게 되어 구약 성경마저 헬라어로 번역된 70인경을 사용하게 되었다.

⑳예수님 당시에는 로마가 통치하였지만 헬라어가 공용어였고 아람어가 함께 쓰였다.

 

바벨론 통치시대:

-

 

*바벨론의 영향

-

-

-

 

바사(페르시야)의 통치 시대

-

-

*이방인과의 결혼

-

*지도자 그룹

-

*백성들 86명

-

 

헬라통치 시대

-

-지도

-

*알렉산더 대제의 통치와 분열

-

-

-지도

-

*알렉산더의 동방정복전쟁

-지도

*헬라의 분할 통치

-지도

-

*알렉산더와 대제사장의 만남

-

-

-

 

1세기 최고의 가치, 명예

 

*신약의 세계(부르스 J. 말리나)

21세기 문화 1세기문화

*자율과 독립 *의존과 융화

*개인주의 *공동체 중심

*자본주의 시장 *농경/유목

*잉여된 자원 *고갈된 자원

*인권 *의무(충성)

*효율/능력 *서열/연장

*성공 *가족(희생)

*비문맹(인쇄) *문맹(구전)

*평등/자존 *권위(특권)/체면

*참여 *지시/명령

*정교의 분리 *정교 유착

*실용적/상대적 *이념적/규범적

*상대적 진리 *절대적 진리

*개인적 예배 *공동체적 예배

 

*명예

-주변 사람들을 통해서 취득되는 것이다.

-랍비의 명예(질문과 토론을 통해서)

-농부의 비유

-농부는 농사를 잘 짖는 것이 명예로운 것이다.

-종교지도자들은 기도하는 것이 명예로운 것이다.

-하나님은 명예보다 생명을 중히 여기신다.

-사람들은 명예를 추구하나 예수님은 반대로 말씀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