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람들이 선교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를 갖는 이유들에 대해 논하라
헤롤드 쿡은 사람들이 선교를 사치라고 생각하며 국내에 먼저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자는 주장은 잘못이라고 말한다. 그들이 왜 그렇게 주장하는가 하면 그들의 영적 체험이 없는 못된 믿음의 습관 때문이다. 다시말해 선교지를 가지 않고 선교적 체험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주장이 대부분이다.
첫번째, 인격적이고 할동적인 그리스도에 대한 체험적 신앙의 부족이 그 원인이다. 영혼구원에 대한 열정이 없는 사람들이 선교를 반대한다. 아무런 영적 체험이 없는 기독교 후 세대들의 습관적 믿음 생할들로 인해 선교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이 팽배해져 있다. 하나니므이 말씀에 대한 깊이있는 지식과 뜨거운 감동 및 인격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두번째, 자기중심주의 즉, 자기의 일에만 몰두하게 되어 다른 사람들의 어려운 처지를 전혀 보지 못하는 사고들(내 사람들, 기득권)이 원인이 된다. 사도행전 1장 8절의 "예루살렘, 유다, 사마리아, 땅 끝까지"라는 말은 선교의 시간적인 우선순위 개념이 아니라 "지리적 개념"의 선교명령으로 해석해야 한다. 자신의 나라가 완전히 선교된 후에 다른 나라에 선교사를 파송해야 한다는 논리에 대하여 모든 지역이 선교의 동등한 대상이라는 뜻이다. "오늘은 한국, 내일은 세계"라는 표어는 모순된 표현이다. World Christian, 세계가 우리읭 사역지이다.
세번째, 세계에 대한 이해 부족이 원인 중 한가지다. 마태복은 28장 1절-20절을 통해 예수님은 처음부터 "세계적인" 관점에서 제자들을 가르치셨슴을 알 수 있다. Ethnocentrism(자문화중심주의), 현지를 업신여기는 마음, 문화적 우월감의 표현 등이 선교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게 한다. 자문화중심주의란 감정적인 차원에서 다른 문화권을 처음 대하게 될 때 갖게 되는 정상적인 감정 반응인데, 자신의 문화는 문명화 된 것이고 다른 문화는 원시적이고 티ㅗ보한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이해와는 상관이 없는 태도가 문제다. 곧, 자문화중심주의는 타문화에 대한 우월주의로서 어느 문화속에 있는 사람들도 자신의 문화를 사랑한다. 또한 자문화중심주의는 쌍방통로같이 나타나는데, 곧 선교사는 다른 문화의 살마들을 원시적이라고 보고, 선교지 사람들은 선교사를 비문명화한 사람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자문화중심주의는 어디서나 발생한다.
자문화중심주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첫째, 감정이입으로 다른 문화와 그들의 방식을 존중하는 것이고, 둘째, 자기중심주의는 보통 다른 사람에 대한 무지가 원인임으로 학습자가 되는 것이며, 셋째, 다른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적 자세를 피하고 그들을 우리와 같은 인간으로 보고 대하며 그들과 우리 사이에 공통점을 인정하는 것이고, 넷째, 모든 사람은 자신의 문화를 사랑하는 경향을 가짐을 기억하는 것이다.
네번째, 숙명론적인 구원관 때문인데, 이것은 과장되고 위장된 갈빈주의(인본주의)로서 "초 칼빈주의(Hyper-Calvinism)이라 한다. 극단적 형태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여 사람은 단지 꼭두각시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하나님께서 이방인들을 회심시키고자 하시면 그들은 당신의 도움이나 나의 도움 없이도 능히 그 일을 하실 것이오!"라고 주장한다. 또한 선교는 사도들에게만 주어진 사명이며 우리와는 상관이 없다고 말한다. 이들은 불신자들에게 접근하기 위해서 전도나 선교를 금하는 신학의 형태를 띤다.
그러나 이 견해의 옹호자들은 하나님의 주구너적 은총에 의한 구원이 죄인들을 향한 열정적인 복음의 선포와 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개인의 구세주로 영접하도록 초대하는 결과로 얻어진다는 사실을 모른느 사람들이다. 우리는 구경꾼이 아니라 도구이다. 선교는 하나님게서 그의 구원의 영광에 우리를 동참시키는 현장인 것이다.
'서울신학·총신신대원 > 학습 도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2011-05회 모의고사 (0) | 2011.01.22 |
---|---|
2012년 입학 총신 신대원을 준비하시는 전도사님들에게... (0) | 2011.01.22 |
연주 전의 목소리 사용(워밍업) (0) | 2011.01.22 |
집,직장에서 단기간에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수있다. (0) | 2011.01.22 |
서부 아프리카 가나(GHANA) 발제: 박효진, 이병기, 이현영 (0) | 2011.01.19 |